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제출문 2
참여 연구진 2
목차 3
제1장 과업의 개요 14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15
2. 주요 내용 및 추진절차 18
3. 과업수행체계 20
제2장 도시재생 여건 및 공간적 현황 분석 23
1. 상위 관련 계획 및 정책 검토 25
(1) 2030 대전도시기본계획(2019) 25
(2) 2025 대전 도시재생전략계획(변경)(2021) 30
(3)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변경)(2020) 36
(4) 소결 및 시사점 40
2. 유관 도시계획 및 도시재생 사업 검토·분석 42
(1) 도시쇠퇴지역 판단 및 분석 42
(2) 도시재생 뉴딜사업 46
(3) 도시정비사업 65
(4) 소결 및 시사점 71
3. 인구·사회 차원의 공간적 현황 검토·분석 72
(1) 인구 현황 검토·분석 72
(2) 빈집 분포 현황 검토·분석 79
(3) 소득 분포 현황 검토·분석 83
4. 산업 및 생활SOC 차원의 공간적 현황 검토·분석 87
(1) 제조업 분포 현황 검토·분석 88
(2) 서비스업 분포 현황 검토·분석 90
(3) 창업기업 분포 현황 검토·분석 92
(4) 직종별 일자리 분포 현황 검토·분석 94
(5) 생활SOC 접근성 현황 검토·분석 96
5. 교통 차원의 공간적 현황 검토·분석 99
(1) 대중교통 승·하차 및 환승 통행행태 분석 99
(2) 교통수단·목적별 공간분포 및 중심성 분석 103
(3) 직업유형·소득수준별 환승 분포 분석 109
(4) 광역 통행 접근성 분석 113
6. 생활권별 지역 자산 및 잠재수요 분석 118
(1) 생활권 분류 118
(2) 트램 노선 주변 현황 120
(3) 생활권별 실태 분석 124
제3장 해외 선진사례 분석 141
1. 트램 연계 도시재생 선진사례 143
(1) 파리 T3 트램웨이: 도시 환상축을 트램-녹지회랑으로 재구조화 145
(2) 미국 포틀랜드 : 공공·문화·교육·복지거점을 연계한 대중교통전용지구 152
(3) 영국 런던 : 대중교통거점 연계형 공유가로(Exhibition Road) 157
(4) 일본 도야마: LRT 도입에 따른 도시구조재편 및 전역적 도시재생 160
(5) 호주 멜버른 : 교통 환경에 맞는 트램·자동차 운행체계 163
2. 트램 연계 도시재생 선진사례의 시사점 168
제4장 트램 연계 도시재생 추진방안 171
1. 트램 연계 도시재생 추진 필요성 및 방향 173
(1) 트램 연계 도시재생의 핵심 아젠다 173
(2) 기회 및 위기요인 도출 174
(3) 트램 연계 도시재생의 종합 및 방향 정립 176
2. 트램 연계 도시재생 추진 기본구상 180
(1) 도시 공간 구조적 기능 배분 및 순환·연계체계 180
(2) 지역 거점 형성 및 트램 연계 도시재생 확산 181
(3) 트램 연접가로 장소성 강화 및 경관자원화 182
(4) 대전 트램 연계 도시재생 활성화 기본구상 183
3. 생활권별 도시재생 전략 및 기본구상 184
(1) 보문 생활권 스포츠·오토산업 & 문화예술 벨트 184
(2) 송촌 생활권(북부) 산업혁신·고도화 & 광역 환승거점 벨트 186
(3) 송촌 생활권(남부) 캠퍼스·문화 & 대중교통·보행 특화 벨트 188
(4) 유성 생활권 입체복합 컨벤션 & 온천·관광 & 스마트 그린 벨트 190
(5) 둔산 생활권 도심 녹지(센트럴파크)거점 및 업무·산업융합 벨트 192
(6) 진잠 생활권 교육 및 공동체 지원 플랫폼 벨트 194
4. 도시재생 추진 전략 및 공간계획 가이드라인 196
(1) 도시재생 및 공간계획 추진 방향 196
(2) 트램 연접 가로 유형 정립 및 계획 가이드라인 197
(3) 도로 유형별 정거장 구축 및 운영 가이드라인 201
(4) 교통체계 및 가로경관 통합 가이드라인 206
제5장 주요 선도사업 구상 및 추진방안 209
1. 선도사업지 발굴 및 추진 기본방향 211
2. 세부 선도사업 212
(1) 대전 스포츠·산업·예술 전진 플랫폼(대흥역 일원) 212
(2) 대전 캠퍼스 창의·문화 및 트램 특화 가로(대동-자양역 일원) 221
(3) 온천 및 컨벤션 직접지구 및 스마트 그린 특화가로(유성온천역 일원) 228
(4) 대전 post-BI 특화센터 및 생활SOC형 환승센터 입체복합화(오정역 일원) 235
(5) 대전 청소년·공동체 상상허브 및 교육·공동체 지원 플렛폼(도마역 일원) 242
제6장 단계별 추진 전략 및 추진 로드맵 수립 249
1. 협력적 사업 추진방안 251
(1) 재원 확보 및 활용 기본 방향 251
(2) 도시재생 인정사업 및 지자체 도시재생기금 마련 활용 251
(3) 각 부처 국비사업, 민간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사업 결합 253
(4) 국유지 복합개발 활용 및 도시재생기금 사업 추진 노력 257
(5) 민관협력사업(민간주도+공공지원)과 크라우드펀딩 등 재원 다각화 259
2. 유관 사업 연계 로드맵 261
제7장 결론 및 제언 267
1. 연구 주요 내용 요약 269
(1) 도시재생에 있어 트램의 역할 정립 269
(2) 현황 분석을 통한 향후 여건 전망 269
(3) 해외 선진 사례 분석 및 시사점 271
(4) 트램 연계 도시재생 활성화의 기본 추진방향 272
(5) 트램 연계 도시재생 활성화 추진 목표 및 전략 273
(6) 트램 연계 도시재생 활성화 기본 구상 276
(7) 생활권별 트램 연계 도시재생 활성화 전략 277
(8) 트램 연계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주요 선도사업 추진방안 280
2. 유관 정책·사업 협력과 향후 추진을 위한 제언 283
(1) 도시·주택 부문 283
(2) 교통·건설 부문 283
(3) 트램 건설 부문 284
(4) 일자리·경제 부문 285
(5) 문화·체육·관광 부문 286
(6) 과학·산업 부문 286
(7) 환경·녹지 부문 287
참고문헌 289
그림 1-1. 대전시 트램 노선도 17
그림 1-2. 과업의 추진 절차 19
그림 1-3. 과업수행 체계 21
그림 2-1. 2030 대전도시기본계획의 비전 25
그림 2-2. 2030 대전도시기본계획에 나타난 공간구상 26
그림 2-3. 2025 대전 도시재생전략계획의 비전 및 목표 및 5대 추진전략 30
그림 2-4. 대전 원도심 지역의 3각 벨트 및 도시재생 T축 강화 32
그림 2-5. 대전시 생활인프라 접근성 분석 결과(전체 유치원 기준) 33
그림 2-6. 플랫폼 기반형 도시재생 사업 모델 34
그림 2-7. 주행로 위치에 따른 주행방식 38
그림 2-8.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노선안 변경 전(상)과 후(하) 비교 39
그림 2-9. 2025 대전시 도시재생전략계획상 쇠퇴지역 44
그림 2-10. 도시쇠퇴지역 분포 현황(2019) 45
그림 2-11. 트램 노선 인근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현황 49
그림 2-12. 대전시 중구·동구 원도심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총괄도 50
그림 2-13. 대전시 대덕구 오정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총괄도 52
그림 2-14. 대전시 중구 유천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총괄도 53
그림 2-15.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총괄도 55
그림 2-16. 대전시 중구 중촌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총괄도 56
그림 2-17. 대전시 동구 대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총괄도 57
그림 2-18. 대전시 서구 도마1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총괄도 58
그림 2-19.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총괄도 60
그림 2-20. 대전시 동구 가오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총괄도 61
그림 2-21. 대전시 서구 정림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총괄도 62
그림 2-22. 대전시 동구 정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총괄도 63
그림 2-23. 정비(예정)구역 추진현황도 66
그림 2-24. 트램 노선 인근 도시정비사업 추진현황 67
그림 2-25. 대동역-자영역 일대 도시정비사업 추진 현황 68
그림 2-26. 대사역-대흥역 일대 도시정비사업 추진 현황 69
그림 2-27. 대전시 인구 증감 추이(2010~2020) 73
그림 2-28. 대전시 시도간 전입·전출 인구(2019) 74
그림 2-29. 2018년 기준 행정동별 지역소멸위험지수 산출 결과 75
그림 2-30. 트램 노선 인근 인구 증감률(2015~2019) 76
그림 2-31. 트램 노선 반경 1km 인구 증감률(2015~2019) 77
그림 2-32. 대전시 빈집 분포 현황 80
그림 2-33. 동구 대동-중리 구간 빈집 분포 현황 81
그림 2-34. 중구 복수-대흥 구간 빈집 분포 현황 82
그림 2-35. 대전시 읍면동별 소득 분포 현황 85
그림 2-36. 대전시 제조업 분포 및 제조업종 휴·폐업체 분포 89
그림 2-37. 대전시 서비스업 분포 및 제조업종 휴·폐업체 분포 91
그림 2-38. 대전시 창업기업 분포 및 비율 93
그림 2-39. 직종별 일자리 분포 95
그림 2-40. 생활SOC 접근성 분석 결과 98
그림 2-41. 승차 통행행태 패턴 분석 결과 101
그림 2-42. (비)첨두 시간대별 승·하차 및 환승 통행 패턴 분석결과 103
그림 2-43. 교통수단별 행정동별 통행량(좌) 연결중심성(우) 분석결과 106
그림 2-44. 교통목적별 행정동별 통행량(좌) 연결중심성(우) 분석결과 108
그림 2-45. 직업 유형별 통행패턴 분석결과 110
그림 2-46. 소득 수준별 통행패턴 분석 결과(월 소득) 112
그림 2-47. 대중교통 광역 접근성 분석 결과 114
그림 2-48. 승용차 광역 접근성 분석 결과 115
그림 2-49. 교통수단별 행정동별 통행량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117
그림 2-50. 2030년 대전도시기본계획 생활권 구상도 118
그림 2-51. 대전시 트램 기본구상을 위한 생활권 거점 구상도 119
그림 2-52. 트램 노선 주변 용도지역 현황 120
그림 2-53. 트램 노선 주변 용도지역 현황 121
그림 2-54. 트램 노선 주변 용도지역 현황 122
그림 2-55. 트램 노선 주변 용도지역 현황 123
그림 2-56. 송촌1 생활권 토지이용 현황 124
그림 2-57. 송촌2 생활권 토지이용 현황 125
그림 2-58. 송촌1 생활권 건축물 현황 126
그림 2-59. 송촌2 생활권 건축물 현황 127
그림 2-60. 송촌1-2 생활권 지역자산 현황 128
그림 2-61. 보문 생활권 토지이용 현황 129
그림 2-62. 보문 생활권 건축물 현황 130
그림 2-63. 보문 생활권 지역자산 현황 131
그림 2-64. 진잠 생활권 토지이용 현황 132
그림 2-65. 진잠 생활권 건축물 현황 133
그림 2-66. 진잠 생활권 지역자산 현황 134
그림 2-67. 유성 생활권 토지이용 현황 135
그림 2-68. 유성 생활권 건축물 현황 136
그림 2-69. 유성 생활권 지역자산 현황 137
그림 2-70. 둔산 생활권 토지이용 현황 138
그림 2-71. 둔산 생활권 건축물 현황 139
그림 2-72. 둔산 생활권 지역자산 현황 140
그림 3-1. 파리 T3 트램웨이 사업 구간 146
그림 3-2. 파리 T3 트램 정비 후 모습 147
그림 3-3. 트램 중앙배치(상) 및 편측배치(하) 개념도 148
그림 3-4. 파리 T3 연접지역 공공미술 작품 설치 예시 149
그림 3-5. T3사업의 교통 및 공공공간의 질 향상 관련 효과 150
그림 3-6. 포틀랜드 트랜짓몰 조성계획 153
그림 3-7. 포틀랜드 트램의 반경 1/4마일 이내 건설된 총 주택 수 및 평일 평균 이용객 수 154
그림 3-8. 다운타운(Downtown) 지구의 도시디자인 맵과 다이어그램 155
그림 3-9. 트램 연접가로를 따라 존재하는 일자리 분포 156
그림 3-10. 영국 런던의 Exhibition Road 계획도 158
그림 3-11. Exhibition Road 변화 전(좌)과 후(우) 159
그림 3-12. 일본 도야마시 LRT 운영 모습 161
그림 3-13. 도야마시의 컴팩트시티 추진 전략 162
그림 3-14. 호주 트램 노선 164
그림 3-15. 호주 멜버른 트램 운영 모습 165
그림 3-16. 호주 Free Tram Zone 166
그림 4-1. 트램 연계 도시재생 기본방향 및 도시 공간구조적 개념 177
그림 4-2. 대전시 트램 연계 도시재생 비전 및 전략 179
그림 4-3. 도시 공간구조적 기능 배분 및 순환·연계체계 180
그림 4-4. 지역거점 형성 및 트램 연계 도시재생 확산 단계 181
그림 4-5. 트램 주변 가로의 장소성 강화 및 경관자원화 예시 182
그림 4-6. 트램 연계 도시재생 활성화 전략 기본구상(안) 183
그림 4-7. 문하·여가 거점화(좌) 및 대중교통 보행링크(우) 강화 선진 사례 184
그림 4-8. 대전시 생활권별 구획 185
그림 4-9. 보문 생활권 지역자원 활용 및 핵심축 공간구상 185
그림 4-10. 린 스타트업 거점 조성(좌) 및 환승체계 거점 형성(우) 선진 사례 186
그림 4-11. 대전시 생활권별 구획 187
그림 4-12. 송촌 생활권(북부) 지역자원 활용 및 핵심축 공간구상 187
그림 4-13. 특화 대중교통·보행 경관 가로(좌) 및 대학·청년 자원 오프라인 거점화(우) 선진 사례 188
그림 4-14. 대전시 생활권별 구획 189
그림 4-15. 송촌 생활권(남부) 지역자원 활용 및 핵심축 공간구상 189
그림 4-16. 복합환승센터 기능 연계(좌) 및 기존 자원 기능 고도화(우) 선진 사례 190
그림 4-17. 대전시 생활권별 구획 191
그림 4-18. 유성 생활권 지역자원 활용 및 핵심축 공간구상 191
그림 4-19. 센트럴 파크 및 그린축 형성(좌) 및 팝업·소형 생활SOC 보행 가로(우) 선진 사례 192
그림 4-20. 대전시 생활권별 구획 193
그림 4-21. 둔산 생활권 지역자원 활용 및 핵심축 공간구상 193
그림 4-22. 도심 연계 통합가로 정비 예시 194
그림 4-23. 대전시 생활권별 구획 194
그림 4-24. 진잠 생활권 지역자원 활용 및 핵심축 공간구상 195
그림 4-25. 도마 생활권 지역자원 활용 및 핵심축 공간구상 195
그림 4-26. 도시재생 추진전략 및 공간 계획 가이드라인(안) 196
그림 4-27. 4·6차선 중로·대로 가로 정비 및 섬식 트램 정거장 운영 예시 202
그림 4-28. 4·5차선 중로 가로 정비 및 엇갈림식 트램 정거장 운영 예시 203
그림 4-29. 4차선 이상 광로·대로 가로 정비 및 상대식 트램 정거장 운영 예시 204
그림 4-30. 6차선 이상 광로·대로 가로 정비 및 상대식 트램 정거장 운영 예시 205
그림 4-31. 트램 연접가로 교통체계 및 가로경관 개선을 위한 통합 가이드라인 예시 206
그림 4-32. 트램 특화가로 조성 및 가로·교통체계 조성 예시: 변경 전(대동-자양 구간, 우송대 전면가로 일원) 207
그림 4-33. 트램 특화가로 조성 및 가로·교통체계 조성 예시: 변경 후(대동-자양 구간, 우송대 전면가로 일원) 208
그림 5-1. 생활권별 랜드마크 타워 및 경관·관광 거점 구상(안) 211
그림 5-2. 대흥역 일원 산업구조 및 지역 공간구조 분석 212
그림 5-3. 대흥역 일원 선도사업 구상: 대전 스포츠·산업·예술 전진 플랫폼 214
그림 5-4. 대흥역 일원 세부 선도사업: ① 트램 정박지 구상(안) 216
그림 5-5. 대흥역 일원 세부 선도사업: ② 생태예술 거리 구상(안) 218
그림 5-6. 대흥역 일원 세부 선도사업: ③ 창업 전진기지 구상(안) 220
그림 5-7. 대동-자양역 일원 산업구조 및 지역 공간구조 분석 221
그림 5-8. 대동-자양역 일원 선도사업 구상: 대전 캠퍼스 창의·문화 및 트램 특화 가로 223
그림 5-9. 대동-자양역 일원 세부 선도사업: ① 대중교통·보행·경관특화 가로 구상(안) 225
그림 5-10. 대동-자양역 일원 세부 선도사업 ② Made in Daejeon Center 구상(안) 227
그림 5-11. 유성온천역 일원 산업구조 및 지역 공간구조 분석 228
그림 5-12. 유성온천역 일원 선도사업 구상: 온천 및 컨벤션 직접지구 및 스마트 그린 특화가로 230
그림 5-13. 유성온천역 일원 세부 선도사업: ① 스마트 그린특화 가로 구상(안) 232
그림 5-14. 유성온천역 일원 세부 선도사업: ② 대전 입체복합 드림타운·컨벤션 구상(안) 234
그림 5-15. 오정역 일원 산업구조 및 지역 공간구조 분석 235
그림 5-16. 오정역 일원 선도사업 구상: 대전 post-BI 특화센터 및 생활SOC형환승센터 입체복합화 237
그림 5-17. 오정역 일원 세부 선도사업: ① 대전 post-BI 특화센터 구상(안) 239
그림 5-18. 오정역 일원 세부 선도사업: ② 대전 린스타트 플랫폼 구상(안) 241
그림 5-19. 도마역 일원 산업구조 및 지역 공간구조 분석 242
그림 5-20. 도마역 일원 선도사업 구상: 대전 청소년·공동체 상상허브 및 교육·공동체 지원 플랫폼 244
그림 5-21. 도마역 일원 세부선도사업: ① 대전 청소년·공동체 상상허브 구상(안) 246
그림 5-22. 도마역 일원 세부 선도사업: ② BRT 환승센터 및 도심연계 보행 가로 구상(안) 248
그림 6-1.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구축 표준모델 254
그림 6-2. 그린 스타트업 타운 개요 및 조감도(안) 255
그림 6-3. 대전시 대덕구 오정동 문화적 도시재생사업 추진 사례 255
그림 6-4. 지역별 KT&G 상상마당 256
그림 6-5. 현대카드 사회적공헌사업(CSR) 추진 사례 257
그림 6-6. 민관협력 도시재생 사업의 구조 259
그림 6-7. 서울 동작구 크라우드펀딩 연계 지원사업 예시 260
그림 6-8. 유관 사업 연계 및 추진 로드맵 26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