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이 생각 · 12 달동네 사람들은 별을 보고 산다 · 14 소금쟁이 · 16 그 봄을 태우다 · 18 꽃무릇 · 19 달맞이꽃 이야기 · 20 물티슈 · 21 가을꽃 · 22 변산바람꽃 · 24 별밤 · 25 봄바람 · 26 뽕 · 27 하얀 세상 · 28 상사화 · 29 선물 · 30 봄눈 오던 날이면 · 31 핼러윈 이태원 · 32 귀꽃 · 34 새 움이 트면 · 35 에단나무 한 그루 · 36
2부 바람의 벽
토룡거유화土龍去留畵 · 40 외목다리 · 41 무섬 · 42 겨울 연꽃 · 44 간지러움을 타는 항구 · 45 눈물의 바다 · 46 고향 가는 길 · 47 겨울 과꽃 · 48 간이역 · 49 무작정 · 50 바람의 벽 · 52 바위 섶 · 53 보발재 너머에서 · 54 홍류정에서 · 55 여명의 소리 · 56 부처님 마을 · 58 보탑사 풍경소리 · 59 소금꽃 · 60 짱뚱어 집 · 61 칠면초 · 62
3부 원초적 그리움
호스피스 병동 · 64 원초적 그리움 · 65 신발 두 켤레 · 66 엄마의 봄 · 68 보릿고개 · 69 봄 마중 · 70 돌 편지 · 72 당신이라는 꽃 · 73 밤꽃이 피면 · 74 노을이 지다 · 76 돌아가는 자리 · 78 수석 · 80 이별하던 날 · 82 첫닭 울음 · 84 호롱불 · 86 박꽃마을 · 88 첫 손주 · 90
4부 정방사 가는 길
경순왕릉 앞에서 · 92 월악산 신륵사 · 94 정방사 가는 길 · 95 초지진에서 · 96 황석리 나루터의 봄 · 98 물태리의 아침 · 99 선유도 · 100 73년의 전쟁 · 103 그 시계는 왜 멈춰 섰을까 · 104 불꽃 파도 · 106 오월에 핀 꽃 · 107 오월이 오면 들려오는 소리 · 108 판문점에서 · 110 노천탕에서 조선을 가다 · 112 건망증 · 114 다람쥐 한 마리 · 116 법개천의 별꽃 · 117
5부 내 안의 그대
하얀 말[言] · 120 그 도둑을 미워할 수 없다 · 121 오름 억새꽃 · 122 놀빛 유혹에 빠질랑가도 몰라 · 124 아침이 있는 기도 · 125 봄 별자리 · 126 어떤 분노 · 128 소묘素描 · 129 거울 앞에서 · 130 맹골수도에서 · 132 대림절 · 133 하얀 가면 · 134 四旬의 江 · 136 오래된 거울 · 137 빈 병 · 138 백야의 그림자 · 139 오후 4시 · 140 처방處方 · 142 내 안의 그대 · 143
해설ㆍ정성수 · 144 - 아름다운 생 그 치열한 도전과 꿈
이용현황보기
바람의 벽 : 문규열 시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30198
811.15 -23-169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30199
811.15 -23-169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책속에서
수십 년을 심한 어질병에 빠져 있다. 결코, 치유할 수 없는 상처는 깊어 한恨의 소리로 남는다.
한달음으로 갈 수도 있는 거리인데, 선명하게 그려지는 금강산이 있는데, 개마고원을 거쳐 백두산을 다녔던 그 산하山河가 또렷하게 남아 있건만 며칠 후 다시 갈 수 있을 것이라는 작은 희망은 73년이 지나는 지금도 표류 중이다. “엄마, 금방 돌아올게요” 지키지 못한 약속은 통한으로 남아 있고 함께 떠나왔던 이웃들이 하나, 둘 세상을 떠나는 깊은 주름살에 새겨진 슬픈 이야기
우리는 오늘도 벌거벗은 알몸으로 평화를 간구하는 전쟁 중이다 -「73년의 전쟁」 전문
보이는 것만 보았다.
가까이 있는 내 뒤통수를 보지 못한 것처럼 거울 속에 있는 나를 보지 못했다.
조그마한 화폭 한 점 속에 수많은 진실이 숨겨져 있는 이야기가 있다는 것을 볼 줄 몰랐다. 예전에는
마음을 담을 수 있는 크기만큼만 그려야 된다는 어느 노화가의 말처럼 저 거울 속에서 움직이는 나를 들여다볼 줄 몰랐다.
내가 웃으면 나도 웃고 내가 울면 나도 우는 그 표정 하나에서 이제서야 나를 들여다보고 있다.
내 안에 있는 나는 누군가? 하고 -「거울 앞에서」 전문
창문을 열어야만 세상을 볼 수 있는 는개비 내리던 늦은 오후 지렁이 한 마리가 나들이를 나왔다 천천히 아주 천천히 세상을 대형캠퍼스에 그리고 노모는 다칠세라 조심스러운 친구가 되었다 얼핏 보아서는 그 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보드라운 텃밭을 가꾸는 일상같이 느림의 행보는 삶을 가꾸는 최선의 여유였다 흘러간 젊은 날들을 다시 찾기라도 하는 걸까? 떨어뜨린 보석을 다시 줍는 걸까? 엄마의 아리랑이 배어 있는 등 굽은 삶으로 이어졌던 마당 노모는 곱사등이가 되었다. 그 자리에 있는 듯하면서도 아름다운 세상을 그리는 느림보를 닮은 것같이 -「토룡거유화土龍去留畵」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