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15
1. 연구 배경 및 목적 16
2. 연구 구성 17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특징 20
제2장 공급망 재편 23
1. 공급망 재편정책 24
가. 리쇼어링 지원 24
나. 반도체 공급망 강화 29
2. 경제안전보장추진법 41
가. 법 체계 41
나. 중요물자의 공급망 확보 43
3. 일본의 공급망 국제협력 49
가. QUAD 49
나. IPEF 50
4. 한국의 대응 방향 54
가. 2019년 수출규제 영향과 향후 대응 54
나. 공급망 재편: 리쇼어링 정책 57
다. 일본의 경제안전보장추진법 시행과 한국의 대응 59
라. 공급망 관련 다자간 협력 틀 활용: IPEF 61
제3장 디지털무역 63
1. 일본의 통상정책 방향과 CPTPP의 외연 확대 64
가. 일본정부의 통상정책 추진 방향 64
나. CPTPP의 외연 확대 69
2. 일본의 디지털무역 규범 형성과 IPEF 대응 76
가. 디지털무역 관련 주요 쟁점 76
나. 일본 FTA의 전자상거래장(디지털무역협정) 내용과 특징 81
다. IPEF의 디지털무역에 대한 일본의 대응 92
3. 한국의 대응 방향 95
가. CPTPP 가입 및 한ㆍ일 디지털무역협정 체결 추진 95
나. IPEF에서의 한ㆍ일 공조 모색 98
제4장 기후변화 대응 101
1. 기후변화 대응전략 102
가. 녹색성장전략 102
나. 지구온난화대책 103
다. 파리협정에 의거한 장기전략 104
라. NDC 105
2. 에너지 전환 105
가. 재생에너지 106
나. 차세대 원자력발전 110
다. 수소에너지 112
라. 차세대 에너지기술 119
3. 국제협력 127
가. QUAD: Q-CHAMP 127
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128
4. 한국의 협력 방향 130
가. 일본의 JCM 제도 벤치마킹 130
나.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공동대응 133
다. 해외 수소ㆍ암모니아 에너지 공동개발 135
제5장 보건 및 개발협력 138
1. 일본의 개발협력 현황 139
가. 일본의 개발협력 개요 139
나. 추진체계 및 전략 144
2. 일본 보건ㆍ개발협력의 특징 153
가. 코로나19와 보건ㆍ의료 분야의 개발협력 153
나. 일본의 개발협력과 인도태평양 구상 159
3. 한국의 협력 방향 166
가. 보건ㆍ의료 협력체 구축 166
나. 신(新)분야의 개발협력: 디지털, 기후변화 등 169
다. ODA를 통한 해외 인프라 투자 확대 170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72
1. 요약 및 평가 173
가. 공급망 재편 173
나. 디지털무역 175
다. 기후변화 대응 177
라. 보건 및 개발협력 179
2. 정책시사점 181
가. 공급망 재편 181
나. 디지털무역 183
다. 기후변화 대응 185
라. 보건 및 개발협력 187
참고문헌 190
Executive Summary 210
판권기 3
그림 1-1. 연구범위 17
그림 2-1. 리쇼어링 지원사업 스킴 24
그림 2-2. 일본 반도체의 세계시장 점유율 추이(1986~2021년) 30
그림 2-3. 일본의 반도체 국내생산ㆍ수입 비율(2017년) 31
그림 2-4. 일본의 반도체시장 점유율(2019년, 제품별) 32
그림 2-5. 일본의 로직반도체 설비 현황(2019년, 회로선폭별) 32
그림 2-6. 일본의 반도체지원법: 정부보조금 지급 절차 34
그림 2-7. 일본의 차세대 반도체 프로젝트 구상(1) 40
그림 2-8. 일본의 차세대 반도체 프로젝트 구상(2) 41
그림 2-9. 수출규제 이후 3대 품목의 대일(對日) 수입의존도 56
그림 2-10. 한국의 대일(對日) 소재 및 소ㆍ부ㆍ장 제품의 수입 현황 57
그림 3-1. 일본의 FTA 추진 현황(2022년 11월) 66
그림 3-2. CPTPP에 대한 신규가입 절차 74
그림 3-3. 전 세계 국경간 데이터 유통량(국경간 대역폭) 77
그림 4-1. 일본의 2050년 탄소중립 실현 로드맵 103
그림 4-2. 일본의 해상풍력 개발 현황 109
그림 4-3. 일본의 차세대 혁신형 원자로 기술개발 계획 111
그림 4-4. 파리협정 제6조 관련 온실가스 감축ㆍ흡수 제도 132
그림 4-5. 세계 주요국의 실효탄소가격 비교(2018년) 134
그림 4-6. 세계 주요국ㆍ지역의 수소에너지 개발 환경 135
그림 5-1. 일본의 연도별 ODA 현황 143
그림 5-2. 일본의 원조 형태별 ODA 현황 144
그림 5-3. 일본의 부문별 양자간 ODA 현황 144
그림 5-4. 일본 개발협력 정책 수립의 프레임워크 146
그림 5-5. 각국의 코로나19 대응 관련 ODA(2021년) 154
그림 5-6.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추진 방향 및 과제 167
글상자목차
글상자 2-1. 미ㆍ일 상무ㆍ산업파트너십(JUCIP) 38
글상자 2-2. 특정중요물자 지정 요건 46
글상자 4-1. 일본 내 해상풍력 발전사업 현황(2022년 9월) 108
글상자 4-2. 일본의 국제 수소공급망 개발 실증사업: NEDO의 '수소사회구축기술개발사업' 115
글상자 4-3. 후쿠시마 수소에너지 연구필드(FH2R) 118
글상자 4-4.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관련 동향 12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