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19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0
2. 연구의 범위와 구성 23
제2장 한-인도네시아 외교ㆍ안보 협력과 전망 25
1. 한-인도네시아 관계 발전 과정과 요인 26
2. 한-인도네시아 외교ㆍ안보 협력 현황과 평가 34
가. 외교ㆍ안보 주요 협력 성과 34
나. 외교ㆍ안보 분야 협력 평가 47
3. 역내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양국 협력 기회와 도전 과제 52
가. 최근 역내 안보환경 변화와 양국의 전략적 이해 52
나. 양국 협력 확대의 주요 기회요인과 도전과제 65
4. 소결 80
제3장 한-인도네시아 경제협력 현황과 전망 81
1. 한-인도네시아 경제협력 성과 및 평가 82
가.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경제 교류 현황 82
나. 최근 한-인도네시아 경제협력 성과 103
2. 최근 대외환경 변화와 양국간 협력 수요 110
가. 주요국의 대립 심화에 따른 공급망 협력의 중요성 대두 110
나.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대응 방향과 양국 경제협력 수요 115
3. 경제협력 고도화 기회요인과 도전과제 126
가. 경제협력 고도화 기회 126
나. 도전과제 129
4. 소결 132
제4장 한-인도네시아 인적 및 사회ㆍ문화 교류 협력과 전망 136
1. 인적 교류 현황 및 평가 137
가. 인도네시아행 한국인의 인적 교류 138
나. 한국행 인도네시아인의 인적 교류 140
다. 한국행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와 국제결혼 145
2. 사회문화 협력의 현황과 151
가. 한류와 문화산업 151
나. 언어 및 문학 교류 159
다. 교육 및 동남아시아학 167
3. 인적 교류 및 쌍방향적 문화 교류 증진을 위한 기회와 도전과제 171
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적 교류의 회복과 문화다양성 이해 증진 171
나. 양국 문화 콘텐츠의 동반성장 175
다.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협력 수요 확대 179
라. 한국행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의 삶의 질 개선 183
4. 소결 186
제5장 한-인도네시아 중장기 협력 방안 189
1. 연구 요약 및 종합 평가 190
가. 한-인도네시아 관계 총평 190
나. 양국 협력 확대 필요성과 향후 과제 194
2. 한-인도네시아 협력 고도화 방안 201
가. 핵심 전략적 파트너로서 신뢰 구축 기반 강화 203
나. 신뢰할 수 있는 지역 및 글로벌 전략 파트너 도약 208
다. 개방적이고 미래지향적이며 호혜적인 경제 파트너십 구축 218
라. 디지털 시대의 지속가능한 인적 교류와 상호 인식 제고 230
참고문헌 240
[부록] 260
Executive Summary 266
판권기 3
그림 1-1. 연구 흐름도 24
그림 2-1. 인도네시아의 무기 수입비중(2001~21년) 37
그림 2-2. 한국의 무기 수출비중(2001~21년) 37
그림 3-1. 한-인도네시아 경제협력 현황(1973~2021년) 83
그림 3-2.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수출입 및 수지 추이(2000~21년) 84
그림 3-3.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가공단계 수출비중 추이(2000~21년) 89
그림 3-4.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가공단계 수입비중 추이(2000~21년) 90
그림 3-5. 한국의 대아세안 직접투자 추이(2000~21년) 92
그림 3-6.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직접투자 추이(2000~21년) 93
그림 3-7. 한국의 대아세안 ODA 비중 추이(1987~2020년) 98
그림 3-8.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ODA 추이(2000~20년) 99
그림 3-9.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ODA 섹터별 비중(누적액, 최근 3개년) 100
그림 3-10. 까리안-세르퐁 광역 상수원 사업 102
그림 3-11. 한-인도네시아 경제협력위원회 구성 107
그림 3-12. 인도네시아 업종별 구성 내역(2020년) 120
그림 3-13. 인도네시아 광물 수출 제한조치에 대응한 유관기업 진출 사례 124
그림 3-14. 인도네시아 LTS-CCR의 정책 연계도 개요 126
그림 4-1. 한류지수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한류 153
그림 4-2. 인도네시아에서 한류 이용확산 155
그림 4-3. 한류에 대한 부정적 인식 156
그림 4-4. 인도네시아 문화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구상: HOI 178
그림 5-1. 한-인도네시아 관계 발전기 193
그림 5-2. 한-인도네시아 관계 고도화 비전과 중장기 협력 방향 202
그림 5-3. 한-인도네시아 해양 쓰레기 저감 종합대책 마련 예시(안) 229
글상자목차
글상자 3-1. 제13차 한-인도네시아 에너지 포럼의 주요 현안 10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00543 | 338.951 -23-19 |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 이용가능 | |
0003000544 | 338.951 -23-19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B000104451 | 338.951 -23-19 |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국가전략정보센터 / 서가번호: 2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