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들어가며
제1장 무술이란 무엇일까?
Q01 격투 스포츠와 실전 무술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Q02 격투 스포츠보다 무술이 강하다?
Q03 사기 무술과 진짜 무술을 구분하는 방법은?
Q04 현대 무술에서 말하는 실전이란 무엇일까?
제2장 타격의 과학
Q05 타격 기술 ‘힘이 침투하는’ 현상이란?
Q06 갑옷 위를 때릴 때 효과 있는 장타(掌打)가 있을까?
Q07 뿌리치려 해도 뿌리치지 못하는 지르기가 있다던데 사실일까?
Q08 이소룡의 절권도란?
Q09 절권도에서 관수(貫手)를 많이 쓰는 이유는?
Q10 절권도 펀치 공방의 특징은 무엇일까?
Q11 절권도 특유의 손 기술이란?
Q12 절권도는 타격과 잡기를 혼합한 형태?
Q13 절권도의 발차기 기술 공방이란 무엇일까?
Q14 상대 공격에도 잘 견디는 몸을 만드는 무술 비법은 무엇일까?
Q15 갑옷과 같은 근육을 뚫고 나가는 효과적인 타격 방법은 존재할까?
제3장 검술ㆍ거합의 과학
Q16 진검 승부란 무엇일까?
Q17 양손으로 칼날을 잡아서 막는 게 가능할까?
Q18 칼로 상대 칼을 쳐 내거나 서로 밀어낼 때 역학 관계는?
Q19 시대극에 나오는 칼등 치기 장면은 실제로 가능할까?
Q20 칼로 상대 칼을 쳐 내는 요령은?
Q21 Q20의 원리는 칼을 휘두를 때도 해당할까?
Q22 코등이싸움에서 유리해지는 방법은?
Q23 칼로 베는 순간, 양손을 역방향으로 비트는 이유는 무엇일까?
Q24 ‘차 수건 짜기(茶巾絞り)’ 뜻은 알겠는데, 손목 근육만으로 충분히 힘을 낼 수 있을까?
Q25 갑옷 검술과 맨몸 검술의 차이점은?
Q26 치러 들어온 칼을 부드럽게 받아넘기는 방법은?
Q27 이도류(二刀流)는 역학 원리에 따라 얼마나 유용할까?
Q28 죽도로 상대를 쓰러뜨릴 만큼 ‘묵직하게’ 치는 방법은?
Q29 사츠마(薩摩)에 전해지는 ‘야쿠마루지겐류(薬丸自顕流)’ 위력의 비밀은?
Q30 야쿠마루지겐류(薬丸自顕流)의 강한 점은?
Q31 칼로 상대 눈을 겨누며 나아갈 때, 손을 떨지 않고 균형을 잡는 방법은?
Q32 ‘거합’으로 재빨리 칼을 뽑는 원리는?
Q33 제아무리 칼을 빨리 뺀다 해도, 칼자루를 못 빼게 제압당한다면?
제4장 무기의 과학
Q34 일본도는 어떤 칼?
Q35 일본도로 물체를 베는 원리와 잘 베는 칼을 만드는 방법은?
Q36 ‘칼날을 세운다’라는 뜻은?
Q37 칼날을 세우는 게 중요한 건 알겠는데, 세우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Q38 일본도의 휨과 칼날은 어떤 관계일까?
Q39 휜 칼일수록 칼날을 세우기 쉽다는 사실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Q40 일본도로 물체를 벨 때, 손에 드는 느낌과 베는 맛은?
Q41 일본도는 성능이 뛰어나다면서 왜 부러지거나 꺾이는 걸까?
Q42 일본도로 총알을 두 동강 낼 수 있다고?
Q43 봉, 칼, 창의 위력은 무엇이 다를까?
Q44 칼과 창의 무게, 길이, 휘두르기는 어떤 관계일까?
Q45 창이 일본도보다 유리할까?
Q46 활로 화살을 빠르게 쏠 수 있는 원리는?
Q47 실제 화살은 위력이 어느 정도였을까?
Q48 활시위를 떠난 화살은 이론대로 날아갈까?
Q49 사슬낫은 위력이 어느 정도일까?
Q50 쌍절곤은 어떤 무기?
Q51 휘둘러서 때리는 것 말고도 쌍절곤을 활용하는 방법은?
Q52 쌍절곤을 화려하게 휘두르는 방법은?
제5장 보법·몸놀림·감각을 속이는 과학
Q53 ‘난바 걷기’가 효율적이라는데 사실일까?
Q54 무술에는 발바닥 전체를 바닥에 대는 보법이 많은데, 어떤 장점이 있을까?
Q55 태극권도 발바닥을 붙인 보법을 사용하는데 위력은 어떨까?
Q56 중력을 이용해 민첩하게 움직이는 방법은?
Q57 발중(拔重)할 때 이용하는 중력과, 바닥에 붙인 뒤꿈치는 무슨 관계일까?
Q58 무술에서 말하는 ‘가장 빠르고 가장 짧은 움직임’이란?
Q59 감각을 속이거나 반응하는 심리를 조작해, 기척을 지우며 기술을 거는 방법은?
Q60 시대극에서 노련한 검술사가 패기 넘치는 젊은이를 간단히 쓰러뜨리던데 정말 가능할까?
Q61 앞에서 말한, ‘어디를 보고 있는지 모르는 눈’이란?
Q62 ‘그림자 지우기’라는 몹시 이상한 검 기술이 있다고?
제6장 무너뜨리기의 과학
Q63 무술에서 ‘무너뜨리기’는 무엇일까?
Q64 상대 지르기를 쳐올리며 막아도, 내 팔이 끌어내려지는 기술은?
Q65 Q64의 기술은 신중하거나 근력이 센 사람에게도 통할까?
Q66 발중(拔重)의 민첩하고 강한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방어하는 팔을 눌러 내릴 수 있을까?
Q67 주먹을 꽉 쥔 상대 손목을 완전히 꺾을 수 있을까?
Q68 상대에게 손목을 잡혔는데, 상대를 무너뜨릴 수 있을까?
Q69 대동류(大東流)의 불가사의한 무너뜨리기, ‘합기’란?
Q70 내가 먼저 상대를 무너뜨리려 하지 않는데, 상대가 갑자기 공격해 온다면?
Q71 ‘무너뜨리기’에 알맞은 몸을 만드는 방법은?
제7장 기(氣)·마음의 과학
Q72 기(氣)로 사람을 조종한다는 게 사실일까?
Q73 깨달음의 경지에 이른 무술의 달인이 존재하는 이유는?
Q74 좌선에 의한 집중을 과학 원리에 따라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Q75 무술은 본래 사람을 해치는 살인 기술인데, 사람을 구한다고?
Q76 ‘합기’, ‘삶의 의미’, ‘깨달음’을 논한 이 책이야말로 ‘비과학적’이지 않을까?
Q77 어쨌든 마음은 뇌에서 비롯된다고 믿고 싶은데 어떻게 하나?
Q78 내가 유물론을 부정하게 된 사연은?
Q79 나는 ‘깨달음’을 얻었을까? 또 ‘삶의 의미’를 찾았을까?
마치며
참고문헌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54643 | 796.8 -23-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3054644 | 796.8 -23-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B000095215 | 796.8 -23-4 |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