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4

01. 연구개요 11

1. 연구배경 및 목적 12

2. 연구내용 및 방법 13

02. 도시공간 복합이용 유형 도출 15

1. 도시공간의 구성요소 16

2. 도시공간 복합이용 유형 20

03. 도시공간 복합이용 유형별 교통기능 재정립 방안 마련 22

1. 단일 시설 개발 시 복합이용 23

2.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사업 시 복합이용 28

04. 결론 및 정책 제언 60

1. 결론 61

2. 정책 제언 62

참고문헌 68

Abstract 71

판권기 73

표목차

[표 2-1] 도시공간 복합이용 유형 21

[표 3-1] 교통사업의 편익 분류 34

[표 3-2] 수단별 평균 통행시간가치(수도권, 2021년 기준) 37

[표 3-3] 도로 교통사고의 인적피해 구분 38

[표 3-4] 지방도의 교통사고 발생비율 39

[표 3-5] 도로부문의 교통사고비용 원단위(PGS 포함, 2021년 가격 기준) 39

[표 3-6] 시나리오 1의 편익 추정 결과 44

[표 3-7] 시나리오 1의 네트워크 효율성 평가 결과 44

[표 3-8] 시나리오 2의 편익 추정 결과 45

[표 3-9] 시나리오 2의 네트워크 효율성 평가 결과 46

[표 3-10] 시나리오 1의 분석 기초 자료 52

[표 3-11] 시나리오 1의 분석 결과 53

[표 3-12] 시나리오 2의 분석 기초 자료 55

[표 3-13] 시나리오 2 분석 결과 56

[표 4-1] 「도시ㆍ주거환경 정비계획 수립지침」 66

[표 4-2] 「도시ㆍ군관리계획수립지침」 67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 내용 및 절차 14

[그림 2-1] 도시 형태의 구성 16

[그림 2-2] 도시계획시설의 개념 20

[그림 3-1] 개발 전(좌)과 후(우)의 영등포역 24

[그림 3-2] 개발 전(위)과 후(아래)의 동서울터미널 25

[그림 3-3] 차고지 개발 사례(좌: 개발 전, 우: 개발 후) 26

[그림 3-4] 공영주차장 개발 사례(좌: 개발 전, 우: 개발 후) 26

[그림 3-5] 둔촌동 주공아파트 재건축 위치도(좌: 개발 전, 우: 개발 중) 28

[그림 3-6] 왕십리 뉴타운 개발 사례 29

[그림 3-7] 서울시 재개발 사례(좌: 개발 전, 우: 개발 후) 31

[그림 3-8] 설정 시나리오(1) 33

[그림 3-9] 설정 시나리오(2) 33

[그림 3-10] 시나리오 1의 개발 전후 예상 통행 경로 43

[그림 3-11] 시나리오 1의 개발 전ㆍ후 도로 네트워크 통행배정 결과 비교 44

[그림 3-12] 시나리오 2의 개발 전후 예상 통행 경로 45

[그림 3-13] 시나리오 2의 개발 전ㆍ후 도로 네트워크 통행배정 결과 비교 46

[그림 3-14] 접근성 지표 Reach의 개념 47

[그림 3-15] 접근성 지표 거리에 따른 Gravity의 감쇠 효과 49

[그림 3-16] 중심성 지표 Straightness의 개념 50

[그림 3-17] 시나리오 1의 Patronage-Betweenness 54

[그림 3-18] 시나리오 1의 Find-Patronage 55

[그림 3-19] 시나리오 2의 Patronage-Betweenness 57

[그림 3-20] 시나리오 2의 Find-Patronage 57

[그림 4-1] 공간적 범위 결정의 개념 63

[그림 4-2] 입체적 결정의 개념 63

[그림 4-3] 구분지상권의 개념 64

[그림 4-4] 정비사업 추진 절차 65

이용현황보기

도시공간 복합이용에 따른 교통기능 재정립 방안 :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사업 중심으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92750 711.4 -24-2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92751 711.4 -24-2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