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제출문 4

목차 5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내용 16

제3절 연구방법 17

제2장 5060 신중년의 평생교육과 일자리 이해 18

제1절 5060 신중년의 평생교육과 일자리 18

1.1. 5060 신중년의 개념적 의미 18

1.2. 5060 신중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1

1.3. 5060 신중년의 일자리 특성 및 관련 정책 25

1.4. 5060 신중년과 평생교육 30

제2절 해외 사례 분석 40

2.1. 미국의 5060 신중년 평생교육과 일자리 연계 40

2.2. 일본의 5060 신중년 평생교육과 일자리 연계 44

2.3. 독일의 5060 신중년 평생교육과 일자리 연계 47

제3절 국내 사례 분석 54

3.1. 5060 신중년 대상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현황 54

3.2. 5060 신중년의 평생교육과 일자리 연계 64

제4절 성남시 5060 신중년 평생교육 현황 80

4.1. 성남시 평생교육정책 현황 80

4.2. 5060 신중년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만족도 84

제3장 성남시 5060 신중년의 평생학습과 일자리 요구조사 93

제1절 성남시 5060 신중년의 평생학습 관련 요구조사 93

1.1. 설문조사 개요 93

1.2. 조사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95

1.3. 분석 결과 101

제2절 성남시 5060 신중년의 평생학습 관련 기관별 요구조사 125

2.1. 질적 연구 개요 125

2.2. 집단심층면접(FGI) 및 자문 참여자 특성 127

2.3. 분석 결과 128

제4장 결론 145

제1절 요약 및 논의 145

제2절 제언 157

참고문헌 167

[부록] 설문지 171

판권기 182

[뒷표지] 183

표목차 7

〈표 1-1〉 OECD 주요국 66세 이상의 상대적 빈곤율 차이 12

〈표 1-2〉 연령대별 빈곤인구 비율 13

〈표 1-3〉 연령대별 평생교육 참여율 14

〈표 2-1〉 정부 신중년 지원정책 29

〈표 2-2〉 평생교육기관의 분류 31

〈표 2-3〉 비형식교육 프로그램 분류표 33

〈표 2-4〉 그륀더 50+의 KPI(목표치) 50

〈표 2-5〉 2021년 경기도 중장년 교육 및 일자리 지원 정책 60

〈표 2-6〉 경기도 중장년 행복캠퍼스(남부-강남대학교) 사업별 상세 내용 61

〈표 2-7〉 부산시 50+생애재설계 사업 64

〈표 2-8〉 노사발전재단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 사업별 구성 65

〈표 2-9〉 노사발전재단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 구성 67

〈표 2-10〉 노사발전재단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 전직스쿨프로그램 구성 68

〈표 2-11〉 노사발전재단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 재도약프로그램 구성 69

〈표 2-12〉 서울시 50플러스재단의 50+지원 종합계획 70

〈표 2-13〉 서울시 50+일자리 지원사업 구성 71

〈표 2-14〉 수원시 신중년 인생이모작지원센터 사업 구성 74

〈표 2-15〉 부천시 인생이모작지원센터 사업 구성 76

〈표 2-16〉 안양시 베이비부머지원센터 사업 구성 77

〈표 2-17〉 인천광역시 고령사회대응센터 사업 구성 78

〈표 2-18〉 고령자인재은행 사업내용 및 참여방법 79

〈표 2-19〉 응답자의 인적 특성 87

〈표 2-20〉 성남시 평생교육 참여경험 및 추천의향 88

〈표 2-21〉 성남시 신중년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90

〈표 2-22〉 성남시 평생학습관에 필요한 공간 92

〈표 3-1〉 설문지 문항 구성 94

〈표 3-2〉 조사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97

〈표 3-3〉 거주지역별 응답자의 최종학력 99

〈표 3-4〉 거주지역별 응답자의 경제활동상태 100

〈표 3-5〉 거주지역별 응답자의 주관적 경제 수준 101

〈표 3-6〉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102

〈표 3-7〉 거주지역별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 참여 경험 103

〈표 3-8〉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의 주된 목적 104

〈표 3-9〉 거주지역별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의 주된 목적 104

〈표 3-10〉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시설 106

〈표 3-11〉 평생교육 프로그램 미참여 이유 107

〈표 3-12〉 향후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의향 108

〈표 3-13〉 거주지역별 향후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의향 109

〈표 3-14〉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희망 분야 110

〈표 3-15〉 거주지역별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희망 분야 111

〈표 3-16〉 향후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이유 112

〈표 3-17〉 평생교육이 필요한 이유 112

〈표 3-18〉 거주지역별로 본 평생 배워야 하는 이유 113

〈표 3-19〉 5060 신중년에게 가장 중요한 평생교육 영역 114

〈표 3-20〉 거주지역별 5060 신중년에게 가장 중요한 평생교육 영역 115

〈표 3-21〉 선호하는 평생교육 학습방법 116

〈표 3-22〉 거주지역별 선호하는 평생교육 학습방법 116

〈표 3-23〉 신중년 전용 특화시설(평생학습관)의 필요성 117

〈표 3-24〉 거주지역별 신중년 전용 특화시설(평생학습관)의 필요성 118

〈표 3-25〉 성남시 5060 신중년에게 지원이 필요한 분야 119

〈표 3-26〉 거주지역별 성남시 5060 신중년에게 지원이 필요한 분야 120

〈표 3-27〉 성남시 5060 신중년 대상 평생교육 분야의 필요 정도 122

〈표 3-28〉 신중년 대상 평생교육 분야의 지역별 필요 정도 123

〈표 3-29〉 집단심층면접(FGI) 및 서면자문 조사 항목 126

〈표 3-30〉 참여자 인적 특성 128

그림목차 10

[그림 1-1] 연구방법 17

[그림 2-1]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25-64세) 32

[그림 2-2] 비형식교육 참여형태별/영역별 참여율 35

[그림 2-3] 비형식교육 프로그램별 참여율과 참여목적 35

[그림 2-4] 연령별 성인 평생학습 참여율 38

[그림 2-5] 독일 시민학교(Volkshochschule) 프로그램 구성 49

[그림 2-6] 그륀더(Gründer) 50+의 프로그램 개요 51

[그림 2-7] 인생 3모작 개념도 54

[그림 2-8] 신중년 인생 3모작 목표와 추진과제 55

[그림 2-9] 서울시 50플러스 캠퍼스와 센터 현황 58

[그림 2-10] 서울시 50+일자리 지원체계 70

[그림 2-11] 2020년 현재 성남시 연령대별 인구 비율 80

[그림 2-12] 2011년 대비 2020년 성남시 연령대별 인구수 증감 81

[그림 2-13] 성남시 노령화 지수(2014~2018) 82

[그림 3-1] 조사절차 93

[그림 3-2] 조사 참여자의 성별, 연령, 학력 수준 95

[그림 3-3] 참여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내용 107

[그림 3-4]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희망 분야 110

[그림 3-5] 신중년 전용 특화시설(평생학습관)의 필요성 118

[그림 3-6] 집단심층면접(FGI) 진행 절차 125

[그림 4-1] 5060 신중년을 위한 평생학습 정책 체계도 157

[그림 4-2] 성남시 신중년을 위한 전용 평생학습관의 역할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