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 론 9


1부 코기토: 주체라 불리는 공백

1. “사고하는 ‘나’, 또는 ‘그’, 또는 ‘그것’(사물)” 19
누아르 주체 19_탈구된 26_칸트에서 헤겔로 39_
비등가교환 45_화폐와 주체성 54_
주체에서 실체로…… 그리고 거꾸로 58_
“사라지는 매개자”로서의 주체 66_
한계는 초월에 앞선다 70_“토탈 리콜”: 실재 속의 지식 78

2. 코기토와 성적 차이 89
보편자 속의 칸트적 균열 89_
기독교적 숭고, 혹은 “아래로의 종합” 98_
“성 구분 공식” 105_“나는 내가 생각하는 곳에 있지 않다” 115_
환상 응시로서의 코기토 121_
“자기의식은 하나의 대상이다” 128_
“나는 의심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136_
촉박한 동일화 144_


2부 에르고: 변증법적 부당도출

3. 근본악 및 관련 문제들에 대해서 161
“칸트를 벤섬과 더불어” 161_환영과 현실 172_
“당신을 문 개의 털” 176_근본악 184_
파이프들과 파이프들이 있다 197_비 상호주체적 타자 205_
무한 판단의 대상 210_아테와 그 너머 220_상징적 지복 231

4. 이데올로기 이론으로서의 헤겔의 “본질의 논리학” 241
불충족이유율 241_동일성, 차이, 모순 253_
형식/본질, 형식/질료, 형식/내용 260_
형식적 근거, 실재적 근거, 완전한 근거 264_
“즉자”에서 “대자”로 272_근거 대 조건 283_
동어반복적인, “사물의 자기 자신으로의 회귀” 286_
“생성의 절대적 불안정성” 296_가능한 것의 현실성 302


3부 숨: 향유의 원환고리

5. “상처는 당신을 찌른 그 창에 의해서만 치유된다” 315
실재의 응답 316_주체성과 은총 324_
모차르트에서 바그너로 332_
“나는 여러분에게 라멜르에 대해 말할 것입니다……” 340_
바그너적 수행문 349_남근을 넘어 355_
신의 향유를 “간수하기” 365_도착적 원환고리 372

6. 당신의 민족을 당신 자신처럼 즐겨라! 385
“향유의 도둑질” 386_자본주의 없는 자본주의 395_
자유주의의 맹점 407_
스피노자주의, 혹은, 후기자본주의의 이데올로기 416_
근본악의 꿈에 의해 설명되는, 민족주의의 꿈들 422_
동유럽의 “사라지는 매개자” 434_
“큰타자”의 붕괴 443

옮긴이 후기 454

인명 색인 461

이용현황보기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 : 칸트, 헤겔, 그리고 이데올로기 비판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28210 190 -23-1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28211 190 -23-1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85631 190 -23-18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 책은 슬라보예 지젝의 Tarrying with the Negative: Kant, Hegel, and the Critique of Ideology (Duke University Press, 1993)을 완역한 것이다. 이 책에서 지젝은 칸트와 헤겔이라는 독일관념론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주체의 이론을 정교하게 구성해내고 있으며, 이를 이데올로기 이론에 적용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우선 이 책에서 지젝은 다른 그 어떤 저술에서보다도 완결적인 방식으로 주체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작업은 이 책의 제1부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젝은 주체의 이론이 포괄해야 할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특히 지젝은 자신의 동료 조운 콥젝의 선구적 연구를 이어받아, 남성적 주체와 여성적 주체의 논리를 정교하게 다듬고 있는데, 이는 다른 그 어떤 저작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유일무이한 성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부에서 지젝은 헤겔의 논리학을 이데올로기 이론으로 재해석해내고 있다. 이 작업은 알튀세르를 겨냥하고 있는 것이다. 지젝은 여기서 헤겔에 대한 정교한 독서를 통해서 어떻게 헤겔의 본질의 논리학이 이미 알튀세르가 헤겔을 비판하기 위해 정교화했던 개념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지를 증명한다.

1부와 2부에서 주체의 이론과 이데올로기 이론을 정교하게 제시한 이후에, 3부에서 지젝은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의 문제를 다룬다. 오늘날의 후기자본주의에 대한 지젝은 근본적 진단은 그것이 스피노자적 우주, 즉 큰타자가 붕괴된 우주를 구성한다는 것이다. 지젝에 따르면 오늘날에도 여전히 신과 주인에게 도전하는 주체들은 궁극적인 문제들을 비켜가고 있는 것이다. 오히려 오늘날의 문제는 텅 비어 있는 주인의 자리에서 그 텅 빈 자리를 채우지 않은 채 어떻게 머물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 책의 제목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가 가리키는 것처럼 말이다.

이 책에서 지젝은 헤겔과의 단절을 시도했던 세대들에게 다시 헤겔로 돌아갈 것을 주문한다. 왜냐하면 헤겔의 저작 속에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주체에 대한 근본적 사유가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그러한 헤겔의 면모를 충분히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이 책은 헤겔의 부활을 위한 초석이나 기폭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