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등표제: The history and faith of the Christian Brethren 표제관련정보: 역사적, 신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규명한 기독교 형제단의 기원과 종교개혁운동의 학문적 이해 참고문헌: p. [284]-292 수상: 전국 신학대학협의회 최우수논문상, 2022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추천사 1 남 병 두 박사_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역사신학 교수 1 추천사 2 권 진 호 박사_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장 3 추천사 3 김 한 성 박사_ 아신대학교 선교학 교수 5 추천사 4 김 홍 열 원장_ 그리스도인훈련원(CTI) 7
감사의 글 13 제1장 서론 15 제2장 기독교 형제단 이전의 자유교회 전통 45 제3장 기독교 형제단 태동의 직접적 배경 100 제4장 기독교 형제단의 시작 135 제5장 기독교 형제단의 분열 211 제6장 결론 267 참고 문헌 284
이용현황보기
기독교 형제단의 역사와 신앙 : 기독교 형제단 출현의 역사적·신학적 배경에 관한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59278
270 -24-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059279
270 -24-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조지 뮐러, 허드슨 테일러, 짐 엘리엇, FF 브루스 등, 교계에서 존경받거나 잘 알려진 인물들이 기독교형제단 출신이지만, 정작 기독교형제단의 역사와 신학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 기독교형제단은 그들이 배출한 인물들 이상으로 주목할만한 교단이기에 그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책은 기독교형제단 출현의 역사적·신학적 배경을 고찰함으로써 종교개혁의 후예이자 ‘자유교회 전통’의 일원으로서 그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의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책속에서
[P.16] 필자는 형제단의 기원 문제를 역사적 ․
[P. 20] 신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규명하고 그 역사적 ‧
[P. 124] 신학적 공과(功過)를 확인함으로써 형제단이 균형 잡힌 역사관과 자신들 고유의 신학적 정체성을 확립해 역사 속에서 발현된 빛을 재확인하고 오늘에 그 빛을 다시 드러내기를 바란다.
이러한 특성을 공유하는 무리들은 16세기의 아나뱁티스트-메노나이트들을 시작으로, 17세기 영국의 침례교도들과 퀘이커들을 들 수 있다. 그리고 18세기에는 독일 형제단(German Brethren)12에서 같은 지향성을 찾아볼 수 있다. 19세기에는 신자들의 교회를 이루고 초대 교회의 모습을 회복하고자 했던 이들 로서 이 책의 탐구 대상인 기독교 형제단이 출현하였다.
정리하면, 테일러가 주크스가 목회하던 교회에 출석한 것은 1851년이었고, 주크스와 그의 교회가 형제단에 합류한 것은 1843년이었다. 따라서 테일러는 헐의 형제단 교회에 출석해 다시 침례받았고, 그 교회에서 자기를 하나님이 선교에 부르셨음을 간증하고 중국으로 떠났으므로 형제단의 일원으로 파송된 선교사임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