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11

Summary 25

제1장 서론 2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9

제2절 연구의 방법 31

제3절 연구의 구성 32

제2장 지역의 환경변화와 지역 전환의 필요성 34

제1절 사회구조의 변화 34

1. 저인구ㆍ초고령화ㆍ다문화사회 34

2. 지역소멸 38

제2절 경제구조의 변화 40

1. 저성장 및 양극화 40

2. 산업위기와 지역경제 활력 저하 43

제3절 기술 및 기후변화 등 환경적 변화 48

1. 디지털 기술혁신과 디지털 전환 48

2. 기후변화와 사회적 도전과제 대응의 필요성 51

제4절 지역위기의 성격과 지역전환의 필요성 53

1. 지역위기의 성격 53

2. 지역전환의 필요성 57

제3장 전환적 지역혁신정책론 개념ㆍ특성ㆍ이슈 61

제1절 서론 61

제2절 전환적 지역혁신정책론의 개념과 관점 62

제3절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의 특성과 기존 논의와의 차이 63

1. 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클러스터론 63

2. 새로운 산업 발전을 모색하는 경로형성론 65

3. 사회적 도전과제 대응을 위한 전환적 지역혁신정책론 66

제4절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의 주요 이슈 67

1. 전환적 지역혁신정책 구현을 위한 핵심 요소 67

2. 전환적 혁신의 진화과정 69

3. 지역 사회ㆍ기술시스템 전환의 유형 71

4. 전환을 위한 산업혁신과 사회혁신의 융합 75

제4장 지역전환 사례 분석 77

제1절 사례 분석의 틀 77

제2절 경상남도 지역전환과 전환 실험 78

1. 지역 및 산업현황 78

2. 전환 비전과 가치 85

3. 전환실험의 주요 활동 88

4. 전환 실험 주체 및 거버넌스 94

5. 성과 및 과제 95

제3절 울산의 도시전환과 전환 실험 98

1. 현황 및 특징 98

2. 전환 비전과 가치 102

3. 전환 실험의 주요 활동 104

4. 성과 및 과제 119

제5장 연구 종합 및 향후 과제 122

제1절 대안적 경로 탐색과 다양한 실험 촉진 122

1. 지역 전환의 대안적 경로 탐색과 탐지 활동 강화 122

2. 지역 전환을 위한 다양한 전략적 실험 촉진 124

제2절 전환 주체 육성과 연계ㆍ협력 네트워크 구축 125

1. 전환 주체 육성과 주체화 125

2. 전환을 위한 연계ㆍ협력 네트워크 구축 127

제3절 사회혁신-산업혁신 간 연계 및 혁신플랫폼 구축 129

1. 사회혁신과 산업혁신의 연계 촉진 129

2. 일터-삶터-놀터 혁신을 위한 리빙랩 플랫폼 구축 131

제4절 문제해결 중심의 플랫폼 구축과 트랜스 로컬 전략 132

1. 문제해결 중심의 플랫폼 구축 132

2. 지역 간, 국제 간 연계를 위한 트랜스 로컬 전략 추진 134

제6장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 필요성 136

제1절 연구의 한계 136

제2절 후속 연구 필요성 137

참고문헌 139

[부록] 실행연구 활동 내용 및 관련 자료 147

제1절 지역전환을 위한 실천적ㆍ정책적 활동 147

제2절 일본 오무타시의 지속가능한 지역전환 201

제3절 과기부-행안부 주민공감 지역문제해결사업과 과제 204

제4절 지역 간 연계 및 플랫폼 구축을 위한 메가시티 206

판권기 2

표목차

〈표 1-1〉 지역 전환을 위한 핵심 질문 32

〈표 2-1〉 그간의 정책과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8~2022) 비교 38

〈표 2-2〉 해외 주요 지역의 전환 배경과 정책 54

〈표 3-1〉 지역혁신정책론의 진화 67

〈표 3-2〉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의 핵심 요소 68

〈표 3-3〉 시스템 전환의 단계와 세부 활동 69

〈표 4-1〉 경남 지역 산업발전 관련 계획과 주력 산업(종합) 80

〈표 4-2〉 경남도내 주요 추진 사업(2022년) 81

〈표 4-3〉 고용위기지역의 고용률 82

〈표 4-4〉 경남 고용위기 지역의 현황 83

〈표 4-5〉 고용위기지역 주요 추진사업 84

〈표 4-6〉 국내 주요 선행연구 85

〈표 4-7〉 남해군내 사회혁신 주요 활동 그룹 93

〈표 4-8〉 경남도내 전환적 혁신의 추진을 통한 변화 94

〈표 4-9〉 경남 고용위기 지역의 현황 95

〈표 4-10〉 울산의 일반 현황 98

〈표 4-11〉 울산의 경제 현황 99

〈표 4-12〉 연도별 울산지역 순이동자 추이 100

〈표 4-13〉 분야별 시민관심도 101

〈표 4-14〉 12개 생활문제 아이디어 발굴 108

〈표 4-15〉 전환 실험의 과제 121

〈표 5-1〉 지역 전환을 위한 과제 도출 123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구성 33

[그림 2-1]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 1960~2070년 34

[그림 2-2] 저출산ㆍ초고령화로 인한 미래사회의 충격과 과제 35

[그림 2-3] 전국 지역별 소멸위험 지수 39

[그림 2-4] 지역별 일자리 양극화 42

[그림 2-5] 수도권 집중 및 지역 간 양극화 문제 43

[그림 2-6] 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 46

[그림 2-7] 자본ㆍ소득ㆍ투자의 수도권 집중도 47

[그림 2-8] 디지털 전환을 보여주는 4차 산업혁명 지표 변화 49

[그림 2-9]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일수 변화 52

[그림 3-1] 시스템 전환의 과정 71

[그림 3-2] 지역 전환의 중요한 가치로서 포용적 혁신 73

[그림 3-3] 유럽연합(EU)이 발표한 '사회의 질' 선언에서의 사회적 가치ㆍ지향 74

[그림 3-4] 지역 산업혁신과 사회혁신의 연계 76

[그림 4-1] 지역전환을 위한 과학기술/산업혁신-사회혁신 융합 모델 77

[그림 4-2] 지역별 서비스업 부가가치 생산비중(2019), 지역별 제조업 부가가치 생산비중(2019) 79

[그림 4-3] 경상남도 메가시티 추진 86

[그림 4-4] 경상남도여성가족재단 미션ㆍ추진전략 개념도 87

[그림 4-5] 경상남도 청년 정보플랫폼 87

[그림 4-6] 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적 차원의 정책안 모색 88

[그림 4-7] 경남대학교 리빙랩 추진 90

[그림 4-8] 남해군 여성친화도시의 정책비전과 목표 92

[그림 4-9] 남해군 여성친화도시 추진 군민참여단의 역할 92

[그림 4-10] 대안교육의 수행 남해군 상주중학교 94

[그림 4-11] 울산의 주력산업 현황 99

[그림 4-12] 울산광역시 노인 인구 변화 추이 100

[그림 4-13] 울산시민 관심도 101

[그림 4-14] 울산 도시전환 비전 103

[그림 4-15] 울산 산업기술과 사회혁신 융합플랫폼 체계 106

[그림 4-16] 생활문제해결 기획연구회 107

[그림 4-17] 생활문제해결 기획연구 성과발표회 107

[그림 4-18] 울산형 리빙랩 시범운영사업 109

[그림 4-19] 스마트 횡단보도 리빙랩 110

[그림 4-20] 스마트 횡단보도 리빙랩 결과물 110

[그림 4-21] 주민주도 노인돌봄 리빙랩 111

[그림 4-22] 지속가능 자원순환 리빙랩 112

[그림 4-23] 스마트 횡단보도 리빙랩 113

[그림 4-24] 온세대 동네어르신 가치시간 We GO 리빙랩 113

[그림 4-25] 공정유체 악취저감 리빙랩 114

[그림 4-26] 미세먼지, 악취저감 버스정류장 리빙랩 115

[그림 4-27] 녹색스마트 리빙랩 플랫폼 116

[그림 4-28] 과학기술활용 주민공감 지역문제해결 리빙랩 116

[그림 4-29] 제1회 울산리빙랩네트워크 포럼 포스터와 개최사진 117

[그림 4-30] 제2회 울산리빙랩네트워크 포럼 포스터와 개최사진 118

[그림 4-31] 제1회 울주군리빙랩네트워크 포럼 포스터와 개최사진 119

[그림 5-1] 백캐스팅 관점에서 현재 정책의 재점검과 정책조정 125

[그림 5-2] 지역전환을 위한 관련 주체 간 협력의 장 구축 126

[그림 5-3] 연계와 협력을 통한 플랫폼 구축과 경제적ㆍ사회적 임팩트 창출 128

[그림 5-4] 과학기술혁신주체와 사회혁신주체와의 협업체계 구축 130

[그림 5-5] 실험실-삶터-놀터-일터 혁신 모델로서 리빙랩 131

[그림 5-6] 리빙랩 프로젝트와 리빙랩 플랫폼 132

[그림 5-7] 통합적 실천을 위한 협력 기반의 문제해결 플랫폼 구축 133

[그림 5-8] '로컬'과 '트랜스 로컬'의 동시 진행 134

[그림 5-9] 고령화에 대응한 일본-유럽 간 국제 연계형 리빙랩 활동(예시) 135

부록그림목차

[부록 그림-1] 오무타시의 중장기 발전 비전과 전략 201

[부록 그림-2] 오무타 미래공창센터를 통해 통합적 플랫폼 구축 202

[부록 그림-3] 오무타 미래공창센터의 사업구성 203

[부록 그림-4] 과기부-행안부 과학기술 활용 주민공감 지역문제 해결사업 추진체계 204

[부록 그림-5] 과기부-행안부 주민공감 지역문제 해결사업에서 스스로해결단 205

[부록 그림-6] 부울경 메가시티 구상안 206

[부록 그림-7] 대전ㆍ세종ㆍ충남 지역혁신플랫폼 협업체계 207

이용현황보기

지역의 위기와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전환적 지역혁신정책' 연구 = A study on 'transitional regional innovation policy' to respond to local crises and challenge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05193 338.9519 -23-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05194 338.9519 -23-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00627 338.9519 -23-4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