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장. 전례 없는 ‘위기’ 가운데에서

1. 지방소멸에 대한 과도한 대응 013
2. 희망의 상실 016
3. 목적과 구성 019
4. 본서의 접근 방법에 관해서 022
5. 시마네현이라고 하는 지역 024

제Ⅰ부. 관계인구란 무엇인가

제1장. 관계인구 탄생 전 역사-지역사회의 변화
1. 인구감소 단계에 따른 3가지 시대구분 033
2. ‘황금알’과 이별하며-과소의 탄생034
3. 대중교육사회-대학진학에 의한 유출 043
4. 한계로부터 소멸로-더욱 심해지는 인구획득 전쟁 051
5. 지역쇠퇴의 사이클 057

제2장. 관계인구의 개념규정
1. 등장의 의미 065
2. 혼란과 비판 069
3. 사회학적 배경 075
4. 사회학적 정의 082
5. 확산과 다양성 091

제3장. 관계인구의 분석시각
1. 두 가지 문제 105
2. 지역재생 주체의 역사적 전개 107
3. 주체형성론의 재검토 112
4. 사회관계자본론과 주체형성 118
5. 지역재생에 있어서 외지인(요소인)의 역할 126

제Ⅱ부. 관계인구의 다양한 모습

제4장. 폐교 직전에서 매력적인 학교로-시마네현 아마정
1. 조사대상과 방법 139
2. ‘바다의 사무라이’ 141
3. 이대로라면 무인도가 된다 149
4. 최전선에서의 도전 156
5. ‘매력화’라고 하는 본질전인 비전 164
6. 뜻을 이루러 돌아오라 171

제5장. 셔터거리 상점가가 다시 살아났다-시마네현 고쓰시
1. 조사대상과 방법 193
2. 도쿄에서 가장 먼 마을 185
3. 기업유치로부터 창업가 유치로 191
4. 돌아올 수 있는 시마네를 만들자 198
5. 토박이인 우리도 뭔가 하고 싶다 205
6. ‘사람이 사람을 부르는’ 선순환 212

제6장. 소멸하는 마을에서 안심하고 산다-가가와현 만노정
1. 조사대상과 방법 223
2. 싸움에 패한 무사들이 숨어 살고 있다는 전설 225
3. 행정은 아무리 해도 안된다 230
4. ‘우리는 쓰러져 죽을 뿐이다’ 240
5. 진화하는 전출자간담회 248
6. 마을의 존엄성을 지킨다 254

제Ⅲ부 관계인구와 지역재생

제7장. 지역재생 주체의 형성
1. 주체형성의 3단계 267
2. ‘연대형’ 사회관계자본 276
3. 지역재생 주체로서의 관계인구 289
4. 관계인구의 가능성 297

제8장. 관계인구의 역할
1. 지역재생 사이클 305
2. 지역재생 사이클의 의미 부여 312
3.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지역재생 325
4. 지역과제라고 하는 ‘관계여백’ 335

종장. 목적으로 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보론(補論). 신형코로나바이러스와 관계인구 349

각주 356
참고문헌 365
감사의 글 387
색인 390

이용현황보기

관계인구의 사회학 : 인구감소 시대의 지역재생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67233 304.6 -24-5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이용불가
0003067234 304.6 -24-5 서울관 1층 중앙홀 서평도서(도서관내 이용)
0003075366 304.6 -24-5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075367 304.6 -24-5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테마코너
(자료실내 이용)
B000094593 304.6 -24-5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B000094594 304.6 -24-5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B000119466 304.6 -24-5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 사는 사람이 줄면 지역은 재생할 수 없나?

『관계인구를 만들다』의 저자가 관계인구를 사회학의 견지에서 정의하고 그 역할을 논한 일본 최초의 관계인구에 대한 연구서이다. 각지역의 구체적인 사례와 새로운 이론의 틀에 맞춰 관계인구를 재설정하여 인구감소 시대의 지역재생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관계인구』란 정주인구(이주)도 아니고 교류인구(관광)도 아닌 특정지역에 다양한 형태로 관련된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로, 최근 심각한 인구감소가 진행되는 지역사회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지역 밖 주체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 책에서는 『관계인구』라는 새로운 주체의 존재와 『관계인구』가 지역재생을 완수하는 역할을 밝힘으로써 앞으로의 인구감소 시대에 있어서 지역재생 본연의 자세와 재생을 향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신종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을 근거로 향후 지역과 관계인구를 검토하는 보폰(補論)도 첨부하고 있어 지역행정이나 지역 만들기 관계자들의 필독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인구감소 시대의 생존방안으로 관계의 양(量)에서 질(質)로의 전환이 무엇인지를 이 책은 확실히 제시하고 있다, 우리는 관계의 양에는 익숙하지만, 질에는 둔감한 게 사실이다. 그런데 이 책은 관계의 양보다 질을 강조하고, 그 관계의 질은 어떤 것인지를 명확하게 밝힌다.

이 책에서 말하는 관계의 질이란 수평적 관계에 바탕을 둔 호혜성과 협동, 진심어린 신뢰, 사리판단이 가능한 담백한 관계가 핵심이다. 수직적 관계를 따지는 꼰대문화가 뿌리 깊고, 말로만 신뢰를 강조하며,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감정을 당연시 하는 사고가 지배한 상황에서는 선뜻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부분이다.

* 지방소멸과 지역소멸을 경험하는 곳에서 관계인구가 지역재생이라는 현안을 해결하는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막연한 기대만 갖고 있는 상황에서 이 책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그 해답을 주고 있다.

관계인구는 그 자체로 여러 효과가 있지만 결국은 지역주민들과 협력해서 창발적인 방식으로 지역재생을 이끌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관계인구가 존재함으로써 지역주민이 지역재생의 주체로 거듭나도록 하는데 의미가 큰 것이다.

* 본서의 곳곳에서 등장하는 지역사회를 재생시키기 위한 참신한 아이디어들은 독자들에게는 큰 자극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평

* 다음은 아마존에서 『관계인구의 사회학』을 구입한 독자의 리뷰입니다.

이 책에서는 최근 지역 활성화와 관련하여 많이 들리고 있는 ‘관계인구’라는 용어에 대해 실용적 관점이 아닌 사회학적 관점에서 철저하게 고찰하고 있습니다. 관계된 인구를 학술적으로 다룬 몇 안 되는 책 중 하나로서 매우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장도 압도적으로 읽기 쉬워 저자의 사고 과정이 독자의 머릿속에 자연스럽게 재현됩니다. 엔드 노트가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단어에 대한 자세한 정의와 관련 항목에 대한 정보도 상당합니다.
오늘날 인구가 감소하는 사회로 접어들면서 ‘소멸이냐 생존이냐’라는 이항적 대립적 관점에서 지역의 미래를 논의하는 장면을 자주 접하게 되는데, 관계인구에게 지역 활성화의 주체로서의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소멸론도 생존론도 아닌 제3의 방향에 대한 논의가 나타난 것입니다.
그런 관계인구에게 지역 활성화와 관련된 역할을 부여하는 작업을 구체적인 서술을 통해 보여주는 이 책은 요즘 시대에 큰 의미를 갖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의 관련 인구를 다룬 책에 대한 개념적 논의에 다소 약함을 느끼는 분들에게 이 책을 꼭 추천하고 싶습니다.
여기서 또 한 번 기대해보고자 하는 논의는 관계인구 외에 지역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관계인구가 어떤 존재인지에 대한 논의입니다. 이 책은 지역 활성화의 주요 주제를 전체적인 주제로 설정합니다. 이는 지역 측면의 문제의식이지만, 관계인구가 지역 외부에서 온 관계를 맺고 있는 인구라는 점을 감안하면 지역 활성화 외에도 지역에 대한 관심과 관여의 방법도 다양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쯤에서 ‘재생’, ‘활성화’ 등 ‘지역을 더 좋게 만든다는 본질에서 공통적’이라는 말을 일단 내려놓으면 지역을 처음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책의 후속작에서 관계인구라는 개념에 대한 논의가 정말 기대됩니다.

특기사항

일본 오사카대학출판회에서 2021년 출간돼 세계 최대의 온라인 서점인 ‘아마존’을 비롯해 일본 지방자치단체 담당자들로부터 크게 관심을 받고 있는 이 책은 지방소멸과 지역소멸에 직면한 곳에서 어떻게 재생방안을 마련할지 다각적인 차원에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인구감소 시대의 생존방안으로 관계의 양(量)에서 질(質)로의 전환이 무엇인지를 이 책은 확실히 제시하고 있다, 우리는 관계의 양에는 익숙하지만, 질에는 둔감한 게 사실이다. 그런데 이 책은 관계의 양보다 질을 강조하고, 그 관계의 질은 어떤 것인지를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