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부 특집테마 19
누리호 발사 및 향후 우주기술 개발 방향 20
1. 한국형발사체의 역사 및 의의 20
2. 누리호 발사 성공 사례 22
3. 향후 정책 및 기술개발 방향 29
제2부 과학기술정책 추진 현황 31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32
제1절 국가과학기술 비전 추진현황 32
1.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수립 32
2.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성과 40
제2절 국가과학기술정책 운영체계 42
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42
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운영 49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61
제1절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전략적 배분 61
1.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ㆍ조정 개요 61
2.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및 기준(이하 투자방향) 63
3. 2023년 R&D 예산편성 결과 및 중점 투자 분야 65
4. 정부 R&D 투자시스템 개선 68
제2절 국가연구 개발 투자의 시스템 혁신 69
1.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 연구 자율성 강화 69
2.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75
3.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제도 개선 81
4.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성과 활용ㆍ확산 88
5. 국가연구시설장비의 관리ㆍ활용 혁신 94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100
제1절 과학적 지식 탐구 및 창의ㆍ도전적 연구 진흥 100
제2절 연구몰입 환경 조성 107
1.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성과 107
2. 연구자 주도 R&D 제도 혁신 113
제3절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119
제4절 과학기술문화 확산 125
제5절 과학기술 외교 강화 131
1. 국가 간 협력(양자) 131
2. 국제기구 협력 136
3. 글로벌 진출지원 139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141
제1절 협력ㆍ융합연구 활성화 141
1. 융합연구 141
2. 나노ㆍ소재기술 147
제2절 기술혁신형 창업ㆍ벤처 활성화 151
제3절 경쟁력 있는 지식재산 창출 159
제4절 디지털 표준을 통한 선도형 경제 전환 167
제5절 지역주도의 지역혁신시스템 확립 170
제5장 신산업ㆍ일자리 창출 지원 176
제1절 4차산업혁명 대응 기반 강화 176
1. 미래 이동통신 주도권 선점 176
2. ICT 분야 표준ㆍ특허 경쟁력 강화 179
제2절 국가전략기술 육성 183
제6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192
제1절 건강하고 활기찬 삶 구현 192
제2절 안심ㆍ안전한 사회 구현 200
1. 재난ㆍ안전 200
2. 국방역량 강화 203
제3절 쾌적ㆍ편안한 생활환경 구현 207
1. 기후변화 대응 207
제4절 포용적 사회 실현 212
제3부 과학연구개발 활동 현황 221
제1장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 222
제1절 연구개발활동조사 개요 및 의의 222
1. 개요 및 의의 222
제2절 주요 활동조사 결과 223
1. 연구개발비 223
2. 연구원 223
3. 기업부문 연구 활동 223
4. 신규 R&D투자기업('17)에 대한 정부R&D지원 효과 223
제2장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ㆍ분석 결과 224
제1절 개요 및 의의 224
제2절 주요 조사ㆍ분석 결과 225
1. 국가 R&D 총 집행규모 225
2. 주요 기술 분야 집행현황 225
3. 연구개발 단계별 및 연구수행 주체별 집행현황 225
4. 과제별 및 연구자별 현황 22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26
제1절 기초기반연구 226
1. 기초연구 226
2. 원자력 275
제2절 정보통신기술(IT) 300
1.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300
2. 유무선 통신 및 전파 333
3. 방송통신융합 344
4. 정보보호 358
제3절 생명공학기술 371
1. 생명과학 371
2. 보건의료 385
3. 식품ㆍ의약품 등 안전 분야 400
4. 농림ㆍ축산ㆍ식품 412
5. 산림 433
6. 수산 440
제4절 환경공학기술(ET) 455
1. 환경 455
2. 해양 극지 개발 475
3. 기상 492
4.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499
5. 에너지 및 자원 513
제5절 나노(NT)기술 533
제6절 우주항공기술 549
제7절 문화기술 557
제8절 산업기술 572
제9절 국방ㆍ재난안전 기술 636
1. 국방 636
2. 재난안전 666
제10절 건설ㆍ교통 기술 675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675
제4부 첨부자료 698
제1장 주요 과학기술 통계 699
제2장 주요 과학기술 관련 법령 제ㆍ개정 현황 734
제3장 2022년 과학기술활동 연표 756
제4장 2022년도 과학기술연감 원고 집필진 787
판권기 792
[그림 2-1] 비전 및 추진과제 33
[그림 2-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변천사 42
[그림 2-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구성 42
[그림 2-4] 심의회의 구성 44
[그림 2-5]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ㆍ조정 프로세스 62
[그림 2-6]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주요내용 64
[그림 2-7] 최근 10년간 연구개발 투자 증가율 66
[그림 2-8] 최근 10년간 정부 총지출 및 연구개발 투자 규모 67
[그림 2-9] 연구사업계획과의 연동 계획(안) 71
[그림 2-10] 일반예타와 신속조사의 조사기간 비교 77
[그림 2-11] 총괄위원회, 분과위원회 및 종합평가위원회 구성 78
[그림 2-12]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교육 및 분과위원 교육 79
[그림 2-13]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현장방문 80
[그림 2-14]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체계 81
[그림 2-15] 국가연구개발 성과 관리ㆍ활용 제도개선안 주요내용 92
[그림 2-16] 기술개발의 선순환 구조 92
[그림 2-17]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3~'27) 비전 및 추진전략 95
[그림 2-18]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온라인 조사 시스템 및 보고서 96
[그림 2-19] ZEUS 워크숍 실시 98
[그림 2-20] KSFree2022 99
[그림 2-21]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찾아가는 현장설명회 108
[그림 2-22] IRIS 통합 고객대응체계 110
[그림 2-23] 연구자권익보호위원회 구성 111
[그림 2-24] 제재처분 절차의 변화 111
[그림 2-25] IRIS 고도화 추진 방향(안) 113
[그림 2-26]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 체계(혁신법 제29조) 114
[그림 2-27] 온라인 연구현장 의견수렴 응답자 분포도 116
[그림 2-28]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의견 수렴 등 개선 운영 체계 117
[그림 2-29] 제2차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계획('22~'26) 주요내용 121
[그림 2-30] 대한민국 과학축제 현장 사진 126
[그림 2-31] 민간 과학문화 활동 과제 지원 128
[그림 2-32] 국립과학관(중앙, 광주, 부산) 내 어린이과학관 129
[그림 2-33] STEAM연구사업 142
[그림 2-34] 2022년 STEAM연구사업 성과공유회 행사전경 145
[그림 2-35] 2022년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개발사업 관련 주요행사 145
[그림 2-36]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별 100대 미래소재 149
[그림 2-37] 기준금리, 환율 인상 추이 151
[그림 2-38] 창업 생태계 규모 변화 151
[그림 2-39] 창업기업 성장단계별 주요 지원프로그램 153
[그림 2-40] K-바이오 랩허브 구축 및 협력 모델(안) 155
[그림 2-41] 스타트업 청년인재 이어드림 프로젝트 156
[그림 2-42] 창업중심대학 157
[그림 2-43] 2022년도 글로벌 협업 프로그램 내용 158
[그림 2-44]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과 기존 지원 사업 비교 165
[그림 2-45] 연구개발특구 지정현황 170
[그림 2-46] 최근 4년간 특구육성사업을 통한 일자리 및 과제기여 매출액 171
[그림 2-47]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 지정 절차 173
[그림 2-48] 초광역 협력 사업 추진 프로세스 174
[그림 2-49] 이동통신 세대별 주요 기술 변화 177
[그림 2-50] 1단계 6G R&D 연차별 추진 계획 177
[그림 2-51] 기존의 RAN과 오픈랜의 차이점 178
[그림 2-52] 전략기술 육성 관련 주요국 동향 183
[그림 2-53] 국가전략기술 선정 기준 184
[그림 2-54]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추진방향 및 예시 188
[그림 2-55] 임무지향 전략로드맵 핵심요소 189
[그림 2-56] 한국 기대수명 추이(2010~2020년) 192
[그림 2-57] 2022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육성 시행계획 추진 방향 194
[그림 2-58] 2022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성과 196
[그림 2-59] 제4차 종합계획 비전 및 목표 202
[그림 2-60] 2022년 개발 완료된 핵심기술 연구개발 사례 205
[그림 2-61]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 주요내용 208
[그림 2-62] 「수소기술 미래전략」 주요내용 209
[그림 2-63] CTCN 협력연락사무소 개소식 및 기후기술 인력양성 특화센터 현판식 210
[그림 2-64] 주민공감 현장문제 해결사업 지역혁신 사례 213
[그림 2-65] 폴리스랩 2.0 2022년 선정 본연구 과제 215
[그림 2-66]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 주요성과 216
[그림 2-67] 소방안전관리자용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프로토타입의 작업 모습 217
[그림 2-68]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사업 추진과제 218
[그림 2-69]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개발사업 추진 전후 개선 효과 219
[그림 2-70] 실시간 광대역 감시망 구축 기술개발을 위한 총괄 추진체계 220
[그림 3-1]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ㆍ분석 추진체계 224
[그림 3-2] 동형암호의 원리 235
[그림 3-3] 코로나19 확산 관련 예측 236
[그림 3-4] 화학산업 및 전후방 산업 242
[그림 3-5] 주요분야별 석유사용량 243
[그림 3-6] 제3회 지구과학연합 연례학술대회 247
[그림 3-7] 희귀동위원소의 특징 264
[그림 3-8] 중이온가속기 RAON의 희귀동위원소 생성원리 265
[그림 3-9]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MSU)의 FRIB 초전도 가속모듈 266
[그림 3-10] 독일, GSI 헬름홀츠 중이온연구소 FAIR 건설 현장 267
[그림 3-11] 가속장치 구축현황 269
[그림 3-12] 기반장치 구축 현황 270
[그림 3-13] RI생성장치 구축현황 270
[그림 3-14] 초저에너지 실험장치 현황 271
[그림 3-15] 저에너지 실험장치 현황 272
[그림 3-16] 고에너지 실험장치 구축현황 273
[그림 3-17] 중이온가속기 빔 인출 시험절차 273
[그림 3-18] 중이온가속기 QWR 전 구간 빔 인출 결과 274
[그림 3-19] 핵물리 분야 연구 추진(안) 275
[그림 3-20] 미소셀 소결체 소재 성능 개선 277
[그림 3-21] 피복관 제조 기술 277
[그림 3-22] 방사선 분해성 원료물질 생산 및 실증 277
[그림 3-23] 원자력을 이용한 수전해의 원리 281
[그림 3-24] MARVEL 프로토타입 282
[그림 3-25] ARPA-E 원자력분야 연구개발 프로그램 283
[그림 3-26] 혁신형 SMR 개념도 286
[그림 3-27] 산업 이용 방사선 융합기술 개발 전략 287
[그림 3-28] ITER 사업의 한국 조달 현황 290
[그림 3-29] 2021년 KSTAR 1억도 30초 달성 296
[그림 3-30] 2021년 ITER 조달품목 제작 및 운송 현황 298
[그림 3-31] 세계 ICT 산업 성장 현황 300
[그림 3-32] 국내 ICT 산업의 GDP/무역수지 기여 현황 301
[그림 3-33] 디지털 혁신기술 302
[그림 3-34]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인공지능) 사업 성과 304
[그림 3-35] 인공지능 R&D 챌린지 추진방식 306
[그림 3-36] 2022년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대회 시상식 306
[그림 3-37] 2020~2025년 국내 빅데이터 및 분석 시장 전망 308
[그림 3-38] 코딩 AI 도구 코파일럿(Copilot) 서비스 314
[그림 3-39] DALL-E2 텍스트("An astronaut riding a horse")로부터 생성한 이미지 예시 314
[그림 3-40] Human level AI를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 317
[그림 3-41] DARPA의 제3세대 인공지능 기술 개발 318
[그림 3-42] 인공지능 기술 조감도(Intelligence vs Capacity) 320
[그림 3-43] 주요국 디지털 데이터 시장 규모(2016~2020) 322
[그림 3-44] 국내 데이터 시장규모(2016~2020) 325
[그림 3-45] 주요 추진 성과 325
[그림 3-46] 통합 데이터지도 주요 기능 329
[그림 3-47]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와 모바일 운전면허증 서비스 화면 332
[그림 3-48] 3GPP Ongoin Release timelines 339
[그림 3-49] ITU-R IMT-2030 work plan 341
[그림 3-50] 구글, UC Berkeley의 딥러닝 기반 시점영상 합성 기술 350
[그림 3-51] 비디오 부호화 기술 표준화 동향 352
[그림 3-52] 오디오 부호화 기술 표준화 동향 352
[그림 3-53] 5G와 ATSC 3.0 방송망 융합 전송 기술 353
[그림 3-54] ETRI 인공지능 기반 장면 자동 해석 기술 354
[그림 3-55] ETRI 의료현장 양방향 수어 동시통역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357
[그림 3-56] 경로-파괴형(path-breaking)으로의 R&D혁신 모델 전환 376
[그림 3-57] 바이오 대전환의 3가지 방향 377
[그림 3-58] 개인 맞춤형 바이오틱스 설계 기술 모식도 380
[그림 3-59] 세포 리프로그래밍과 조직 재생의 주요 공통 인자(Dsp)의 작용에 관한 모식도 381
[그림 3-60] 연구결과 요약 모식도 383
[그림 3-61]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성과(렉키로나) 393
[그림 3-62] 코로나19 방역용품 개발 성과 394
[그림 3-63] 신약개발 단계별 AIㆍ빅데이터 활용 방안 397
[그림 3-64] 제1차 통합심사 혁신의료기기 지정 현황 398
[그림 3-65] 식약처 식품안전 중장기 발전방향 407
[그림 3-66] 국가별 수위기반 간단관개 기술의 적용비율 416
[그림 3-67] 전 세계 쌀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417
[그림 3-68] 스마트 양식 기술 개발 관련 연구 추진 444
[그림 3-69] 수산식품 개발 관련 연구 추진 444
[그림 3-70] 해양바이오 기술개발 및 상용화 관련 연구 추진 445
[그림 3-71] 수산자원 관리 관련 연구 추진 446
[그림 3-72] 기후변화 대응 관련 연구 추진 447
[그림 3-73] 수산생명자원 관련 연구 추진 448
[그림 3-74] 수산질병 관련 연구 추진 448
[그림 3-75] 수산업안전 확보를 위한 어업선진화 관련 연구 추진 449
[그림 3-76] 기후ㆍ대기 분야 주요 연구성과 458
[그림 3-77] 토양ㆍ물관리 분야 주요 연구성과 458
[그림 3-78] 생태ㆍ자원순환 분야 주요 연구성과 459
[그림 3-79] 환경보건 분야 주요 연구성과 460
[그림 3-80] 노출평가 사례연구 및 표준 프로토콜(안) 461
[그림 3-81] 살생물제품 효과효능시험(모의표면시험) 462
[그림 3-82] 대기질 측정용 중형항공기 및 항공관측 결과 463
[그림 3-83] 국제인정협력기구(IAF) 다자간상호인정협정(MLA) 협정서 464
[그림 3-84] 비정형 배출구 악취물질 측정방법 465
[그림 3-85] 미세먼지 모델 예측 결과 466
[그림 3-86] 환경위성센터 누리집 위성영상 관련 화면 466
[그림 3-87] LH-OAT 기법을 이용한 매개변수 최적화 및 DNN 자료기반 시계열 녹조 예측 467
[그림 3-88] 수질항목별 손상수체 우선관리지역 분석결과 468
[그림 3-89] 다양한 형태의 미세플라스틱 및 처리장 방류량과 미세플라스틱 부하량 관계 469
[그림 3-90] 폐플라스틱 재활용 전과정 평가연구 연차별 진행 계획 469
[그림 3-91] 폐플라스틱 물질흐름도('19년 기준) 470
[그림 3-92]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물질수지 흐름도 및 매립시설 현장조사 470
[그림 3-93] 이천시의 물환경 관리계획 종합 참고도 471
[그림 3-94] 적정환기방법 및 적정환기 시 1일 평균 실내라돈농도 472
[그림 3-95] 신속한 수질판단을 위한 필터시험법 활용 가이드라인 473
[그림 3-96] 환경측정기기 신뢰성 평가(테스트베드) 474
[그림 3-97] 폐광산 주변지역 현지조사 및 골프장 토양 시료채취 474
[그림 3-98] 해양분야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480
[그림 3-99] 해상운송 체계 지능화 및 해상 물류서비스 혁신 연구내용 484
[그림 3-100] 한국형 연안재난재해 피해저감 기술개발(K-Ocean Watch) 484
[그림 3-101] 예보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 493
[그림 3-102] 인공강우 항공실험 결과 및 언론보도 494
[그림 3-103] 기후감시 및 기후변화예측 기술분야 연구개발 성과 495
[그림 3-104]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지역 기상정보 상세모델(10m 해상도) 산출물 495
[그림 3-105]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목록 517
[그림 3-106] 현장 데이터 취득 센서 장착 및 생산예측 평가시스템 구현 527
[그림 3-107] 나노기술의 정의 및 특징 539
[그림 3-108] 나노 및 소재기술의 발전 540
[그림 3-109] 양자점 활용 조명과 THz 카메라 541
[그림 3-110] 칩 없는 무선 전자스킨과 계산하는 실리콘 이미지 센서 542
[그림 3-111] 전고체전지 금속산화물 나노필름과 그래핀 기반 고분자 전지 543
[그림 3-112] MXene 기반 마이크로로봇의 나노플라스틱 검출과 셀룰로오스 나노결정 기반 바이오플라스틱 544
[그림 3-113] 지질나노입자 이미지과 웨어러블 마이크로 니블 전기화학적 aptamer 바이오센서 545
[그림 3-114] Robotic four-dimensional pixel assembly of van der Waals solids 548
[그림 3-115]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상상도와 설치위치(NASA) 554
[그림 3-116] ㈜더블미, ㈜투썬디지털아이디어 및 삼성전자의 실감 가상인간 생성 기술 563
[그림 3-117] 344문화유산 기술개발 2022년 주요 성과 570
[그림 3-118] 스마트 팩토리 적용 사례 579
[그림 3-119] Universe Robot社(미국)의 협동로봇 및 보스톤다이내믹스(현대차그룹 인수)의 'Spot' 580
[그림 3-120] ASML社 EUV, 장비 및 IBM의 세계최초 2나노 반도체 582
[그림 3-121] 산업용 로봇 및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 584
[그림 3-122] 국내 최초 액화수소 플랜트 모식도 및 수소 혼소 연소기 586
[그림 3-123] 5대 기계산업 2021~2022년 월별 생산ㆍ출하ㆍ재고 증가율 587
[그림 3-124] 5대 기계산업 2021~2022년 월별 수출입 증가율 587
[그림 3-125] 과학기술(화학)과 ICT 간 융합사례 590
[그림 3-126] 석유화학과 철강의 융합사례 591
[그림 3-127] CO₂ 배출 감축을 위한 재생에너지 기여 방안 593
[그림 3-128] GE g3 가스 적용 145㎸ GIS 및 SIEMENS 진공차단방식 145㎸ GIS 595
[그림 3-129] 롤스로이스, 수소연료 항공기 엔진 세계 최초 시험 성공 596
[그림 3-130] 국내 EMS 구축 연혁 597
[그림 3-131] 기존 국산 EMS와 차기EMS 기능 운영도 598
[그림 3-132] LS Electric 친환경 170㎸ GIS 및 현대일렉트릭 친환경 170㎸ GIS 599
[그림 3-133]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사업개요 604
[그림 3-134]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및 시험선 605
[그림 3-135]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 센티미터급 위치정보 보강서비스 기술 개념도 606
[그림 3-136] 최근 전기차 배터리 관련 혁신 사례 611
[그림 3-137] Tesla Semi 외형 및 실내(운전석) 사진 612
[그림 3-138] 최근 공개된 수소전기차 및 개발 중인 수소 내연기관차 614
[그림 3-139] 자동차 생산효율 제고 및 개발비용 절감 사례 617
[그림 3-140] 테슬라,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619
[그림 3-141] 구글 리서치, PaLM-SayCan 620
[그림 3-142] 구글 리서치, Inner Monologue 620
[그림 3-143] 스탠포드대, 개인화된 로봇 부츠 621
[그림 3-144] ETH, 스위스 에첼산을 등반하는 4복 보행 로봇 '애니멀' 621
[그림 3-145] 글래스고대, 고통에 반응하는 민감 전자피부 622
[그림 3-146] 이탈리아기술원(IIT), 유연 인공근육 623
[그림 3-147] 코넬대, 스마트 마이크로 로봇 624
[그림 3-148] KAIST, 4족 보행 로봇 마블 626
[그림 3-149] KAIST, 로봇 피부의 수리 및 기능 복구 627
[그림 3-150]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별 공정 로드맵 631
[그림 3-151] 기술성숙도에 따른 핵심기술의 단계별 구분 636
[그림 3-152] 특화연구센터 개소식 637
[그림 3-153] 관리심도에 따른 사업관리 업무 차등화 637
[그림 3-154] 미래도전국방기술 3대 추진전략 638
[그림 3-155] 기술주도형 소요창출 강화를 위한 3개의 과제기획 제도 638
[그림 3-156] 우주기술 관련 민군겸용기술개발과제 639
[그림 3-157] 다중로봇 협동 자율계획 기술개발 640
[그림 3-158] 「'23~'27 부품국산화 종합계획」 641
[그림 3-159] 국방기술개발 분류 642
[그림 3-160] 국방연구개발 체계도 643
[그림 3-161] N3 프로그램의 두 분야인 비침습(TA1) 및 최소침습(TA2)의 개요도 646
[그림 3-162] OFFSET 프로그램 647
[그림 3-163] 미국 고출력 레이저 개발 현황 652
[그림 3-164] 독일 고출력 레이저 개발 현황(SBC) 652
[그림 3-165] 중국 고출력 레이저 개발 현황 653
[그림 3-166] 캘리포니아 팜데일 생산시설에서 최초 공개된 B-21 폭격기 654
[그림 3-167] 하이브리드 파워팩 전주기 관리 특화연구센터 구성 656
[그림 3-168] 민군기술협력사업 목적 개념도 659
[그림 3-169] 민군기술협력사업 추진체계 660
[그림 3-170] 2022년 착수 4차 산업혁명기술 등 신산업 분야 과제 사례 661
[그림 3-171] 2022년 착수 민군 우주기술분야 과제 사례 662
[그림 3-172] 2021년 부처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현황 667
[그림 3-173] 2022년 8월 서울시 일대 침수피해 현황 669
[그림 3-174] 1912~2020년 연대별 강수 변화 추세 670
[그림 3-175] 실시간 제어 시스템의 구성 671
[그림 3-176] Data-Network-AI(DNA) 연계도 673
[그림 3-177] 연차별 정부 및 국토교통 R&D 투자 규모 675
[그림 3-178] 국토교통 R&D분야별 투자비중 및 추이 676
[그림 3-179] 2022년 국토교통 R&D 기술분야 별 지원사업 현황 676
[그림 3-180] 2022년도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추진 기본방향 677
[그림 3-181] 4대 중점 추진전략 + 2대 특별 핵심전략 과제 677
[그림 3-182] 2022년 국토교통 R&D 중점 투자방향 별 추진사업 679
[그림 3-183] 주요 산업별 생산성 추세 681
[그림 3-184] 우리나라 스마트 건설 사업 추진 현황 686
[그림 3-185] 자율주행 도입에 따른 도로인프라의 구분 690
[그림 3-186] 자율주행을 고려한 차선관리 기준 691
[그림 3-187] 위치참조 및 정보제공을 위한 자율주행 교통안전표지(예) 692
[그림 3-188] CARMA 프로젝트의 구성 692
[그림 3-189] MAVEN 프로젝트의 I2V서비스 예 69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11173 | R 605.8 ㄱ373 | 202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 이용가능 |
0003011174 | R 605.8 ㄱ373 | 202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 이용불가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