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왜 비전향 장기수인가 2. 비전향 장기수는 누구이며 어떤 사람인가 3. 이 글에 사용된 주요 자료
제2장 한국의 반체제범 감옥 체제의 역사적 변화
1. 일제 시대에 등장한 사상범 감옥 체제 2. 한국전쟁 전후 좌익수 감옥 체제(해방 ~ 1960년) 3. 한국형 감옥 체제의 정립(1961 ~ 1980년대 후반)
제3장 비전향 장기수는 어떻게 통제되었는가
1. 법률적 통제 2. 사회적.제도적 통제 3. 일상생활에서의 통제
제4장 비전향 장기수는 어떻게 대응했는가
1. 대응 유형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까 2. 은밀한 저항과 두드러진 저항 3. 새로운 일상 문화의 창출 4. 저항과 타협 공간의 형성
맺는 말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이용현황보기
비전향 장기수 : 0.5평에 갇힌 한반도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000080710
364.131 -23-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비전향 장기수들은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과중한 형벌과 완전분리된 독거상태에서 수형 생활을 해왔다. 이들에게는 늘 절대적인 침묵과 인간 이하의 생활이 강요되었고, 폭력적인 억압이 끊임없이 가해졌다. 그러한 통제는 교도소 밖의 시선으로부터 은폐되어 매우 조직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비전향 장기수들이 그러한 감옥 체제를 변화시키고, 우리 사회를 바꾸는데 기여했음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전향을 거부하고 자신들의 삶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투쟁을 전개했고, 이를 통해 지배 권력의 통제까지도 변형시켰다. 한국의 감옥이 민주화되는 과정, 나아가 분단 체제나 레드 컴플렉스가 약화되는 과정에 이들은 긍정적인 힘을 발휘하였다. 이 책은 이러한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어떤 지배 세력도 스스로 변화하려 하지 않는 다는 것, 그들의 변화는 전적으로 피지배 세력이 발휘하는 긍정적인 힘의 효과로 얻어지는 것임을 강조하려 한다.
21세기를 훌쩍 넘긴 지금도 우리 사회에는 색깔론이니 레드 콤플렉스니 같은 것들이 판을 치고 있다. <비전향 장기수 - 0.5평에 갇힌 한반도>는 이러한 사상적 통제와 폭력적 억압의 체계를 변화시키고 우리 사회를 바꾼 독립적인 힘 가운데 하나가 비전향 장기수임을 주장한다.
이 책은 한국의 감옥이 민주화되는 과정, 나아가 분단 체제나 레드 콤플렉스가 약화되는 과정에 이들이 발휘한 힘이 긍정적이었음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어떤 지배 세력도 스스로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 그들의 변화는 전적으로 피지배 세력이 발휘하는 긍정적인 힘의 효과로 얻어지는 것임을 강조한다.
저자는 제1장에서 비전향 장기수의 일상 문화를 분석하면서 이에 대한 해답을 구한다. 제2장에서는 한국의 반체제범 감옥 체계의 역사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추적한다. 제3장에서는 비전향 장기수가 어떻게 통제되었는지 법률적, 사회적, 제도적 통제를 비롯해 일상생활의 규제를 통해 규명한다. 한편 제4장에서는 비전향 장기수들이 투쟁으로 얻은 일상적 타협을 통해 생존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힘든 수형 생활을 이어왔음을 밝힌다.
이 책은 분단 체제와 그로 인해 비전향 장기수들에게 보내는 증오의 시선들이 2000년대에는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체제의 적'에 대한 증오가 부메랑이 되어 우리 사회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