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참여연구진 2
발간사 / 이현애 3
연구요약 4
목차 13
I. 서론 20
1. 연구 배경 및 목적 22
2. 연구 내용 및 방법 24
3. 연구 수행 절차 25
II. 정책 현황 분석 26
1. 서비스 전달 체계에서의 상담소 기능 28
2. 상담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제도 33
3. 인천 지역 상담소 설치 및 운영 현황, 관련 정책 41
가. 인천 지역 상담소 설치 현황 41
나. 인천 지역 상담소 운영 현황 44
다. 인천광역시의 여성폭력방지정책 현황 55
4. 타시도 및 외국 사례 57
가. 타시도 사례 57
나. 해외 사례 60
III. 실태 조사 64
1. 설문 조사 결과 66
가. 조사 개요 66
나. 조사 설계 66
다. 주요 결과 68
라. 역할 갈등 수준 79
마. 상담원으로서의 역량 개발 및 전문성 향상 80
2. FGI 조사 124
가. 조사 개요 124
가. 주요 결과 127
나. 분석 결과 128
IV. 결과 및 정책 제언 144
1. 결과 146
2. 정책 제언 150
가. 상담 구조화 전략 마련 150
나. 지속적인 상담원의 소진 예방 프로그램 154
다. 상담원의 역량 강화 정례화 155
라. 비대면 차원에서의 접근성 향상 158
마. 지역 여성폭력 유관 기관과 원스톱서비스 구축 160
바. 행정 간소화 및 폭력의 조기 발견과 대응 강화 162
참고 문헌 164
부록 168
판권기 177
[그림 II-1] 서울시 위기가정통합지원센터 조직체계 57
[그림 III-1] 주요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중요도·수행도·난이도 : 전체 상담소 70
[그림 III-2] 주요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중요도·수행도·난이도 : 가정폭력 상담소 71
[그림 III-3] 주요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중요도·수행도·난이도 : 성폭력 상담소 72
[그림 III-4] 주요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중요도·수행도·난이도 : 통합 상담소 73
[그림 III-5] 주요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중요도·수행도·난이도 : 기타 상담소 74
[그림 III-6] 중요도-수행도 IPA 분석에 관한 해설 모형 75
[그림 III-7] 중요도-난이도 IPA 분석에 관한 해설 모형 76
[그림 III-8] 중요도-수행도 IPA 분석 77
[그림 III-9] 중요도-난이도 IPA 분석 78
[그림 III-10] 역할 갈등 수준 79
[그림 III-11] 최근 1년간 전문성 향상을 위한 활동 참여율(기타 제외) 80
[그림 III-12] [그림없음] 18
[그림 III-13] 현 상담소에서 지원하고 있는 내용 81
[그림 III-14]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82
[그림 III-15] 역량 개발을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 83
[그림 III-16] 가장 선호하는 교육 참여 방법 84
[그림 III-17] 가장 적정한 1일 교육 운영 시간 85
[그림 III-18] 희망하는 교육 주제 86
[그림 III-19] 다양한 폭력 유형에 대한 상담 역량 개발을 위한 상담 실습 주제의 필요성 87
[그림 III-20] 내담자의 특수성 이해와 지원 역량 개발을 위한 상담 실습 주제의 필요성 88
[그림 III-21] 종사자의 정신 건강 및 소진 예방 관련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육 주제 89
[그림 III-22] 면담 및 상담 기술에 대한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과정의 필요성 90
[그림 III-23] 지역자원 및 지지체계 이해와 연계 기술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주제의 필요성 91
[그림 III-24] 피해자 및 가해자 관련 프로그램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주제 필요성 92
[그림 III-25] 행정 실무 관련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주제의 필요성 93
[그림 III-26] 내담자(피해자) 상담 시 어려움 94
[그림 III-27] 내담자(가해자) 상담 시 어려움 95
[그림 III-28] 성폭력 피해자를 위해 연계가 필요한 서비스 96
[그림 III-29] 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연계가 어려운 서비스 98
[그림 III-30]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해 연계가 필요한 서비스 100
[그림 III-31]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한 연계가 어려운 서비스 102
[그림 III-32] 지난 1년 동안 외부 기관과의 연계율 104
[그림 III-33] 지난 1년 동안 외부 기관과의 연계 – 연계기관과의 협조 정도 105
[그림 III-34] 지난 1년 동안 외부 기관과의 연계 – 연계기관의 담당 부서 인지도 106
[그림 III-35] 지난 1년 동안 외부 기관과의 연계 – 연계기관의 담당 부서(기능·역할) 인지도 107
[그림 III-36] 지난 1년 동안 외부 기관과의 연계 – 연계기관의 담당 부서 실무자 인지도 108
[그림 III-37] 연계 어려움 극복 방안 – 형사사법 기관 111
[그림 III-38] 연계 어려움 극복 방안 – 법률구조 기관 112
[그림 III-39] 연계 어려움 극복 방안 – 의료 기관 113
[그림 III-40] 연계 어려움 극복 방안 – 교육 기관 114
[그림 III-41] 연계 어려움 극복 방안 – 여성긴급 전화 1366 115
[그림 III-42] 연계 어려움 극복 방안 – 해바라기센터 116
[그림 III-43] 연계 어려움 극복 방안 – 피해자 보호시설 117
[그림 III-44] 연계 어려움 극복 방안 – 심리 상담소 118
[그림 III-45] 연계 어려움 극복 방안 – 단체(여성, 시민, 장애인) 119
[그림 III-46] 외부 기관 간 연계 기능 강화를 위한 협의체 보완 의견 120
[그림 III-47] 비대면 상담이 증가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121
[그림 III-48] 온라인 화상 상담의 필요성이 제기됨에도 수행이 어려운 이유 122
[그림 III-49] 성폭력 상담소의 상담 사례 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대응하는 방법 123
[그림 IV-1] 중요도-난이도 IPA 분석 결과에 따른 역량 개발 우선순위 147
[그림 IV-2] Donate to the Night of Safety Fund 16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