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목차 2

I. 조사 개요 5

1. 조사 배경 및 목적 5

2. 조사내용 및 방법 6

3. 조사 기간 및 담당자 6

II. 일반 현황 7

1. 정의 7

2. 식품 점자 표기 관련 해외사례 9

3. 식품 점자 표기 관련 법률 11

가. 현행 법령 11

나. 입법 동향 12

다. 기타 법령 13

III. 시각장애인 식품 점자 표기 모니터링 14

1. 시각장애인 식품 점자 표기 모니터링 개요 14

2. 식품 점자 표기 여부 기초 조사 16

가. 음료류 16

나. 면류(라면) 21

다. 우유류 23

3. 식품 점자 표기 세부 내용 실태조사 25

가. 음료류 25

나. 라면류 31

다. 우유류 34

IV. 소비자 설문조사 37

가. 응답자 특성 37

나. 식품 구매 일반 현황 38

다. 음료 점자 표기 관련 질문 41

라. 컵라면 점자 표기 관련 질문 42

마. 우유류 점자 표기 관련 질문 43

바. 식품 점자 표기 만족도 및 개선방안 44

V. 문제점 및 개선방안 47

1. 제품명 등 구체적인 점자 표기 필요 47

가. 문제점 47

나. 개선방안 48

2. 가독성 향상을 위한 점자 규격 및 위치 표준화 48

가. 문제점 48

나. 개선방안 49

VI. 후속조치 51

1. 정책건의 51

2. 소비자 정보 제공 51

참고 자료 52

참고 사이트 52

별첨 : 조사대상 식품 목록 53

표목차 3

[표2-1] 시각장애정도 판정기준 7

[표2-2] 한국 점자 사용 규격(재질별 자간거리) 8

[표2-3]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주요 조항 11

[표2-4] 「식품 등의 표시기준」의 주요 조항 12

[표2-5]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개정안의 주요 조항 12

[표2-6] 「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의 주요 조항 13

[표3-1] 소매시장 기준 음료류 분류 16

[표3-2] 페트병(PET) 음료 중 점자 표기 제품 17

[표3-3] 음료류 점자 표기 제품 현황(캔, 페트병) 18

[표3-4] 캔 음료 용량별 점자 표기 현황 18

[표3-5] 페트병(PET) 음료 용량별 점자 표기 현황 19

[표3-6] '21년 면류시장 점유율 순위 21

[표3-7] 라면 품목 주요 생산 업체 제품 및 점자 표기 제품 현황 22

[표3-8] 우유 생산 업체별 매출액 순위 23

[표3-9] 음료류 품목 제품의 점자 표기 내용 25

[표3-10] 점자 표기 가독성 평가 대상(음료 제품) 27

[표3-11] 점자 표기 가독성 평가 대상(컵라면 제품) 32

[표3-12] 품목별, 용량별 점자 표기 여부 기초 조사 현황 36

[표4-1] 시각장애정도 기준 37

[표4-2] 응답자 연령대 38

[표5-1] 식품 점자 표기 희망 위치 응답 결과 49

[표5-2] 식품 점자 표기 위치 개선방안 50

그림목차 4

[그림2-1] 점자 모양 및 점자 규격 예시 8

[그림2-2] 포장 용기별 양각 식별 표시 기준(주류) 예시(일본) 10

[그림2-3] 일본 점자 표기 제품 10

[그림3-1] 시각장애인 등록 현황 14

[그림3-2] 캔 음료 점자 표기 제품 17

[그림3-3] 페트병(PET) 음료 품목의 용량별 모니터링 제품군 19

[그림3-4] 캔, 페트병(PET) 음료 점자 표기 사례 20

[그림3-5] 라면류 품목의 점자 표기 제품 22

[그림3-6] 종이팩 우유 포장 비교 24

[그림3-7] 음료류 품목 제품의 점자 표기 내용 26

[그림3-8] 캔, 페트병(PET) 음료 제품 점자 위치 26

[그림3-9] 캔 음료(175~275mL) 제품의 점자 표기 가독성 평가 결과(30개) 28

[그림3-10] 캔 음료(340~355mL) 제품의 점자 표기 가독성 평가 결과(8개) 29

[그림3-11] 페트병(PET) 음료 제품의 점자 표기 가독성 평가 결과(13개) 30

[그림3-12] 컵라면 제품 점자 표기 위치 비교 31

[그림3-13] 컵라면 소컵 제품의 점자 표기 가독성 평가 결과(11개) 33

[그림3-14] 컵라면 대컵 제품의 점자 표기 가독성 평가 결과(15개) 33

[그림3-15] 우유 제품 점자 표기 사례 35

[그림3-16] 점자 가독성 평가 35

[그림3-17] 품목별, 용량별 가독성 평균 점수(3점 척도 기준) 36

[그림4-1] 설문 응답자의 장애 정도에 따른 구분(N=192) 37

[그림4-2] 주 식품 구매 채널 선호도(N=192) 38

[그림4-3] 오프라인 매장 선호 이유(N=192) 39

[그림4-4] 온라인 유통 채널 선호 이유(N=74) 39

[그림4-5]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식품 구매 방법(N=192) 40

[그림4-6] 장애 정도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식품 구매 방법(N=192) 40

[그림4-7] 음료 점자 표기 관련 불편 여부(N=192) 41

[그림4-8] 음료 점자 표기 희망 위치(N=160) 41

[그림4-9] 음료 점자 표기 희망 내용(N=192, 최대 2개까지 중복응답) 42

[그림4-10] 컵라면 점자 표기 관련 불편 여부(N=192) 42

[그림4-11] 컵라면 제품 점자 표기 희망 내용(N=192, 최대 2개까지 중복응답) 43

[그림4-12] 우유 점자 표기 관련 불편 여부(N=192) 43

[그림4-13] 우유 점자 표기 희망 내용(N=192, 최대 2개까지 중복응답) 44

[그림4-14] 식품 점자 표기 만족도(N=192) 44

[그림4-15] 품목별 불편 유형(최대 3개까지 중복응답) 45

[그림4-16] 식품 정보 제공 선호 방법(N=192, 최대 2개까지 중복응답) 45

[그림4-17] 식품 점자 표기 개선방안(N=192, 최대 3개까지 중복응답) 46

[그림5-1] 캔 음료 표기 위치 및 방향 개선방안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