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등표제: La lumière de Séoul, les couleurs de Paris 오천룡의 다른 이름은 "파화"임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책을 펴내며 4
1 ㆍ 나의 지난 이야기
01 잊지 못할 나의 은사, 정 옥(鄭 沃) 선생님 12 02 뤼브케 서독 대통령과 나의 수채화 한 점 21 03 고교시절의 슬픈 기억들 24 04 반환치 못한 출품작 _ 당한 모욕 30 06 미술 동창생 윤건철의 죽음 43 07 김부연 작가의 작고를 슬퍼하며 55 08 Mon ami, 베르나르 앙토니오즈 60 09 내 창작을 옹호한 김창세 박사 95
2 ㆍ 작업 내용과 표현 형식의 변화 이야기
01 온실에서 찾은 색채 102 02 쇼팽 음악과 나의 다섯 그림 108 03 아카데미 그랑드 쇼미에르 118 04 미술 교실에서 쫓겨난 이야기 123 05 화가의 재료와 도구_ 18년간 붓 없는 작업 129 06 선을 예고한 먹과 붓 136 07 내 작업의 단계적 변화_ 색채에서 선까지 142 01
3 ㆍ 수필과 시
01 내가 키운 오리 150 02 찾아온 중학교 제자 178 03 설경 셋_ 시골마을 182 04 나뭇잎 184 05 아뜰리에 창문 186 06 흙내음 188 07 내 정원의 한 송이 튤립 191
4 ㆍ 미술 이야기
01 숨겨진 미술의 보고, 반스 재단 196 02 루브르 박물관 유리 피라미드 207 03 에펠탑에서 에펠탑이 되기까지 224 04 건축가에 대한 사형제도 부활을 외치는 루치니 231 05 피카소가 그린 꼬레에서의 학살 236 06 피카소의 다섯 번째 여인, 도라 마르 246 07 화가와 모델 254 08 빈센트 윌렘 반 고흐 260 09 진시황 무덤 속 불멸의 병사들, 파리에 오다 274
내 친구 오천룡_김창세(제일특허법인 회장) 277 청국장 김치찌개 막걸리 마음껏 나누고 싶다. _김용원 (삶과꿈 대표·미술작품 수집가) 280
이용현황보기
서울의 햇빛, 파리의 색채 = The light of Seoul, the color of Paris : year 1971-2021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