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제출문 2
요약 4
목차 6
제1장 서론 17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7
2. 연구 범위 17
3. 연구수행조직 18
4. 주요 활동 요약 19
5. 기대효과 19
제2장 UN-GGIM 및 UN-GGIM-AP 활동 지원·대응 방안 마련 23
1. 제12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의제분석 및 대응 23
가. 제12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의제 분석 25
나. 제12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주요 의제 대응방안 38
다. 제12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결과 정리 및 향후 추진방향 43
다.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잠정의제 및 대응방향 제시 60
2. 제11차 UN-GGIM-AP 협의체 활동 지원 및 대응 72
가. 개요 72
나. 제11차 UN-GGIM-AP 협의체 관련 회의 활동 지원 및 의제 발굴 등 대응 방안 마련 73
다. UN-GGIM-AP 내에서 우리기관의 입지 강화 방안 및 시사점 도출 86
라. UN-GGIM-AP 총회 결과 정리 및 향후 공여 방안 마련 101
제3장 유라시아 협의체 운영지원 및 협력 강화 방안 마련 111
1. 개요 111
2. 제8차 유라시아 공간정보인프라(ESDI) 협의체를 위한 의제 발굴·분석 및 대응 111
가. 제8차 ESDI 협의체 컨퍼런스 주요 안건 발굴 111
나. 제8차 ESDI 컨퍼런스 112
3. ESDI 협의체 회원국과의 지속가능한 협력 방안 마련 123
가. ESDI 협의체 회원국 별 국토지리정보원과 추진 가능한 세부적인 협력방안 발굴 123
나. ESDI 협의체의 신규 기관과의 MOU 발굴 및 체결 방안 마련 153
제4장 양자회의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활동 지원 161
1. 개요 161
2. 양자회의 대응·지원 협력강화 방안 마련 161
가. 양자회의 준비, 결과 정리 및 시사점 도출 161
나. 양자회의를 통한 공간정보 분야 기술협력 강화방안 179
3. 타 국제기구들과의 협력활동 지원 181
가.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ESCAP)과 '아·태지역 공간데이터센터' 관련 대응 및 회의 운영·지원 181
나. ADB 주최 "국가공간정보기반(NSDI) 구축 워크숍" 참여 지원 208
다. 국제기구 현황분석 및 협력방안 마련 214
제5장 지속가능한 국제협력 대응체계 마련 239
1. 개요 239
2. 공간정보 분야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다변화 방안 제시 239
가. 국가별 공간정보 분야 협력체계 확대방안 마련 239
나. 글로벌 공간정보 기관 및 동향 분석 및 국내/외 유관기관과 공유방안 273
3. 국제협력 활동 추진성과 및 이슈 소개 등을 위한 홍보물 제작 279
1) 기존 영문 홍보물 최신화 279
2) 기존 영문 홍보물 최신화 및 요약본 제작 280
3) 국토위성센터 영문 브로슈어 제작 281
4) 영문 브로슈어 제작 281
5) 영문 브로슈어 요약본 제작 283
4. 기타 국토지리정보원의 국제협력 활동 지원 286
가. 국토지리정보원 방문 해외외빈 대응·지원 286
나. 국토지리정보원 영문 홈페이지 운영·관리 지원 287
다. 기타 각종 해외문구·문서 등의 번역 지원 289
제6장 결론 293
1. 과업추진결과 요약 293
2. 제언 296
참고문헌 297
부록 301
부록 1. 제12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의제분석 결과 보고서 301
부록 2. 제12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결의안 369
부록 3. 제8차 ESDI 컨퍼런스 참석자 명단 381
부록 4. 한-타지키스탄 신규기관 양해각서(MOU) 체결 문서 383
판권기 394
〈그림 1-1〉 연구수행조직 18
〈그림 2-1〉 제 12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의제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 개요 23
〈그림 2-2〉 제12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회의 1일차('22.08.03) 59
〈그림 2-3〉 제12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회의 2일차('22.08.04) 59
〈그림 2-4〉 제12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회의 3일차('22.08.05) 59
〈그림 2-5〉 다양한 부문의 참여촉구 방안 65
〈그림 2-6〉 UN-GGIM-AP 현황 72
〈그림 2-7〉 GGCE 유지를 위한 필요사항 87
〈그림 2-8〉 Understanding the consequences of sea level rise in the South Pacific 관련 88
〈그림 2-9〉 FELA 9가지 전략 89
〈그림 2-10〉 LX 디지털 트윈 89
〈그림 2-11〉 문화유적 구축사업 수행 90
〈그림 2-12〉 2017년, 2019년, 2021년 진행 속도에 따른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 예상 연도 90
〈그림 2-13〉 공간정보 데이터 플랫폼의 개요 92
〈그림 2-14〉 국토지리정보원 성과 97
〈그림 2-15〉 국제협력 분야 로드맵 98
〈그림 2-16〉 UN-GGIM-AP 의장국 및 집행이사회, WG1-4 논의 결과 102
〈그림 2-17〉 아·태지역 공간데이터 센터 설립방안 108
〈그림 3-1〉 제8차 ESDI 컨퍼런스 안건 발굴 111
〈그림 3-2〉 제8차 ESDI 컨퍼런스 결과 122
〈그림 3-3〉 제8차 ESDI 컨퍼런스 참여 122
〈그림 3-4〉 협력분야 발굴을 통한 ESDI 회원국과의 향후 협력 방안 마련 152
〈그림 3-5〉 ESDI 신규기관과 MOU체결 결과 156
〈그림 3-6〉 한-타지키스탄 신규기관과 MOU체결 157
〈그림 3-7〉 한-타지키스탄 MOU체결 문서 157
〈그림 4-1〉 VIGAC 조직도 162
〈그림 4-2〉 지리학부 조직도 167
〈그림 4-3〉 하노이시청 조직도 169
〈그림 4-4〉 베트남 자원환경부 토지행정청 조직도 170
〈그림 4-5〉 국토지리정보원-베트남 지리원 간 양해각서 171
〈그림 4-6〉 국토지리정보원-베트남 하노이 국립대학교 간 양해각서 172
〈그림 4-7〉 주요 번역 사례 172
〈그림 4-8〉 타직측에 송부한 양자회의 추진 계획(영문) 177
〈그림 4-9〉 양자회의 시 발표할 한국측 자료 주요 내용 178
〈그림 4-10〉 한-타지키스탄 양자회의 179
〈그림 4-11〉 ESCAP 회의자료 번역 182
〈그림 4-12〉 국토지리정보원의 NSDI 구축 워크숍 발표 자료 214
〈그림 4-13〉 ESCAP의 주요 목표 8가지 216
〈그림 4-14〉 ADB 분야 별 프로젝트 규모 그래프 217
〈그림 4-15〉 One Data-One Map-One Platform 계획 219
〈그림 4-16〉 세계은행의 구성 220
〈그림 4-17〉 ADB 조직도 227
〈그림 5-1〉 일본 정부 구성 240
〈그림 5-2〉 일본 국토지리원 조직도 241
〈그림 5-3〉 도심 속 다중경로효과 244
〈그림 5-4〉 세 가지 방법 활용 가능 조건 지침 245
〈그림 5-5〉 UNVT 유지를 위한 FOSS 메커니즘 245
〈그림 5-6〉 재해예방 및 완화를 위해 활용되는 Digital Japan 메커니즘 246
〈그림 5-7〉 일본 슈퍼시티 구상도 248
〈그림 5-8〉 미국 정부 조직도 내 FGDC 250
〈그림 5-9〉 미국 FGDC 조직구성 251
〈그림 5-10〉 NSDI 전략목표 254
〈그림 5-11〉 미국 정부 조직도 내 USGS 255
〈그림 5-12〉 영국 정부조직 내 영국측량국 259
〈그림 5-13〉 OS와 정부와의 관계 259
〈그림 5-14〉 OS 구조 259
〈그림 5-15〉 독일 정부 조직 내독일 연방 지도제작 및 측지기구 264
〈그림 5-16〉 독일 연방 지도제작 및 측지기구 조직도 264
〈그림 5-17〉 네덜란드 행정부 조직도 269
〈그림 5-18〉 지하수품질뷰어에서 생성한 지하수 구성 물질 분석 그래프 272
〈그림 5-19〉 국토지리정보원 영문 홍보물 최신화 280
〈그림 5-20〉 국토지리정보원 영문 홍보물 최신화 및 요약본 제작 281
〈그림 5-21〉 국토위성센터 영문 브로슈어 제작 281
〈그림 5-22〉 국토지리정보원 영문 브로슈어 제작 282
〈그림 5-23〉 국토지리정보원 영문 브로슈어 요약본 제작 285
〈그림 5-24〉 KOICA 초청 석사 연수생 방문 대응·지원 286
〈그림 5-25〉 번역 주요 결과 287
〈그림 5-26〉 국토지리정보원 영문 홈페이지 288
〈그림 5-27〉 주요 번역지원 결과 290
〈그림 6-1〉 UN-GGIM-Korea 기반의 국제협력 대응방향 29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