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4
Abstract 8
제1장 서론 16
제1절 연구의 목적 17
제2절 연구의 범위 18
제2장 국민통합 등의 개념과 국내ㆍ외의 동향 20
제1절 개관 21
제2절 국민통합과 사회통합의 구분과 개념 22
1. 개요 22
2. 사회통합 23
3. 국민통합 25
4. 시사점 27
제3절 미국과 독일의 사회통합 정책과 법제 동향 28
1. 개요 28
2. 미국 29
3. 독일 42
제4절 우리나라의 사회통합 정책과 법제 동향 49
1. 개요 49
2. 관련 분야의 입법 51
제5절 시사점 60
제3장 국민통합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주요쟁점 62
제1절 개관 63
1. 개요 63
2. 공공갈등 64
제2절 갈등관리 관련 법제 현황과 문제점 65
1. 개요 65
2. 2020년 「갈등관리기본법안(정부안)」의 주요 내용 69
3. 2017년 「국가공론위원회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의 주요 내용 72
4. 시사점 73
제3절 국민통합 대통령자문위원회의 경과 및 관련 법제의 문제점 74
1. 개요 74
2. 종전 대통령자문위원회의 경과와 기능 75
3. 「국민통합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상 국민통합위원회의 기능 78
4. 시사점 81
제4장 「(가칭)국민통합기본법」의 제정 방안 84
제1절 개관 85
1. 개요 85
2. 「(가칭)국민통합기본법안」과 「갈등관리기본법안」(정부안)과의 관계 등 86
3. 국민통합에 관한 법제화 방안 86
제2절 (가칭)국민통합기본법(안)의 주요 입법사항 88
1. 입법목적 88
2. 용어정의 89
3.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90
4. 다른 법률과의 관계 91
5. 국민통합의 원칙 92
6. 국민통합위원회의 설치 등 93
7. 국민통합지원센터의 설립 95
8. 국민통합에 관한 교육ㆍ홍보 97
9. 여론의 수렴 98
10. 재정지원 등 99
11. 부칙 100
제5장 결론 101
참고문헌 104
판권기 10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72295 | 303 -24-1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B000101354 | 303 -24-1 |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1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