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역사적 예수' 찾기의 어려움 1. 역사와 신앙 사이에서 2. 예수에 대한 고정관념 깨기 - 백기완의 '노동자 예수' 3. 계몽주의자들의 윤리적 예수와 슈바이처의 종말론적 예수 4. 불트만과 케제만의 '케리그마의 예수' 논쟁 5. 세상 사람들이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 최근 학자들의 예수 찾기
제2장 '역사적 예수'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
1. 부활절 이전의 예수와 부활절 이후의 그리스도 2. 역사적 예수를 재구성하기 위한 사료와 기준들 - (1) 외적 증거들 / (2) 내적 증거와 기준들 - 바울 서신, 복음서, 자료 3. 외경복음서의 대두와 사료로서의 가치 4. 동일한 자료, 새로운 시각
제3장 예수는 어떤 시대를 살았나 1. 유대 묵시 사상의 유행 2. 팍스 로마나의 폭력성과 팔레스타인 사회 3. 그레코 - 로만 문화의 범람 4. 예수 시대의 유대 종파들 - (1) 사두개파 / (2) 바리새파 / (3) 에세네파 / (4) 젤롯 당 / (5) 사마리아 사람들
제4장 '역사적 예수'는 무엇을 가르쳤나 1. 비유에 나타난 '뜻밖의 소식' 2. 하느님 나라의 도래 - '이미'와 '아직' 사이의 변증법 3. '아빠' 하느님 4. 인습적 지혜에 대한 야유와 풍자
제5장 '역사적 예수'는 무엇을 하였는가 1. 하느님 나라와 이스라엘의 회복 2. 평등한 밥상 공동체의 실현 3. 치유 기적과 병자의 인권 4. '귀신 축출' 이야기의 사회.정치적 의미 5. 하느님 나라 건설과 여성의 역할 6. 성정 체제와의 한판 승부
제6장 무엇이 예수를 죽였는가 1. 십자가 처형의 정치적 함의 - '죽음'인가 '죽임'인가 2. 자살인가 타살인가 3. 잘못된 질문 - 누가 예수를 죽였는가 4. '기억'의 힘 - 원시 기독교 공동체의 예수에 관한 기억술
1세기 팔레스타인에서 펼쳐진 예수의 실제 삶과 당시의 시대상을 통해 '역사적 예수'의 모습을 돌아본다. 지은이는 일종의 종교적 기호로 고착화된 예수의 모습을 비판하며, 사회적 소수자들을 이끌며 방랑 설교를 펼친 예수의 치열한 삶을 상세하게 전한다. 이는 현대사회의 물신주의적 삶 속에서 변질되어 가는 기독교와 예수의 참의미를 일깨운다.
지은이는 신앙적으로 해석된 그리스도의 모습과 별개의, 인간 예수에 대한 '역사적 예수 연구'를 비판적으로 살피며, 현대화된 여러 예수상의 모습을 비판하며 예수를 당시의 시대적 맥락에서 살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스라엘 전통 묵시 사상에 따라 하느님에 관한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고, 공동체를 이끌며 여성 참여를 긍정한 당시 예수의 모습을 역사적 맥락에서 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