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1. 연구 필요성 10
2. 연구목적 및 기대효과 11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3
1. 연구내용 13
2. 연구방법 14
3. 연구모형 16
제2장 가족다양성 관련 문헌고찰 18
제1절 가족 정책에 나타난 가족다양성 19
1. 건강가정기본법의 가족다양성 19
2.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과 가족다양성 21
3. 소결 24
제2절 가족다양성 개념과 적용 사례 26
1. 가족다양성 개념 26
2. 가족다양성과 가족 정책 29
3. 가족다양성의 정책적 적용에 대한 제언 31
4. 가족 정책 관점의 가족다양성: Bogenschneider(2014)의 제안 35
5. 가족 정책 및 가족서비스 실무에 가족다양성 적용 사례 39
6. 소결 40
제3장 가족다양성과 가족서비스 42
제1절 국내 가족다양성 관련 가족서비스 현황 43
1. 여성가족부 가족서비스 제공기관 개요 43
2. 가족센터(통합 가족서비스 운영기관) 사업 45
3. 소결 50
제2절 국외 가족다양성 관련 가족 정책 및 서비스 사례 52
1. 미국 52
2. 캐나다 60
3. 호주 62
4. 영국 Family Action 64
5. 아일랜드 아동 및 가족 기관 65
6. 싱가포르 가족서비스 센터 66
7. 소결 67
제4장 가족다양성에 근거한 가족서비스의 방향: 초점집단면접 69
제1절 가족 정책전문가 초점집단면접 70
1. 자료 수집 및 연구 대상 70
2. 가족 정책전문가 초점집단면접 분석 결과 70
3. 소결 79
제2절 가족서비스 실무자 초점집단면접 81
1. 자료 수집 및 연구 대상 81
2. 가족서비스 실무자 대상 초점집단면접 분석 결과 81
3. 소결 94
제5장 가족다양성 관련 가족서비스 현황 및 요구 95
제1절 가족다양성 관련 가족서비스 현황 96
1. 가족다양성 관련 가족서비스 조사 개요 96
2. 가족다양성 관련 가족서비스 현황 97
3. 소결 125
제2절 가족센터 이용자의 가족다양성 관련 가족서비스 요구 129
1. 조사 개요 129
2. 조사 결과 133
3. 소결 149
제6장 결론 및 제언 152
제1절 가족서비스 실무를 위한 가족다양성 153
1. 가족다양성 관련 개념 정의 153
2. 가족의 기능 및 가족다양성의 요소 158
3. 가족 기능 및 가족다양성 요소의 실무 적용 165
제2절 가족다양성 적용 점검 및 진단 170
제3절 가족센터 사업에서의 가족다양성 적용 및 발전과제 174
1. 실무에서의 가족다양성 적용 및 실천적 방안 174
2. 가족센터 사업 운영에서의 가족다양성 적용 및 실천적 방안 178
[부록] 184
1. 초점집단면접 질문지 185
2. 설문조사지 196
3. 사업계획서 예시 216
4. 가족서비스 실무자 교육 참고자료 219
참고문헌 220
판권기 223
〈그림 1-1〉 연구모형 17
〈그림 2-1〉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 정책 체계 23
〈그림 3-1〉 2022년 6월 기준 전국 가족서비스 제공기관 현황 44
〈그림 3-2〉 2021년 기준 가족 구조별 가족센터 이용현황 48
〈그림 3-3〉 2021년 기준 가족 특성별 가족센터 이용현황 49
〈그림 3-4〉 가족센터 통합서비스 운영기관 유형별 조직도 49
〈그림 5-1〉 「2022 가족사업안내(I)」(p. 95)의 가족센터 기본사업 107
〈그림 5-2〉 다양한 가족 지원서비스 수행의 어려움 114
〈그림 5-3〉 다양한 가족 지원서비스 수행의 어려움 중 시급해 해결해야 할 것 115
〈그림 5-4〉 '가족다양성 인정'이 가족 사업 현장에서 잘 구현되고 관련 사업이 활성화되는 데 필요한 여성가족부의 정책과제 또는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지원 118
〈그림 5-5〉 가족다양성 관련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여성가족부의 정책과제 또는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지원 중 시급히 필요한 일 120
〈그림 5-6〉 가족다양성, 다양한 가족 관련 시ㆍ군ㆍ구 가족센터 사업영역으로 중요한 것 123
〈그림 5-7〉 가족 특성별 현황 131
〈그림 5-8〉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참여하는 프로그램 참여 경험 유무 133
〈그림 5-9〉 다양한 형태의 가족과 함께했던 프로그램 영역 (다중응답) 134
〈그림 5-10〉 다양한 형태의 가족과 함께했던 프로그램 내 가족 유형 136
〈그림 5-11〉 다양한 형태의 가족과 함께했던 프로그램 참여 소감 137
〈그림 5-12〉 다양한 형태의 가족과 함께하는 프로그램 참여 의향 139
〈그림 5-13〉 다양한 가족 포용 캠페인ㆍ교육ㆍ문화 활동 참여 경험 유무 141
〈그림 5-14〉 다양한 가족 포용 캠페인ㆍ교육ㆍ문화 활동 효과 141
〈그림 5-15〉 가족센터에서 우선 지원해야 할 가족 기능 순위 147
〈그림 6-1〉 가족 기능 및 가족다양성 요소를 고려한 가족다양성 개념 모형 161
〈그림 6-2〉 가족다양성 사업을 위한 가족센터 및 종사자 전문성 활용 176
〈그림 6-3〉 가족다양성 관련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전달체계별 역할 18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