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교육과정 연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연구책임자: 김진숙 ; 공동연구자: 김묘은, 박일준, 배현순, 이지은, 임동신, 임지영, 홍선주 인기도
발행사항
대구 :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2023
청구기호
371.334 -23-28
자료실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형태사항
xxi, 295 p. : 삽화 ; 30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 CR 2023-1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5553043
제어번호
MONO12023000045552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88-295
부록/보유자료:디지털 리터러시 구성체계 및 교과별 성취기준 연계  바로보기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5

Ⅰ. 서론 2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6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8

3. 연구 방법 29

4. 기대 효과 30

Ⅱ.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정립 31

1.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선행연구 분석 31

2.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 분석 47

3.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타당화 63

4.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수립 96

Ⅲ. 교과 교육과정과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연계 103

1. 교과 교육과정과 디지털 리터러시 연계 방향 수립 103

2. 교과별, 학년별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연계 분석 108

3.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교과 맵핑(mapping) 192

Ⅳ. 디지털 리터러시 경험 분석 211

1. 경험 분석 개요 211

2. 경험 분석 결과 212

Ⅴ. 교과 연계 디지털 리터러시 교수학습 사례 분석 225

1. 교과 연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개요 225

2. 국내ㆍ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사례 분석 결과 229

3.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68

Ⅵ. 교과 연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안 271

1. 교과 연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운영 방향 271

2. 교과 연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및 설계 전략 탐색 278

3. 교과 연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설계 예시 285

Ⅶ. 요약 및 제언 292

1. 요약 및 결론 292

2. 제언 310

참고문헌 313

판권기 321

〈표 Ⅱ-1〉 UNESCO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UNESCO, 2018: 23-25) 35

〈표 Ⅱ-2〉 디지털 지능 프레임워크(DQ 연구소, 2019) 37

〈표 Ⅱ-3〉 디지털 리터러시의 체계(교육부, 2022) 43

〈표 Ⅱ-4〉 디지털 리터러시에 관한 핵심 요소 44

〈표 Ⅱ-5〉 키워드 추출을 위한 사전 처리 49

〈표 Ⅱ-6〉 기간별 게재 논문 수와 비율 변화 50

〈표 Ⅱ-7〉 기간별 핵심 키워드 빈도수 비교 51

〈표 Ⅱ-8〉 기간별 키워드 연결 중심성 분석 55

〈표 Ⅱ-9〉 1기 클러스터(2017~2018) 57

〈표 Ⅱ-10〉 2기 클러스터(2019~2020) 58

〈표 Ⅱ-11〉 3기 클러스터(2021~2022) 60

〈표 Ⅱ-12〉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초안 69

〈표 Ⅱ-13〉 초등 협의회 운영 내용 71

〈표 Ⅱ-14〉 초점집단면접조사(FGI) 분석 결과 73

〈표 Ⅱ-15〉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수정안 77

〈표 Ⅱ-16〉 월드카페테리아 운영내용 82

〈표 Ⅱ-17〉 월드카페테리아 진행 절차 83

〈표 Ⅱ-18〉 월드카페테리아 7가지 기본 원칙 84

〈표 Ⅱ-19〉 월드카페테리아 운영결과 대영역 1 85

〈표 Ⅱ-20〉 월드카페테리아 운영결과 대영역 2 88

〈표 Ⅱ-21〉 월드카페테리아 운영결과 대영역 3 91

〈표 Ⅱ-22〉 월드카페테리아 운영결과 대영역 4 93

〈표 Ⅱ-23〉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최종본 97

〈표 Ⅲ-1〉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목별 성취기준 현황 104

〈표 Ⅲ-2〉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2022년 7월 기준) 104

〈표 Ⅲ-3〉 초등학교 참여 교사 명단 및 역할 107

〈표 Ⅲ-4〉 중등학교 참여 교사 명단 및 역할 107

〈표 Ⅲ-5〉 초등학교 국어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매칭 주요 결과 109

〈표 Ⅲ-6〉 초등학교 국어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주요 특징 115

〈표 Ⅲ-7〉 초등학교 도덕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매칭 주요 결과 116

〈표 Ⅲ-8〉 초등학교 도덕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주요 특징 122

〈표 Ⅲ-9〉 초등학교 사회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매칭 주요 결과 122

〈표 Ⅲ-10〉 초등학교 사회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주요 특징 128

〈표 Ⅲ-11〉 중학교 사회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매칭 주요 결과 130

〈표 Ⅲ-12〉 중학교 사회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주요 특징 135

〈표 Ⅲ-13〉 초등학교 수학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매칭 주요 결과 136

〈표 Ⅲ-14〉 초등학교 수학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주요 특징 142

〈표 Ⅲ-15〉 초등학교 과학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매칭 주요 결과 143

〈표 Ⅲ-16〉 초등학교 과학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주요 특징 148

〈표 Ⅲ-17〉 초등학교 실과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매칭 주요 결과 149

〈표 Ⅲ-18〉 초등학교 실과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주요 특징 152

〈표 Ⅲ-19〉 초등학교 체육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매칭 주요 결과 153

〈표 Ⅲ-20〉 초등학교 체육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주요 특징 157

〈표 Ⅲ-21〉 초등학교 음악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매칭 주요 결과 158

〈표 Ⅲ-22〉 초등학교 음악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주요 특징 160

〈표 Ⅲ-23〉 초등학교 미술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매칭 주요 결과 160

〈표 Ⅲ-24〉 초등학교 미술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주요 특징 162

〈표 Ⅲ-25〉 초등학교 영어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매칭 주요 결과 163

〈표 Ⅲ-26〉 초등학교 영어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주요 특징 166

〈표 Ⅲ-27〉 초등학교 바슬즐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매칭 주요 결과 167

〈표 Ⅲ-28〉 초등학교 바슬즐과-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주요 특징 170

〈표 Ⅲ-29〉 ① '자료의 수집 이해와 선별' 학습 요소 종합 170

〈표 Ⅲ-30〉 ② '자료의 저장과 관리 및 소비' 학습 요소 종합 172

〈표 Ⅲ-31〉 ③ '정보와 데이터의 분해, 분류 및 분석' 학습 요소 종합 173

〈표 Ⅲ-32〉 ④ '정보와 데이터의 해석과 표현 및 활용' 학습 요소 종합 174

〈표 Ⅲ-33〉 ⑤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 이해와 선택' 학습 요소 종합 175

〈표 Ⅲ-34〉 ⑥ '디지털 콘텐츠 기획과 창작' 학습 요소 종합 175

〈표 Ⅲ-35〉 ⑦ '디지털 의사소통 방법의 이해와 공감' 학습 요소 176

〈표 Ⅲ-36〉 ⑧ '디지털 의사소통과 협업' 학습 요소 177

〈표 Ⅲ-37〉 ⑨ '온라인 이슈 예방 및 대응' 178

〈표 Ⅲ-38〉 ⑩ 문제 공감 및 정의 179

〈표 Ⅲ-39〉 ⑪ 문제 해결 방안 도출 179

〈표 Ⅲ-40〉 ⑫ 문제 해결 및 성찰 180

〈표 Ⅲ-41〉 ⑬ 디지털 자기 관리 181

〈표 Ⅲ-42〉 ⑭ 디지털 관계 관리 181

〈표 Ⅲ-43〉 ⑮ 온라인 갈등 해결 182

〈표 Ⅲ-44〉 ⑯ 디지털 준법의 이해와 실천 182

〈표 Ⅲ-45〉 ⑰ 개인정보와 저작물의 보호 183

〈표 Ⅲ-46〉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의 학년별 계열화 방안 184

〈표 Ⅲ-47〉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최종본의 학습 요소별 학년군별 학습 활동 186

〈표 Ⅲ-48〉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교과 성취기준 매칭 결과표 192

〈표 Ⅲ-49〉 매칭 결과상의 상위 교과 및 학습 요소 193

〈표 Ⅲ-50〉 ① '자료의 수집 이해와 선별'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193

〈표 Ⅲ-51〉 ② '자료의 저장과 관리 및 소비'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194

〈표 Ⅲ-52〉 ③ '정보와 데이터의 분해, 분류 및 분석'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195

〈표 Ⅲ-53〉 ④ '정보와 데이터의 해석과 표현 및 활용'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195

〈표 Ⅲ-54〉 ⑤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 이해와 선택'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196

〈표 Ⅲ-55〉 ⑥ '디지털 콘텐츠 기획과 창작'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197

〈표 Ⅲ-56〉 ⑦ '디지털 의사소통 방법의 이해와 공감'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198

〈표 Ⅲ-57〉 ⑧ '디지털 의사소통과 협업'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198

〈표 Ⅲ-58〉 ⑨ '온라인 이슈 예방 및 대응'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199

〈표 Ⅲ-59〉 ⑩ '문제 공감 및 정의'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199

〈표 Ⅲ-60〉 ⑪ '문제 해결 방안 도출'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200

〈표 Ⅲ-61〉 ⑫ '문제 해결 및 성찰'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200

〈표 Ⅲ-62〉 ⑬ '디지털 자기 관리'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201

〈표 Ⅲ-63〉 ⑭ '디지털 관계 관리'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201

〈표 Ⅲ-64〉 ⑮ '온라인 갈등 해결'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202

〈표 Ⅲ-65〉 ⑯ '디지털 준법의 이해와 실천'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202

〈표 Ⅲ-66〉 ⑰ '개인정보와 저작물의 보호' 학습 요소의 교과 성취기준의 특징 203

〈표 Ⅲ-67〉 교과 공통으로 나타나는 성취기준의 특징 빈도 결과 204

〈표 Ⅲ-68〉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별 교과 성취기준 특성 분석 결과 205

〈표 Ⅳ-1〉 경험분석을 위한 주요내용 212

〈표 Ⅳ-2〉 명목그룹기법 (NGT) 운영 절차 213

〈표 Ⅳ-3〉 명목그룹기법 (NGT)을 활용한 분석결과 213

〈표 Ⅳ-4〉 PEST-D를 활용한 분석결과 220

〈표 Ⅴ-1〉 수업 사례 선정을 위한 기준 225

〈표 Ⅴ-2〉 수업 사례 분석 기준 226

〈표 Ⅴ-3〉 분석을 위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국내 수업 사례 227

〈표 Ⅴ-4〉 분석을 위해 선정된 수업 사례(해외) 228

〈표 Ⅴ-5〉 5학년 국어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29

〈표 Ⅴ-6〉 5학년 국어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의 평가 방법 분석 결과 230

〈표 Ⅴ-7〉 6학년 영어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31

〈표 Ⅴ-8〉 6학년 영어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의 평가 방법 분석 결과 232

〈표 Ⅴ-9〉 6학년 영어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33

〈표 Ⅴ-10〉 6학년 영어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의 평가 방법 분석 결과 233

〈표 Ⅴ-11〉 4학년 사회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34

〈표 Ⅴ-12〉 4학년 사회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의 평가 방법 분석 결과 235

〈표 Ⅴ-13〉 6학년 사회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36

〈표 Ⅴ-14〉 6학년 사회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의 평가 방법 분석 결과 237

〈표 Ⅴ-15〉 5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37

〈표 Ⅴ-16〉 5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의 평가 방법 분석 결과 238

〈표 Ⅴ-17〉 고등학교 1학년 사회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39

〈표 Ⅴ-18〉 고등학교 1학년 사회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의 평가 방법 분석 결과 240

〈표 Ⅴ-19〉 5학년 도덕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41

〈표 Ⅴ-20〉 5학년 도덕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의 평가 방법 분석 결과 243

〈표 Ⅴ-21〉 4학년 과학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43

〈표 Ⅴ-22〉 4학년 사회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의 평가 방법 분석 결과 245

〈표 Ⅴ-23〉 5학년 국어ㆍ사회 교과간 융합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46

〈표 Ⅴ-24〉 5학년 국어ㆍ사회 교과간 융합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의 평가 방법 분석 결과 247

〈표 Ⅴ-25〉 6학년 수학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48

〈표 Ⅴ-26〉 6학년 수학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의 평가 방법 분석 결과 249

〈표 Ⅴ-27〉 3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49

〈표 Ⅴ-28〉 3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의 평가 방법 분석 결과 251

〈표 Ⅴ-29〉 9~12학년 대상 영어, 사회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51

〈표 Ⅴ-30〉 6~8학년 대상 역사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52

〈표 Ⅴ-31〉 9~12학년 대상 사회, 미술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53

〈표 Ⅴ-32〉 9~12학년 대상 과학, 사회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54

〈표 Ⅴ-33〉 9~12학년 대상 영어, 국어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55

〈표 Ⅴ-34〉 9~12학년 대상 역사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56

〈표 Ⅴ-35〉 9~12학년 대상 미술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57

〈표 Ⅴ-36〉 9~12학년 대상 사회, 과학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58

〈표 Ⅴ-37〉 9~12학년 대상 사회, 영어, 국어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59

〈표 Ⅴ-38〉 9~ 12학년 대상 과학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60

〈표 Ⅴ-39〉 9~ 12학년 대상 국어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61

〈표 Ⅴ-40〉 6~8학년 대상 국어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61

〈표 Ⅴ-41〉 6~8학년 대상 사회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62

〈표 Ⅴ-42〉 9~12학년 대상 사회, 미술, 국어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63

〈표 Ⅴ-43〉 6~8학년 대상 사회, 미술, 국어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65

〈표 Ⅴ-44〉 9~12학년 대상 국어, 영어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66

〈표 Ⅴ-45〉 1학년 대상 국어, 사회 교과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결과 267

〈표 Ⅵ-1〉 교육과정 재구성의 유형과 방법 (김평국, 2005 : 104-110을 정리함) 274

〈표 Ⅵ-2〉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연계 교과 운영 방안의 경우의 수 276

〈표 Ⅵ-3〉 교과 연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3CR 모델 283

〈표 Ⅵ-4〉 백워드 설계 (Wiggins, McTighe, 1998 : 9 조재식, 2005: 72에서 재인용) 284

〈표 Ⅵ-5〉 백워드 설계에 따른 교과 연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설계 284

〈표 Ⅵ-6〉 수학과 교수학습 설계안과 활동지(예시) 286

[그림 Ⅱ-1] DigiComp의 핵심 역량 프레임워크(JRC, 2022: 5) 32

[그림 Ⅱ-2] DigiComp의 개념적 참조 모델(JRC, 2022: 4) 33

[그림 Ⅱ-3] 8단계의 성취 수준(JRC, 2022: 9) 34

[그림 Ⅱ-4] 지식ㆍ기술ㆍ태도의 예시(JRC, 2022: 10) 34

[그림 Ⅱ-5] 디지털 지능의 글로벌 표준(DQ 연구소, 2019) 36

[그림 Ⅱ-6] 디지털 역량 요소(JISC, 2022: 3) 38

[그림 Ⅱ-7] 디지털 시민성 개념도(김아미 외, 2019: 48) 41

[그림 Ⅱ-8]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 2022) 42

[그림 Ⅱ-9] 키워드 네트워크 맵(1기 2017~2018년) 53

[그림 Ⅱ-10] 키워드 네트워크 맵(2기 2019~2020년) 54

[그림 Ⅱ-11] 키워드 네트워크 맵(3기 2021~2022년 9월) 55

[그림 Ⅱ-12] 클러스터 맵(1기 2017~2018년) 58

[그림 Ⅱ-13] 클러스터 맵(2기 2019~2020년) 59

[그림 Ⅱ-14] 클러스터 맵(3기 2021~2022년) 61

[그림 Ⅱ-15] 워크숍 현장 84

[그림 Ⅱ-16] 월드카페테리아 운영 85

[그림 Ⅱ-17]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도식화 96

[그림 Ⅲ-1] 분석 틀 - 교사 대상 분석용 엑셀 작업 시트 106

[그림 Ⅲ-2] 국어과 3인 교사 매칭 결과물 분석 화면 108

[그림 Ⅳ-1] PEST-D-SWOT 분석결과 223

[그림 Ⅵ-1] 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의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279

[그림 Ⅵ-2] 스탠포드 디스쿨(d. School)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 280

[그림 Ⅵ-3] 메이커 교육의 주요 특성 50Ns 281

[그림 Ⅵ-4] OECD 학습 나침반(Learning Compass) 2030 282

[그림 Ⅵ-5] 디지털 리터러시 3CR 수업 모델 28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17385 371.334 -23-28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017386 371.334 -23-28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