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표제: コリアン·シネマ : 北朝鮮·韓国·トランスナショナル 원표제: Contemporary Korean cinema : identity, culture and politics 참고문헌 수록 일본어로 번역된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중역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한국 독자를 위하여 옮기며 추천의 글
1부 남북한 영화 들어가기 전에 들어가기 1. 민족 영화로서의 기원과 전개 - 식민과 분단의 기억 2. 젠더, 영화 〈춘향전〉 3. 민족의식, 분단 영화 속 역사 읽기 4. 문화 정체성 - 현대 남북한 사회의 계급 또는 계층 결론
2부 분단과 민족 영화의 경계를 넘어 1. 〈춘향뎐〉 - ‘뉴 코리안 시네마’로 다시 태어나다 2. 아시안 느와르에 드리운 무법자의 그림자 - 히로시마, 홍콩, 서울 3. 1960년대 한국 공포영화에서 ‘가족’, ‘죽음’ 그리고 ‘원혼(怨魂)’ 4. 〈나눔의 집〉에서 〈귀향〉까지 - 구 일본군 성 노예제의 기억 계승 5. 글로벌 시네마로서 한국 영화와 북한 영화 - 2000년부터 현재까지
작품목록집
이용현황보기
코리안 시네마 : 남과 북, 경계를 넘어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50053
791.430951 -23-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50054
791.430951 -23-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92147
791.430951 -23-16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이 책은 2018년 일본 미스즈 출판사에서 나온 『코리안 시네마: 북한·한국·트랜스내셔널』의 한국어 번역본이다. 2000 년 영어로 출판된 『현대 코리안 시네마: 문화, 이데올로기, 정치』를 1부로, 이후에 쓴 논문 5편을 2부로 구성하였다. 『현대 코리안 시네마』는 남북한 영화에 관한 첫 영어단행본이다. 1부가 배타적인 민족영화를 고집하던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들 을 살펴보았다면, 2부는 2000년대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경계를 넘어 글로벌 관객이 공감할 수 있는 트랜스내셔널 코리 안 시네마의 가능성을 짚어보았다. 그리고, 남북한 영화의 최근 동향에 대한 논의로 마무리하였다. 1부는 남북한 영화 비교를 주제로 한 이향진교수의 박사학위 논문을 영국 Manchester 대학출판사에서 출간한 『현대 코리안 시네마: 정체성, 문화, 정치(원서명: Contemporary Korean Cinema: Identity, Culture and Politics)』이고, 이후 이 교수가 최근까지 발표한 한국 영화 관련 논문을 모은 것이 2부로 구성된다. 이를 일본 출판사인 미스즈(みすず書房) 에서 『코리안 시네마: 북한·한국·트랜스내셔날(원서명: コリアソ·シネマ: 北朝鮮·韓国·トランスナショナル )』로 출판하였다. 일반적인 번역의 경우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지만 이 책의 경우는 1부의 원자료는 영어판을, 2부 의 자료는 영어 논문을 일본어로 번역한 책인 『코리안 시네마: 북한·한국·트랜스내셔날(원서명: コリアソ·シネマ: 北朝鮮·韓国·トランスナショナル)』을 번역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