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연구결과 요약문 2
목차 3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
1-1. 연구개요 4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4
1) 아밀로이드 섬유의 생성에 대한 분자병리학적 기전을 추적 4
2) 전사인자 C/EBP 및 NF-kB 발현 조절을 통한 아밀로이드증 치료 가능성 모색 5
1-3. 본 연구의 가설 6
1-4. 연구의 최종 목표 6
1-5. 연구 범위 6
2. 연구수행내용 및 연구결과 6
2-1. 연구 수행 내용 6
1) C/EBP, NF-kB 합성 ODN 제작 6
2) 아밀로이드 동물 실험 7
3) 아밀로이드 침착 확인 7
4) 아밀로이드 침착 및 관련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인자 확인 7
5) decoy ODN의 sequence match 결합을 확인하기 위해 Electrophoric Mobility Shift Assay (EMSA)를 시행 7
2-2. 연구 결과 8
1) 현미경 관찰을 통한 형태학적 변화 8
2) Western blot을 통해 뇌조직의 아밀로이드 침착 및 사이토카인 변화 8
3) Electrophoric Mobility Shift Assay 10
2-3. 결과 요약 10
3.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0
4. 참고문헌 12
5. 연구성과 14
별첨 3
〈별첨1〉 자체평가 의견서[내용없음] 3
〈별첨2〉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서[내용없음] 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