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담배폐해통합보고서 개요 11

제1절 배경 및 목적 12

제2절 내용 구성과 작성 방법 및 절차 16

제3절 구성 원칙 및 주요 용어 작성 방법 19

제4절 보고서 구성 20

제5절 장별 주요 결론 22

5-1. 제2장 담배 사용률 추이 및 요인 22

5-2. 제3장 니코틴 중독, 치료 및 금연 중재 23

5-3. 제4장 흡연의 건강폐해 24

5-4. 제5장 흡연 및 금연으로 인한 질병부담 영향 26

5-5. 제6장 국내 담배규제정책 현황과 성과 27

5-6. 제7장 담배종결전을 위한 미래 전략 29

참고문헌 30

제2장 담배 사용률 추이 및 요인 31

제1절 개요 32

제2절 국내외 담배 사용률 추이 33

2-1. 현황 자료원 및 문헌 검토 방법 33

2-2. 국내 33

2-3. 국외 37

제3절 담배 사용 시작 및 행태변화 요인 41

3-1. 현황 자료원 및 문헌 검토 방법 41

3-2. 담배 사용 시작 결정요인 42

3-3. 담배 사용 행태변화 결정요인 44

제4절 소결 50

참고문헌 52

제3장 니코틴 중독, 치료 및 금연중재 56

제1절 개요 57

제2절 니코틴 중독 정의와 영향요인 58

2-1. 니코틴 중독의 정의 및 약물 역학 58

2-2. 니코틴 중독의 기전 및 특성 60

2-3. 유전적 특성과 감수성에 따른 니코틴 중독 차이 63

2-4. 니코틴 중독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6

제3절 니코틴 중독 평가와 치료 68

3-1. 니코틴 중독 평가방법과 활용 68

3-2. 니코틴 중독 치료법과 효과성 70

3-3. 다른 중독과의 병행 중독 가능성과 현황 72

제4절 소결 75

참고문헌 77

제4장 흡연의 건강폐해 80

제1절 개요 81

제2절 현황 및 현안 82

2-1. 담배 사용으로 인한 건강폐해 82

2-2. 간접흡연 노출로 인한 건강폐해 83

제3절 질병별 흡연의 건강폐해 90

3-1. 암 90

3-2. 심ㆍ뇌혈관 질환 121

3-3. 호흡기계 질환 145

3-4. 소화기계 질환 156

3-5. 임신 및 생식기계 질환 166

3-6. 기타 질환 174

제4절 소결 189

참고문헌 192

제5장 흡연 및 금연으로 인한 질병부담 영향 219

제1절 개요 220

제2절 흡연에 따른 질병 발생 및 사망자 수 산출방법 222

2-1. 흡연율 기반 인구집단기여분율(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방법론 222

2-2. Smoking impact ratio 방법 223

제3절 직접흡연에 따른 질병발생, 사망자 수 및 사회경제적 비용 225

3-1. 현황 자료원 및 문헌 검토 방법 225

3-2. 담배 사용 관련 질병 발생 226

3-3. 담배 사용 관련 사망 227

3-4. 담배 사용 관련 질환 발생 및 사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231

제4절 간접흡연에 따른 질병 발생, 사망자 수 및 사회경제적 비용 관련 연구현황 237

4-1. 현황 자료원 및 문헌 검토 방법 237

4-2. 간접흡연 노출로 인한 사망 및 장애보정생존년 237

4-3. 간접흡연 노출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산출 현황 242

제5절 소결 245

참고문헌 247

제6장 국내 담배규제 정책 현황과 성과 251

제1절 개요 252

제2절 세금, 조세정책 254

2-1. 현황 자료원 및 문헌 검토 방법 255

2-2. 세계보건기구 담배규제기본협약 제6조 및 이행 현황 256

2-3. 담배 조세 정책 및 행정을 위한 기술 매뉴얼 256

2-4. 국내외 담뱃세 비중 및 담배 가격 현황 261

2-5. 가격 정책의 성과 263

제3절 금연구역 정책 273

3-1. 현황 자료원 및 문헌 검토 방법 276

3-2. 금연구역 정책이 담배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277

3-3. 금연구역 정책이 담배 비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280

3-4. 건강 영향 283

3-5. 공기 질 개선 286

3-6. 경제적 효과 286

제4절 담뱃갑 경고그림 정책 288

4-1. 현황 자료원 및 문헌 검토 방법 291

4-2. 국외 담뱃갑 경고그림의 효과 292

4-3. 국내 담뱃갑 경고그림의 효과 294

제5절 금연지원 정책 298

5-1. 현황 자료원 및 문헌 검토 방법 298

5-2. 세계보건기구 담배규제기본협약 제14조 299

5-3. 금연지원 제공 방안 301

5-4. 국외 금연지원사업 수행 현황 및 성과 304

5-5. 국내 금연지원사업 운영 현황 및 성과 309

제6절 소결 315

참고문헌 318

제7장 담배종결전을 위한 미래 전략 323

제1절 담배종결전의 정의 및 전략 324

1-1. 현황 자료원 및 문헌 검토 방법 327

제2절 담배종결전 전략별 근거의 집약 328

제3절 담배종결전 추진 현황 331

3-1. 국외 331

3-2. 국내 335

제4절 담배종결전 실현을 위한 미래 전략 339

제5절 소결 343

참고문헌 344

용어집 346

표목차

표 1-1. 정기적 업데이트를 위한 정리 항목 17

표 1-2. 보고서의 구성 21

표 2-1. 미국, 국내 청소년의 담배 사용(궐련) 시작 결정요인 43

표 2-2. 국내 담배 사용 행태변화 결정요인 49

표 3-1. 파거스트롬 니코틴 의존도(한국어 판) 68

표 4-1. 간접흡연 노출 측정 방법별 장단점 85

표 5-1. 국가별 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국가이행 보고서 흡연기인 사망자 수 228

표 5-2. 국가별 담배 사용 관련 사회경제적 비용 232

표 5-3. 담배 사용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관련 국내 연구결과 235

표 6-1. 담배규제기본협약 가이드라인 중 담배수요감소조치 조항 252

표 6-2. 연도별 담뱃세, 유통마진 및 제조원가, 판매가격 254

표 6-3. 고찰 대상 문헌의 연구 대상, 결과 변수 및 주요 결과 267

표 6-4. 연도별 금연구역 정책 추진 내용 275

표 6-5. 전 세계 표준 담뱃갑 도입 국가 289

표 6-6. 금연 중재 종류 및 주요 내용 302

표 6-7. 국가 및 지역사회 자원 및 역량을 고려한 단계별 금연지원 방안 303

표 6-8. 국가금연지원서비스 운영 현황 310

표 6-9. 연도별 국가금연지원서비스 이용자 수 및 이용자 24주(6개월) 금연성공률 313

표 7-1. 담배종결전 목표 수립 국가 325

표 7-2. 담배종결전 전략 326

표 7-3. 뉴질랜드 Smokefree Aotearoa 2025 계획 내 중점영역 332

표 7-4. 흡연을 조장하는 환경 근절을 위한 금연종합대책 내 주요 추진전략 및 세부 추진과제 338

표 7-5. 2021년 세계흡연실태보고서 내 국내 MPOWER 정책 이행 현황 340

그림목차

그림 1-1. 우리나라 흡연 관련 사망자 수 추이, 1990-2019 13

그림 1-2. 영역별 국내 연구 동향, 1995-2021년 14

그림 2-1. 국내 성인 궐련 현재 흡연율, 1998-2020 34

그림 2-2. 국내 청소년 궐련 현재 흡연율, 2011-2021 34

그림 2-3. 국내 성인, 청소년 액상형 전자담배 현재 사용률, 2011-2020 35

그림 2-4. 국내 처음 궐련 흡연시작 연령 및 매일 흡연시작 연령 추이, 2005-2021 36

그림 2-5. 세계 15세 이상 청소년 및 성인 궐련 현재 흡연율, 2000-2025 37

그림 2-6. 연도별 전 세계 성별, 연령별 궐련 현재 흡연율, 2000-2025 38

그림 2-7. OECD 회원국 내 15세 이상 청소년 및 성인의 매일 궐련 흡연율 비교 38

그림 2-8. 미국 만 18세 이상 성인 궐련 현재 흡연율, 1965-2017 39

그림 2-9. 미국 젊은 성인(만 18-24세) 궐련 현재 흡연율, 1965-2017 40

그림 2-10. 미국 성인, 청소년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률, 2012-2021년 40

그림 4-1.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 비흡연자의 성별 장소별 간접흡연 노출률 86

그림 4-2. 성인 남성에서 담배 사용 관련 암의 인구집단기여위험 91

그림 4-3. 담배 사용에 의한 암 발생 경로(USDHHS, 2010) 92

그림 6-1. OECD 국가의 담배 가격 내 담뱃세 비중 262

그림 6-2. 가장 많이 판매된 담배 브랜드의 가격(구매력평가지수$) 262

그림 6-3. 전세계 금연구역 정책 적용 수준, 2007-2020 273

그림 6-4. 전 세계 금연구역 적용 국가, 2020 274

그림 6-5. 학교, 병원, 교도소의 금연구역 지정과 흡연율 감소율: 메타분석 277

그림 6-6. 금연구역 정책의 담배 사용 감소 효과: 메타분석 279

그림 6-7. 공공장소의 금연구역 지정과 18세 이하 어린이의 간접흡연 노출 감소: 메타분석 280

그림 6-8. 금연구역 지정에 따른 흡연노출 감소 효과 282

그림 6-9. 금연구역 정책이 주산기 및 아동 건강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284

그림 6-10. 금연구역 정책 시행과 급성심장사망 발생률 감소: 메타분석 285

그림 6-11. FCTC 제11조 가이드라인 이행률, 2018-2020 289

그림 7-1. 캐나다의 인구당 궐련 담배 소비량 및 12세 이상 궐련 담배 현재 흡연율 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