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제출문 2

보고서 요약서 3

요약문 4

한-인도 협력기반조성사업 최종평가 결과 수정보완 대비표 5

목차 6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7

가. 연구 개발의 중요성 7

나. 연구 개발 대상의 국내외 연구 현황 8

2. 연구수행내용 및 성과 9

가. Microbial electrosynthesis of multi-carbon volatile fatty acids under the influence of different external impose potentials 9

나. Evaluate the influence of various trace metal concentrations on methane generation from inorganic carbon in Microbial electrochemical systems 10

다. Integration of microalgal cultivation with periodic discontinuous batch reactor (PDBR) for effective dye remediation and resource recovery 11

라. Effect of in situ, positive and negative poised anode potentials 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microbial fuel cell 12

마. Highly porous FeₓMnOy(x=1, 2andy=3, 4) microsphere as an efficient cathode catalyst for microbial electrosynthesis of volatile fatty acids from CO₂[이미지참조] 14

(1) Microbial electrosynthesis of VFAs from soluble CO₂ as bicarbonate 14

(2)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athodes used in MES 15

바. Highly porous FeₓMnOy(x=1, 2andy=3, 4) microsphere as an efficient cathode catalyst for microbial electrosynthesis of volatile fatty acids from CO₂[이미지참조] 17

3.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 19

3-1. 목표 19

3-2. 목표 달성여부 19

3-3. 목표 미달성 시 원인(사유) 및 차후대책(후속연구의 필요성 등) 19

4.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등 20

붙임. 참고문헌 21

〈별첨〉주관연구기관의 자체평가 의견서[내용없음] 6

[뒷표지]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