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1
머리말

2
격동의 중국 대륙(19세기 말~1949)
열강의 각축장이 된 중국, 시국도
의화단운동과 사저참양도
신해혁명의 거대한 물결
5·4운동의 뜨거운 열기
북벌과 민중의 힘
광고와 선전의 컬래버레이션
9·18사변과 항전의식
위대한 항일전쟁
승리와 분열, 그리고 내전

3
중국 인민의 위대한 승리(1949~1957)
신중국, 중화인민공화국 건설
붉은 별 마오쩌둥
토지개혁과 농업생산
국민경제 회복과 제1차 5개년계획
혼인법과 여성의 노동참여
냉전과 항미원조
청결한 위생과 건강한 신체
백화제방과 반우파 투쟁

4
거대한 도약, 대약진운동(1958~1961)
6억 인구의 대약진
농업생산과 인민공사
들끓는 용광로의 열기
동풍이 서풍을 압도하다
문화와 기술혁명
대약진의 어두운 그림자

5
국민경제의 회복기(1962~1966)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
사회주의 정신의 모범사례

6
10년의 혼돈, 문화대혁명(1966~1976)
붉은 태양 마오쩌둥
홍위병과 대비판의 시대
청년지식인 하방운동
중소 분쟁과 제3세계와의 연대
비린비공 운동

7
황금시대의 부활, 개혁개방(1976~현재)
새 지도자의 유지 계승
개혁개방과 황금시대의 서막
인구 억제와 장려의 이중주
사회주의 정신문명 건설
공익광고 형식의 선전화

8
맺음말

참고문헌

이용현황보기

신중국 시기 집단기억의 표상, 선전화 = Propaganda poster, the representation of collective memory in the new China period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47669 952 -23-6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47670 952 -23-6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90502 952 -23-60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 책에서는 집단기억의 한 가지 표상으로 중국에서 생산된 포스터를 설정했다. 우리가 중국의 포스터 이미지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포스터가 중국 사회의 실상을 알려주는 하나의 틀이자, 중국 사회를 지탱해 온 핵심 매체로서 사료적인 가치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포스터는 빈부와 귀천, 남녀와 장소의 구분 없이 중국인이라면 누구나 공유할 수 있었던 사회적 표상이자, 해당 시기의 정치·사회·문화적 이슈를 가장 직접적이고도 명확하게 전달하는 담지체이다. 또한 포스터에 대한 통시적 관찰은 중국 사회가 걸어온 역사에 대한 검증이자, 중국인들이 경험한 삶의 궤적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는 신중국 전후시기를 중심으로 외세의 침략, 5·4운동, 항일전쟁, 내전, 중화인민공화국 탄생, 반우파 투쟁,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 개혁개방 등 채 100년 남짓한 짧은 기간에 대격변의 시대를 살아갔던 중국인들의 집단기억을 살펴보고자 한다. “과거를 기억해내지 못하는 자는 그 과거를 다시 살게 된다.”라고 한 조르쥬 산타야나의 말을 지금 되새겨 보는 것은 과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일이 단순히 과거에만 한정된 문제가 아니라 현재에 대한 성찰을 담지하고 하고, 미래를 향한 거대한 항해에 방향타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포스터가 지닌 함의가 방대해 자칫 전체적인 논의 내용이 산만해 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해 가급적 선전화를 중심으로 논점을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이 책에서 사용하는 선전화의 개념은 중국의 사회주의 체제에서 선전을 위해 사용된 회화적 전달매체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당과 정부의 정책을 전달하는 내용 등을 도상 형식으로 인쇄해 배포한 정치 포스터, 바로 프로파간다의 의미를 지닌 포스터를 주요 서술대상으로 삼는다. 다만 이 책의 저술 목적이 포스터를 통해 중국인들이 경험한 삶의 궤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므로 19세기 말에 발행된 전단과 월빈패 형식의 포스터, 판화, 그리고 1980년대 이후의 공익광고 등도 저술 범위에 포함시킨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60] 상점과 양행, 백화점 등에서는 신문·잡지·쇼윈도·네온사인·차량·벽보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해서 경쟁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상품을 선전했고, 그로 인해 대도시에는 상품을 선전하는 상업 광고들로 넘쳐났다.
그 중에서도 달력인 월빈패를 통한 상품 선전은 당시 보편적인 광고 수단이었다. 1870년대 월빈패가 처음 등장하던 무렵, 그림엽서나 담배 등 외국에서 수입된 상품에는 주로 서구의 미인이나 기사의 전투 장면, 성경 속 이야기 등이 그려져 있었다. 물론 어떤 경우에는 여성의 나체가 고스란히 드러난 파격적인 그림도 있었다.
수천 년 동안 봉건적인 예교에 매몰되어 있던, 중국이란 폐쇄적인 공간에서 서구 여성들의 신체적 노출 이미지는 오히려 중국인들에게 역효과만 초래했다.
[P. 118] 당시 토지개혁에 대한 중국 농민들의 반응은 저우리보의 ≪폭풍취우≫, 딩링의 ≪태양은 상건하에 비친다≫ 등 문학 작품에도 잘 반영되어 있는데, 모두 토지개혁 과정 중의 희열을 묘사하고 있다.
토지개혁에 대한 정치적 홍보는 곧바로 선전화를 통해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레이룽허우의 <토지개혁을 완성해 봉건 세력을 없애자>는 한 농민이 손에 토지를 측량하는 활 모양의 나무자를 쥐고 있는 도상이다. 중국은 전통적인 길이 단위로 ‘보’를 사용했다. 1보는 사람의 두 발이 한 차례 도달하는 길이로 5척에 해당한다. 따라서 농촌에서 토지를 측량할 때면 이 나무자를 사용했다. 도상의 하단에는 토지를 분배받은 농민들이 자신이 소유하게 된 땅을 측량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P. 142] 딩하오의 <사해를 제거하자>는 모기와 파리, 참새와 쥐가 칼에 찔린 채 매달려 있는 모습을 그린 도상이다.
사겅쓰의 <파리 한 마리 죽이는 것이 적 한 놈을 없애는 일이다>는 한 소년이 파리채를 들고 있고, 그 아래에 파리 한 마리를 그려 놓은 도상이다.
파리는 인간에게 이질과 콜레라 등을 옮기는 해충으로 주로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거리와 골목, 집집마다 청결을 유지하고 파리가 번식하기 쉬운 물웅덩이와 오물통 등을 덮는 일들이 시행되었다.
그런데 이 선전화의 하단에 쓰인 구호를 살펴보면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을 발견하게 된다. “파리 한 마리를 죽이는 것이 적 한 놈을 없애는 일이다.”라는 구호는 파리를 잡는 일상적인 행위를 적을 무찌르는 전투적인 행위와 연관시켜 애국심이라는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청의 <모두가 참새를 잡자>는 한 소년이 무엇인가를 향해 새총을 겨누고 있는 도상이다. 그런데 하단의 표어가 “모두가 참새를 잡자.”라는 구호임을 보면 그 대상이 참새임을 쉽게 눈치 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