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4
01. 연구 개요 14
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2.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20
02. 장래 교통 여건 변화와 정책 현황 21
1. 미래 교통수단의 다양화 22
2.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전망 29
3. 서울시 자율주행자동차 교통정책 34
03.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인프라 확충 방향 36
1. 시민의식 조사 37
2. 통행시간 가치 및 통행량 변화 전망 42
3. 도로 인프라 확충 방향 46
04.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네트워크 분석 53
1. 네트워크 분석 개요 54
2. 네트워크 수송 용량 분석 57
3. 교통수단 간 통행시간 비교 71
4. 네트워크 공사비 추정 73
5. 미래 네트워크 개념도 74
05. 미래의 교통관리 방향 82
1. 다양한 수단 간 연계 83
2. 다양한 수단의 통합관리 87
3. 교통 인프라 공간 활용 효율화 92
06. 결론 및 정책 제언 98
참고문헌 101
[부록] 설문조사 103
Abstract 113
판권기 116
[그림 1-1] 서울시 교통관리 정책 변화 15
[그림 1-2] 미세먼지 배출원별 및 지역별 분포 17
[그림 1-3] 연구 주요 내용 20
[그림 2-1] 국가별 eVTOL 개발 기업 수 23
[그림 2-2] 현대건설이 제안한 한국형 버티포트 콘셉트 24
[그림 2-3] 버진하이퍼루프원의 네바다 사막 시험 튜브 25
[그림 2-4] 수요 응답 유형별 대중교통 서비스 분류 26
[그림 2-5] 자율주행 대중교통 체계 전환 방향 27
[그림 2-6] PBV(Purpose Built Vehicle) 28
[그림 3-1] 서울-서울 수단별 평균 통행시간 및 비용 38
[그림 3-2] 서울-서울 수단별 통행시간 및 비용 분포 39
[그림 3-3] 경기/인천-서울 수단별 평균 통행시간 및 비용 39
[그림 3-4] 경기/인천-서울 수단별 통행시간 및 비용 분포 40
[그림 3-5] 서울-서울 자율주행자동차 이용 의향 40
[그림 3-6] 경기/인천-서울 자율주행자동차 이용 의향 41
[그림 3-7] 도로 인프라 공급방안 46
[그림 3-8] 자율주행자동차 전용도로 해외 사례 50
[그림 3-9] 국내 자율주행자동차 실험단지 '케이-시티' 조감도 51
[그림 3-10] LVCC 루프 시스템 51
[그림 4-1] 서울시 주요 도로 교통량(2021년 기준) 54
[그림 4-2] 자율주행 전용 가상 네트워크 56
[그림 4-3]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네트워크 분석 방법 56
[그림 4-4] 링크/교차로 전제 사항 57
[그림 4-5] 본 연구에서 적용한 VISSIM 입력변수 58
[그림 4-6] 자율차 전용 승하차 정류장 네트워크 59
[그림 4-7] 자율주행자동차 비신호 교차로 59
[그림 4-8] 미시적 시뮬레이션 데이터 예시 61
[그림 4-9] 서울시 OD 분포 반영을 위한 노선대 및 교통존 위치 67
[그림 4-10] 서울시 승용차 O/D 분포 (서울시 내부, 발생량 기준) 68
[그림 4-11]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네트워크 개념도 76
[그림 4-12]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네트워크 교차로 개념도 77
[그림 4-13] 자율주행자동차 정류장 개념도 78
[그림 4-14] 모빌리티 허브 개념도 79
[그림 4-15] 도시철도-자율주행자동차 연계 개념도 80
[그림 4-16] 버스-자율주행자동차 연계 개념도 81
[그림 5-1] 「서울비전 2030」,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의 모빌리티 허브 관련 발표 83
[그림 5-2] 모빌리티 허브 거점별 유형 개념도 84
[그림 5-3] 미래 교통 시스템의 변화 전망 85
[그림 5-4] 서울의 미래 교통수단 연계 정책 방향 86
[그림 5-5] 교통수단별 운영 주체 88
[그림 5-6] 미래 모빌리티와 관련한 TOPIS의 역할 89
[그림 5-7] MaaS와 관련한 TOPIS의 역할 90
[그림 5-8] TOPIS 확대 발전 방향 91
[그림 5-9] 스위스 CST 프로젝트 92
[그림 5-10] 싱가포르 지하 과학 도시 개념도 93
[그림 5-11] 캐나다 레조(RESO) 지하도로 93
[그림 5-12] 프랑스 라데팡스 거리 94
[그림 5-13] 영동대로 복합개발 94
[그림 5-14] 입체도로 제도 개념 95
[그림 5-15] 지하공간을 활용한 물류시설 복합개발 개념 97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69119 | 363.125 -24-4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069120 | 363.125 -24-4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18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