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리고 성긴 매화 너를 믿지 않았더니 눈 기약(期約) 능히 지켜 두세 송이 피었구나 초 잡고 가까이 사랑할 제 암향부동(暗香浮動)하더라 - 〈매화사〉 8수 중 제2수.
매화가 피어나는 감동을 노래로 그려낸 작품이다. 《금옥총부》에는 안민영이 '매화'를 완상하며 지은〈매화사(梅花詞)〉 8수가 실려 있는데, 한 작품의 발문에서는 “(박효관) 선생께서 매화를 아주 좋아하여 손으로 새순을 분재하여 책상 위에 두었다. 바야흐로 그때 몇 송이가 반쯤 피어 은은한 향이 떠다니기에, 그로 인해 〈매화사(梅花詞)〉를 우조 한바탕 8수로 지었다”고 그 창작 동기를 밝혀 놓기도 했다. 이 〈매화사〉 8절은 안민영의 작품 중에서도 고평을 받아온 작품으로 《금옥총부》가 담고 있는 것이 다른 무엇보다 고도로 세련된 언어 예술의 세계라는 것을 보여 준다.
안민영의 목소리, '발문' 《금옥총부》에 실린 안민영의 시조 181수에는 예외 없이 그것이 짧든 길든 모두 '발문'이 달려 있다. 이는 《금옥총부》만의 독특한 형식으로 다른 가집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발문'의 성격도 매우 다양하여 작품의 특정 시구를 해설하거나 작품의 성격, 주제를 제시하기도 한다. 특히 작품이 창작된 배경을 제시하는 발문은 그 자체가 하나의 삽화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흥미로운 '장면'들로 가득하다.
신미년(辛未年:1871) 초여름에 운애(雲崖) 선생과 함께 산방(山房)에 마주 앉았는데, 때맞춰 오는 비에 꾀꼬리 우는 소리가 상쾌했다. 술을 따르고 서로 연이어 권할 때 갑자기 옅은 화장의 아름다운 여인 한 사람이 술병 하나를 들고 왔는데, 바로 평양 기녀 산홍(山紅)이었다. (*26번 작품 발문)
내가 평양 감영에 머물 때 모란봉(牧丹峯)에 올라 꽃을 감상하고 멀리 바라보니, 혜란(蕙蘭)과 소홍(小紅)이 꽃을 밟으며 왔다. (*70번 작품 발문)
내가 남원 출신의 아내와 함께 따른 지 40년으로, 금슬(琴瑟)처럼 벗하여 함께 돌아갈 뜻을 가졌다. 신이 돕지 않아 경진년(庚辰年:1880) 7월 23일에 오랜 병으로 갑자기 떠났으니, 이때의 슬픔과 애도가 과연 어떠했겠는가. (*105번 작품 발문)
내가 강릉 기녀 홍련(紅蓮)과 부부가 되기로 한 약속이 있었다. 이 작품을 지어 두 배로 하려고 하였으나, 마침내 약속처럼 되지 못했으니 한을 이길 수 있겠는가. (*139번 작품)
내가 주덕기(朱德基)를 이끌고 이천에 머물 때 여염집의 젊은 부인과 몰래 만날 약속을 하고 밤을 새우며 몹시 기다렸다. (*180번 작품 발문)
안민영은 19세기 시조사의 가장 핵심적인 인물임에도 그의 생애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그리 많지 않다. 때문에 《금옥총부》의 '발문'은 안민영이 살아온 행적에 대한 가장 풍부한 자료로 지목되기도 한다. 안민영은 자신의 작품과 살아온 삶을 어떻게 이해했는가? 그에 대한 안민영의 목소리라 할 수 있는 '발문'은 《금옥총부》를 읽는 또 하나의 즐거움이다.
좋아하는 일은 풍류(風流)였으며, 배운 바는 모두 음악이었네 안민영은 당대 최고 권력자인 흥선대원군과 그의 아들 이재면의 후원 아래 조선 후기 예능계의 중심에 설 수 있었다. 《금옥총부》의 여러 작품과 발문에는 이러한 후원에 대해 상세히 기록을 남기고 있다. 또한 진연(進宴)을 비롯한 궁중의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지방에서 올라온 기녀들과의 인연을 강조하는 대목이 적지 않아, 기녀가 등장하는 작품만 50편이 넘고, 40명이 넘는 기녀가 등장한다. 나아가 서울과 지방의 이름난 명창, 악공을 비롯해 일류 예인들과의 교유 양상도 확인할 수 있다. 즉, 《금옥총부》는 19세기 중후반 안민영과 흥선대원군을 중심으로 펼쳐졌던 예능계와 당대 풍류 현장의 한 단면을 비추는 텍스트인 것이다.
* 안민영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은 그가 스승 박효관과 함께 편찬한 《가곡원류》(박효관·안민영 엮음, 신경숙 옮김,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를 함께 읽어 보시면 좋습니다.
책속에서
어리고 성긴 매화 너를 믿지 않았더니 눈 기약(期約) 능히 지켜 두세 송이 피었구나 초 잡고 가까이 사랑할 제 암향부동(暗香浮動)하더라. <금옥 * 15, #3153.1>
낙화(落花) 방초로(芳草路)에 비단 치마 끌었으니 바람에 날리는 꽃 옥협(玉頰)에 부딪힌다 아깝다 쓸어 올지라도 밟든 마라 하노라.내가 평양 감영에 머물 때 모란봉(牧丹峯)에 올라 꽃을 감상하고 멀리 바라보니, 혜란(蕙蘭)과 소홍(小紅)이 꽃을 밟으며 왔다. <금옥 *70, #0790.1>
내가 젊어서부터 성격이 호탕하고 편안하게 지내며 즐기고 좋아하는 일은 풍류(風流)였으며, 배운 바는 모두 음악이고 가는 곳은 모두 번화한 곳이요 시간이 있으면 또한 세상을 벗어날 생각도 있었다. 매번 아름다운 산수를 만나면 문득 기쁘고 즐거워 돌아가기를 잊었으며, 그런 까닭에 금강산, 설악산, 대동강[貝江], 묘향산, 동해와 서해 무릇 나라 안의 명승지는 거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었으니 어찌 모두 풍류와 번화한 곳이 아니었겠는가. <금옥 *166, #2173.1> 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