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제출문 3
보고서 요약서 4
요약문 6
SUMMARY 8
목차 10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53
제1절 연구 개발 배경 및 필요성 54
1. 연구 개발 배경 54
2. 연구 개발 필요성 57
제2절 연구 개발 목표 및 내용 59
1. 연구 개발의 최종목표 59
2. 연구 개발의 내용 및 범위 60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62
제1절 도시·광역철도 급행열차 운영기술개발 기술 동향 64
1. 패턴 조합 급행화에 따른 교통수요 변화 추정 64
2. 도시·광역철도 급행화 관련 선행연구 65
제2절 기존 인프라 재구조화 기술개발 66
1. 대피선 건설 공법 기술개발 동향 66
2. 기존선 운영 중 대피선 건설 기술 개발 동향 73
3. 터널 확폭에 따른 환기·방재 분야 기술 개발 동향 91
4. 지반탐상기법관련 국내외 기술 개발 동향 94
5. 모듈형 분기기 급속시공 핵심기술 개발 동향 105
제3절 차량 시스템 성능개선 기술 개발 관련 기술 동향 110
1. 차량 시스템 성능개선 기술 개발 국내 현황 110
2. 차량 시스템 성능개선 기술 개발 국외 현황 111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116
제1절 도시·광역철도 급행열차 운영기술개발 118
1. 도시·광역철도 급행화 효과 평가기술 개발 118
2. 고밀도 도시철도 노선의 급행화 도입을 통한 열차 운행 개선 기술개발 250
제2절 기존 인프라 재구조화 기술개발 290
1. 대피선 건설공법 시공성 검증 290
2. 기존선 운영 중 대피선 건설에 따른 리스크 분석 316
3. 터널 확폭에 따른 환기·방재 분야 개량방안 343
4. 터널 확폭에 따른 프로텍터 및 전차선 이설 핵심기술 개발 371
5. PC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비개착공법(CMR, Concrete Modular Roof)의 실험 및 해석 460
6. 터널 라이닝 배면 지반 특성 분석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 개발 470
7. 터널 확폭 시공 절차에 따른 지반이완 응력 해석 및 철도 터널 구조물 거동 검토 583
8. 모듈형 분기기 급속시공 핵심기술 개발 655
9. 운행선 차단시간 내 급속 분기선로 시공 때 선로 선형, 시설물, 관련 규정 인터페이스 검토 815
제3절 터널 확폭기술에 대한 시험대 구축 및 적용성 검토 851
1. 테스트베드 사이트 구축 851
2. 테스트베드 지질 특성 파악 기술 적용 871
3. 비개착 터널 무진동 암반 굴착 기술 적용(할암 수행건-작업/시공성 위주 기술) 921
4. 테스트베드용 프로텍터 설계, 제작, 시공 925
5. 확폭 터널 테스트베드 지반 거동 계측 1093
6. 라이닝 해체에 따른 프로텍터의 거동 분석 1140
7. 시공단계 및 암반등급을 고려한 테스트베드 확폭터널의 수치 해석적 거동 평가 1168
제4절 차량 시스템 성능개선 기술개발 1216
1. 철도차량의 가감속 특성 성능향상 1216
2. 급행 차량의 TCMS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구현 1242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248
제1절 성과목표 대비 추진실적 1250
제2절 연구 결과의 실용성 및 파급 기대효과 1271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1274
제1절 도시·광역철도 급행열차 운영기술개발 1276
제2절 기존 인프라 재구조화 기술개발 1280
제3절 차량 시스템 성능개선 기술개발 1281
참고문헌 1284
판권기 1287
그림 1-1-1. 연구 개발의 배경 54
그림 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략목표 2 58
그림 2-2-1. Nazzano터널 시공 전경 66
그림 2-2-2. 확장 개요 및 확대 장비 사진 67
그림 2-2-3. Ajigasaki Tunnel 시공개요 및 현 장사진 67
그림 2-2-4. 강천터널 확장 단면 및 갱구 부 전경 68
그림 2-2-5. 남산2호터널 개수 전후 터널 단면 68
그림 2-2-6. 화악터널 개수 전후 터널 단면 69
그림 2-2-7. Exchange Place Improvemant Project 개요 70
그림 2-2-8. 자기 중 분기 터널 개요도 및 분기부 현장사진 70
그림 2-2-9. 기존 터널 개량을 통한 분기부 터널 시공순서 71
그림 2-2-10. 이탈리아 베네치아 정거장 현황도 71
그림 2-2-11. C.A.M 공법 개요도 72
그림 2-2-12. 고속버스터미널 정거장 내부 전경 72
그림 2-2-13. 미국 00 고속철도 터널 프로젝트 대안별 리스크 등급 발생빈도 74
그림 2-2-14. 리스크 점수 매트릭스 (Risk Scoring Matrix) 76
그림 2-2-15. 미국 수로터널 리스크 매트릭스 활용 사례 76
그림 2-2-16. FT(Fault Tree)를 활용한 리스크 요인 분석 79
그림 2-2-17. 사건 수의 구조 80
그림 2-2-18. ETA 결과 83
그림 2-2-19. 한국 경부고속철도 사업 DAT 적용 사례 84
그림 2-2-20. STRAM-BN 개략도 85
그림 2-2-21. Bayesian Network를 활용한 리스크 원인 분석 87
그림 2-2-22. Three dimensional seismic tomogram (a) velocity cube through 10 iterations... 94
그림 2-2-23. 3D fence diagram for the interpretation of lower velocity anomaly zone 95
그림 2-2-24. 해머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배면 반사면 탐사 방법의 모식도(Amberg사 Manual) 98
그림 2-2-25. TSWD 모델과 파동 장(wave field) 98
그림 2-2-26. SeisSpace ProMAX 100
그림 2-2-27. RadExPro 100
그림 2-2-28. OpendTect 101
그림 2-2-29. VISTA Desktop 102
그림 2-2-30. TSP 303 102
그림 2-2-31. GPR 모식도(지질자원연구원, 2015) 104
그림 2-2-32. TSP 모식도. 주로 막장이면 앞쪽 구조를 탐사함(Amberg사 Manual) 104
그림 2-2-33. 번수별 고정분기기 105
그림 2-2-34. 대구 도시철도 분기기 교체 작업 순서도 106
그림 2-2-35. 교체 전 106
그림 2-2-36. 교체 후 106
그림 2-2-37. 교체 전-방진 부츠 목침목 108
그림 2-2-38. 교체 후 - 시스템 300W 108
그림 2-2-39. 교체 전 분기기 109
그림 2-2-40. 방진 부츠형 목침목 분기기 철거 109
그림 2-2-41. 신규 분기기 안착 109
그림 2-2-42. 침목과 도상 몰타르 충진 109
그림 2-3-1. 철도차량의 가감속 특성 현황 111
그림 2-3-2. 일본 사례 111
그림 2-3-3. Innotrans 전시품 112
그림 2-3-4. 실시간 차상 모니터링 및 진단 시스템 113
그림 2-3-5. 독일 차상 진단 시스템 113
그림 2-3-6. 급행 차량의 TCMS를 활용한 고장 예지 114
그림 3-1-1. 도시철도 급행화 운영 현황 119
그림 3-1-2. 1호선 용산-동인천 구간 급행열차 정차역 122
그림 3-1-3. 기종점별 유형 구분 (1: 일반-일반. 2: 급행-급행, 3: 일반-급행, 4: 급행-일반, 5: 일반-일반 128
그림 3-1-4. 성별 및 연령대별 기초통계 그래프 135
그림 3-1-5. 성별에 따른 열차 선호 기초통계 그래프 136
그림 3-1-6. 가구원 수 기초통계 그래프 137
그림 3-1-7. 월평균 가구소득 기초통계 그래프 138
그림 3-1-8. 성별에 따른 통행목적 기초통계 139
그림 3-1-9. 통행목적별 열차 선호도 기초통계 그래프 140
그림 3-1-10. 열차 구분에 따른 혼잡도 통계 그래프 141
그림 3-1-11. 지하철 일반열차 이용에 대한 만족도 통계 그래프 142
그림 3-1-12. 지하철 급행열차 이용에 대한 만족도 통계 그래프 143
그림 3-1-13. 지하철 급행화 시행 시, 대중교통에 관한 편리성 조사 144
그림 3-1-14. 지하철 급행열차 도입 시 필요성 조사 그래프 145
그림 3-1-15. 지하철 급행열차 도입 시, 우선 추진 노선 조사 그래프 145
그림 3-1-16. 지하철 급행열차 운영방식 선호도 조사 그래프 146
그림 3-1-17. 월평균 대중교통 이용요금 기초통계 그래프 147
그림 3-1-18. 승용차 대 대중교통 이용 비율에 따른 급행열차 선호도 148
그림 3-1-19. 패턴 조합 시나리오 157
그림 3-1-20. 도시철도 3, 4, 5, 9호선 노선도 159
그림 3-1-21. 각 노선별 역 유형 161
그림 3-1-22. 서울시 9호선 개통 단계별 노선도 163
그림 3-1-23. 서울시 9호선 개통 시점별 분석 예시 163
그림 3-1-24. Trip-chain 예시 165
그림 3-1-25. 데이터 전처리 과정 166
그림 3-1-26. 9호선 3단계 개통 전후 9호선 노선의 승·하차 통행량 분석 결과 173
그림 3-1-27. 교통 방향의 변화 특성 175
그림 3-1-28. 교통통행 특성의 관점 변화 175
그림 3-1-29. Tour 관점에서의 개인의 통행 선택 특성 비교 178
그림 3-1-30. 통행목적 추정 분석 흐름도 178
그림 3-1-31. 통행목적 배정을 위한 규칙 기반 의사결정트리 179
그림 3-1-32. 하루 내 활동 및 통행패턴의 예시 180
그림 3-1-33. 일별 활동의 집계된 시간적 패턴 181
그림 3-1-34. 통근자와 비통 근자의 통근행태 분석 182
그림 3-1-35. 모형의 분석단계 185
그림 3-1-36. 단계별 선택구조에 의한 선택모형 구조 및 활용 데이터 186
그림 3-1-37. 시공간적 개인 통행의 특징 187
그림 3-1-38. 개인 통행의 시간 속성 189
그림 3-1-39. 하루의 시공간적 통행 특성에 대한 모형 구조 190
그림 3-1-40. 통행의 순서와 TAZ에서의 통행 속성의 차이 191
그림 3-1-41. 통행의 순서에 따른 통행목적의 비교 194
그림 3-1-42. Activity-based Model 기반의 수요예측 모형 196
그림 3-1-43. 1단계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 각 군집의 활동 시간 Density Plot 202
그림 3-1-44. 스마트카드 데이터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 203
그림 3-1-45. 가구 통행실태조사 자료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 204
그림 3-1-46. 2단계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 각 그룹의 활동 시간 Density Plot 204
그림 3-1-47. 단일목적 통행을 하는 이용자의 통행행태 예시 206
그림 3-1-48. 9호선 2단계 및 3단계 개통 구간 211
그림 3-1-49. 9호선 3단계 개통 전후 분석을 위한 137개 영향권 214
그림 3-1-50. 9호선 3단계 개통 전후 평균 승차 통행량 패턴 216
그림 3-1-51. 2019년 영향권 3단계 개통 전후 승차 통행량 차이(2019년-2018년 통행량) 216
그림 3-1-52. 버스정류장 최대 반경 500m 클러스터링 결과 220
그림 3-1-53. 본 연구의 분석 예시 227
그림 3-1-54. 서울시 대중교통 통행 집중도(출근 시간) 232
그림 3-1-55. O-D 쌍에 대한 효율성 분석의 시각화 결과 234
그림 3-1-56. 입력, 출력 및 효율성 점수 사이의 관계 그림 234
그림 3-1-57. 최적 버스노선 운행 전략 결과 236
그림 3-1-58. 간선급행버스 설계 과정 요약 240
그림 3-1-59. 간선급행버스 운영계획 240
그림 3-1-60. 상위 15개 클러스터의 구역 간선급행버스 경로 248
그림 3-1-61. 지역 급행 노선의 수와 예산 제약에 대한 누적 순이익의 해당 금액 249
그림 3-1-62. 1일 1,440분 중 통근/통학에 소비된 평균 시간 (분/1일), 1999~2018*, 15세~64세 대상**(Source : OECD. Stat, 2020.) 250
그림 3-1-63. 수도권 도시‧광역철도 노선도 251
그림 3-1-64. 승용차와 철도의 통행시간 비교(목적지: 한강 이남 도심 강남) 252
그림 3-1-65. 승용차와 철도의 통행시간 비교(목적지: 한강 이북 도심 시청) 252
그림 3-1-66. 기존 도시철도의 급행화 방안 254
그림 3-1-67. 5호선 상행 충정로→공덕 간 전역 정차와 선택 정차(1 개역 skip)의 운행 선도 비교 281
그림 3-1-68. 5호선 상행 장한평→왕십리 간 전역 정차와 선택 정차(2 개역 skip)의 운행 선도 비교 281
그림 3-1-69. 5호선 하행 영등포시장→여의도 간 전역 정차와 선택 정차(1 개역 skip)의 운행 선도 비교 282
그림 3-1-70. 5호선 하행 목동→영등포구청 간 전역 정차와 선택 정차(2 개역 skip)의 운행 선도 비교 282
그림 3-1-71. 서울메트로 5호선 상행 완행열차와 패턴 조합 열차의 운행 시간 및 최소 운전시격 비교 285
그림 3-1-72. 서울메트로 5호선 하행 완행열차와 패턴 조합 열차의 운행 시간 및 최소 운전시격 비교 286
그림 3-2-1. 과천 정부청사역 평면 및 단면 290
그림 3-2-2. 검토대상 구간 인접 과천선 지반조사 위치 291
그림 3-2-3. 정부과천청사역 정거장 대피선 설치계획 292
그림 3-2-4. 정부과천청사 대피선 및 정거장 설치계획 293
그림 3-2-5. 3-ARCH 터널 표준 단면 299
그림 3-2-6. TSTM공법 표준 단면 300
그림 3-2-7. TRcM공법 표준 단면 301
그림 3-2-8. UPRS공법 표준 단면 302
그림 3-2-9. 미니 파이프 루프 그라우팅 시스템(예시) 305
그림 3-2-10. 시공순서도 308
그림 3-2-11. 강관 자재 사용계획 310
그림 3-2-12. 선도관 보강 상세도 310
그림 3-2-13. 선도관 보강 상세도 310
그림 3-2-14. 추진 받침틀 설치 상세도 311
그림 3-2-15. 막장 폐쇄 장치 설치 상세도 311
그림 3-2-16. UPRS공법 시공순서도 312
그림 3-2-17. 추진기지설치 312
그림 3-2-18. 강재 반력벽 설치 313
그림 3-2-19. 강재 반력벽 설치 313
그림 3-2-20. 임시시설 강재 절단 및 가이드빔 설치 314
그림 3-2-21. 선행관 절개 및 후속관 설치 314
그림 3-2-22. 강관 내부보강 315
그림 3-2-23. 철근망 고정 315
그림 3-2-24. 띠장 및 버팀대 개념도 및 개척 작업구 현장 예시 316
그림 3-2-25. 개착 작업구 굴착에 따른 Arching effect 저하 317
그림 3-2-26. 임시시설 벽체 H-pile 단면력 증가 317
그림 3-2-27. 보호구 개념도 및 상세 보호구 설치 318
그림 3-2-28. 터널 속 운행 중인 열차 318
그림 3-2-29. 3-Arch 터널 부 H-Pile 좌굴 319
그림 3-2-30. 개착 작업구 굴착 단계 리스크 요인 분석 324
그림 3-2-31. 확폭터널 굴착 단계 리스크 요인 분석 325
그림 3-2-32. 3-Arch 터널 굴착 단계 리스크 요인 분석 326
그림 3-2-33. 기존 리스크 평가 매트릭스 모델 327
그림 3-2-34.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 단계 330
그림 3-2-35. FTA-AHP 리스크 평가 매트릭스 및 리스크 허용 등급 기준 332
그림 3-2-36. 대피선 건설방안 안정성 평가 수치해석 모델 335
그림 3-2-37. 대피선 건설 전체 시공순서 336
그림 3-2-38. 대피선 건설방안 시공개요도 337
그림 3-2-39. 리스크 평가 가이드라인 342
그림 3-2-40. 기류분배 불균형 346
그림 3-2-41. 전산 유체해석 과정 351
그림 3-2-42. 환기구 활용방안 357
그림 3-2-43. 화재 위치 358
그림 3-2-44. 열차 주변 압력 특성 368
그림 3-2-45. 터널 프로텍터 일반도 371
그림 3-2-46. 프로젝트 횡단면도 372
그림 3-2-47. 프로텍터 평면도 373
그림 3-2-48. 프로텍터 종단면도 373
그림 3-2-49. 고정식 시스템 374
그림 3-2-50. 전차선 지주지지 구조 횡단면도 374
그림 3-2-51. 상세 "A" 전면도 375
그림 3-2-52. 상세 "A" 측면도 375
그림 3-2-53. 복선 터널 프로텍터 일반도 454
그림 3-2-54. CMR 공법 시공순서 461
그림 3-2-55. 모형 콘크리트 구조물 3D 단면도 462
그림 3-2-56. 3D 프린터를 활용한 모형 구조물 제작 462
그림 3-2-57. 모형토조 제작 463
그림 3-2-58. 실험을 위한 압입 장치 464
그림 3-2-59. 모형 구조물 압입실험 전경 465
그림 3-2-60. 모형 구조물 내부굴착 실험 전경 466
그림 3-2-61. 모형 구조물 내부굴착 실험 전경 467
그림 3-2-62. CMR 현장 조립 실험 결과 468
그림 3-2-63. CMR 현장 조립 실험 결과 469
그림 3-2-64. 자료회전의 적용 (a) 입력자료, (b) 자료 회전을 적용한 자료 471
그림 3-2-65. mute 처리의 적용. (a) 입력자료, (b) 0.1sec 상부의 신호를 mute 처리한 결과 471
그림 3-2-66. 이득 회수의 적용 (a) 입력자료, (b) 시간에 따른 이득 회수를 적용한 자료 472
그림 3-2-67. 주파수 대역필터의 적용 (a) 입력자료, (b) 입력자료의 스펙트럼, (c) 20~30Hz... 474
그림 3-2-68. 구조보정 전후의 이미지 (a) 구조보정 전의 중한단면도(Stacked Section)... 476
그림 3-2-69. Stolt 구조보정 전후의 이미지와 f-k 스펙트럼. (a) 구조보정 전의 자료, (b)... 477
그림 3-2-70. kx-kz 영역에서 Stolt 구조보정 전후의 스펙트럼 변화(Yilmaz, 2001) 478
그림 3-2-71. 역시간 구조보정의 작동 원리(Yilmaz, 2001) 480
그림 3-2-72. Point aperture와 파면의 모양(Yilmaz, 2001) 481
그림 3-2-73. 회절 점과 그로부터 지표에서 기록된 반응(Yilmaz, 2001) 482
그림 3-2-74. 이웃하는 회절 점들과 그 반응들(Yilmaz, 2001) 482
그림 3-2-75. 반사면처럼 작용하는 회절 점들(Yilmaz, 2001) 482
그림 3-2-76. Kirchhoff 구조보정에서 사용하는 최대 경사에 따른 결과들 484
그림 3-2-77. 여러 가지 최대 경사 값을 이용한 Kirchhoff 구조보정 결과(Yilmaz, 2001) 485
그림 3-2-78. h-t 영역에서의 신호와 tau-p 영역에서의 신호 변환(Yilmaz ,2001) 486
그림 3-2-79. 상용소프트웨어 전처리 과정의 대체 공개 소스 모듈 488
그림 3-2-80. 지하의 회절 점으로부터 회절 된 파의 주행 경로 및 주행시간 491
그림 3-2-81. 구조보정 알고리즘의 Flowchart 492
그림 3-2-82. Impulse를 포함한 입력자료 495
그림 3-2-83. Impulse를 포함한 입력자료에 구조보정을 적용한 결과 496
그림 3-2-84. 검증을 위한 합성탄성파 자료 생성에 사용된 속도 모델 496
그림 3-2-85. 위의 속도 모델을 이용하여 생성한 합성탄성파로부터 도출한 자료의 예 497
그림 3-2-86. (a) hot gather 2개의 구조보정 결과를 중합하여 얻은 영상, (b) 구조보정 결과와 속도 모델이 중첩된 그림 498
그림 3-2-87. (a) hot gather 100개의 구조보정 결과를 중합하여 얻은 영상, (b) 구조보정 결과와 속도 모델이 중첩된 그림 499
그림 3-2-88. 사용한 impulse 500
그림 3-2-89. impulse를 포함한 입력자료에 구조보정을 적용했을 때의 예상 결과 및 송·수신기의 3차원 geometry 500
그림 3-2-90. 3차원 구조보정 결과의 x-y 평면의 영상화 501
그림 3-2-91. 3차원 구조보정 결과의 x-z 평면의 영상화 501
그림 3-2-92. 3차원 구조보정 결과의 y-z 평면의 영상화 502
그림 3-2-93. 3차원 구조보정 결과의 3차원 공간에서의 영상화 503
그림 3-2-94. 반사면 추출 알고리즘의 Flowchart 506
그림 3-2-95. 사용한 현장 자료의 Side TSP탐사 측선 모식도(지오. 메카, 2020) 508
그림 3-2-96. 현장 자료 중 전처리 과정에 사용될 변수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한 ST-L자료 508
그림 3-2-97. (a) 획득한 자료(x 성분)와 (b) 각 기록의 주파수 스펙트럼 510
그림 3-2-98. 주파수 대역필터(200-300-500-1000Hz)를 적용 후의 (a) 자료와 (b) 스펙트럼 510
그림 3-2-99. 고주파수대 역 필터를 적용한 후의 자료 511
그림 3-2-100. 자료의 속도 분석 512
그림 3-2-101. (a) 주파수 대역 필터 적용자료와 (b) 이득 회수 적용자료 513
그림 3-2-102. 반사파 강화처리 과정. (a) 입력자료, (b) Mute Processing을 적용한 결과,.... 514
그림 3-2-103. (a) x 성분, (b) y 성분, (c) z 성분 자료의 구조보정 결과, (d) 3차원 ... 517
그림 3-2-104. 삼성 분의 구조보정 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a) XY 평면, (b) XZ 평면 518
그림 3-2-105. (a) 구조보정 결과의 (b) tau-p 영역의 매핑 결과(Forward Radon ... 520
그림 3-2-106. (a) 5-2-3의 (c)결과를 Inverse Radon Transform한 결과, (b) 구조보정 단면과 (a)의 중첩도 521
그림 3-2-107. 반사면 추출 결과의 (a) 3차원 공간에의 도시, (b) 2차원 평면도, (c) 2차원 종단면도 523
그림 3-2-108. (a) x 성분, (b) y 성분, (c) z 성분 자료의 구조보정 결과 525
그림 3-2-109. 삼성 분의 구조보정 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a) XY 평면, (b) XZ 평면 526
그림 3-2-110. (a) 구조보정 결과의 (b) tau-p 도메인의 사상 결과(forward radon transform), (c) (b)에서 부분단면마다 최대진폭의 80% 이하의 자료를 제거한 결과 528
그림 3-2-111. (a) 위 그림의 (c) 결과를 inverse radon transform 한 결과 (b) 구조보정 단면과 (a)의 중첩도 529
그림 3-2-112. 반사면 추출 결과의 (a) 3차원 공간에의 도시, (b) 2차원 평면도, (c) 2차원 종단면도 531
그림 3-2-113. (a) x성분, (b) y 성분, (c) z 성분 자료의 구조보정 결과 532
그림 3-2-114. 삼성 분의 구조보정 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a) XY 평면, (b) XZ 평면 533
그림 3-2-115. (a) 구조보정 결과의 (b) tau-p 도메인의 사상 결과(forward radon transform), (c) (b)에서 부분단면마다 최대 진폭의 80% 이하의 자료를 제거한 결과 535
그림 3-2-116. (a) 위 그림의 (c) 결과를 inverse radon transform 한 결과, (b) 구조보정 단면과 (a)의 중첩도 536
그림 3-2-117. 반사면 추출 결과의 (a) 3차원 공간에의 도시, (b) 2차원 평면도, (c) 2차원 종단면도 538
그림 3-2-118. ST-L, ST-R, ST-B 자료로부터 추출한 반사면 단면도 모두 중첩하여 그린 결과 (a) 2차원 평면도, (b) 2차원 종단면도 539
그림 3-2-119. (a) 3D face mapping 자료의 결과 도시, (b) 지오. 메카 선행연구의 ST-L 자료의 반사면 추출자료, (c) ST-L, (d) ST-R, (e) ST-B 자료의 개발 프로그램 적용 결과 541
그림 3-2-120. 상용프로그램을 통해 도출해낸 결과와 개발 프로그램 결과와의 비교... 543
그림 3-2-121. 수집 데이터 파일 구조 545
그림 3-2-122. Pre-trigger 546
그림 3-2-123. Shot Hole과 Receiver 547
그림 3-2-124. 데이터 파일과 JSON 관계 548
그림 3-2-125. 터널 프로파일 549
그림 3-2-126. 터널 모델 550
그림 3-2-127. 2D 좌표 551
그림 3-2-128. 3D 좌표 552
그림 3-2-129. 카메라 위치 및 투영 553
그림 3-2-130. 직교 카메라 554
그림 3-2-131. 원근 카메라 554
그림 3-2-132. 3D Mesh 555
그림 3-2-133. 큐브의 Mesh 구조 555
그림 3-2-134. 터널 곡선의 구성 556
그림 3-2-135. 원의 교점 556
그림 3-2-136. 터널 곡선 그리기 558
그림 3-2-137. 3D 터널 Mesh 구성 559
그림 3-2-138. Mesh의 수가 적은 경우 560
그림 3-2-139. Mesh의 수가 중간인 경우 560
그림 3-2-140. Mesh의 수가 많은 경우 560
그림 3-2-141. 3D 터널 모형화 결과 561
그림 3-2-142. 3D 터널 모델 561
그림 3-2-143. SEG-Y 포맷 563
그림 3-2-144. Textual File Header 563
그림 3-2-145. File Reel Header 564
그림 3-2-146. SU 파일 구조 567
그림 3-2-147. 필터의 종류 568
그림 3-2-148. 푸리에 변환 574
그림 3-2-149. 푸리에 스펙트럼 574
그림 3-2-150. 프로젝트 생성 578
그림 3-2-151. 데이터 불러오기 579
그림 3-2-152. 터널 프로파일 편집 579
그림 3-2-153. 2D 터널 모델 580
그림 3-2-154. 3D 터널 모델 580
그림 3-2-155. Trace Plot 그래프 581
그림 3-2-156. Offset Calculation 절차 582
그림 3-2-157. Data Setup 절차 582
그림 3-2-158. 터널 기존선 및 확폭터널 단면도 583
그림 3-2-159. 터널 기존선 및 확폭터널 평면도 584
그림 3-2-160. 터널 및가 시설 굴착 요소망 구성 584
그림 3-2-161. 터널 및 지반 요 소망 구성 584
그림 3-2-162. 해석 영역 설정 585
그림 3-2-163. 보강영역 등가탄성계수의 산정 588
그림 3-2-164. 정지상태 토압 589
그림 3-2-165. CIP 벽체 591
그림 3-2-166. 띠장 및 스트럿 591
그림 3-2-167. 본선 터널 숏크리트 요소 592
그림 3-2-168. 확폭터널 숏크리트 요소 592
그림 3-2-169. 3-Arch 터널 숏크리트 요소 592
그림 3-2-170. 3-Arch 터널 H 파일 지보재 593
그림 3-2-171. 단선 터널 숏크리트 및 락볼트 요소 593
그림 3-2-172. CIP와 지반의 분리 거동 모사를 위한 인터페이스 요소 593
그림 3-2-173. 자중 594
그림 3-2-174. 구속조건 594
그림 3-2-175. 강관보강 그라우팅 영역 요소 특성 변경 경계조건 595
그림 3-2-176. 숏크리트 경화 단계 모사를 위한 경계조건 595
그림 3-2-177. 3-arch 터널 숏크리트와 H-pile 지보재 요소 598
그림 3-2-178. Modified Mohr-Coulomb 모델 비선형 파라미터 입력값(CASE 11) 604
그림 3-2-179. CASE 12 해석 단면 간극수압 적용 604
그림 3-2-180. CASE 13 파쇄대를 반영한 해석 단면 605
그림 3-2-181. CASE 1 확폭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변위 611
그림 3-2-182. CASE 2 확폭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변위 611
그림 3-2-183. CASE 3 확폭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변위 611
그림 3-2-184. CASE 1~3 시공단계별 확폭구간 천단변위 612
그림 3-2-185. CASE 1~3 시공단계별 확폭구간 내공변위좌 612
그림 3-2-186. CASE 1~3 시공단계별 확폭구간 내공 변위 후 612
그림 3-2-187. CASE 01 3-arch 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 변위 613
그림 3-2-188. CASE 02 3-arch 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 변위면 613
그림 3-2-189. CASE 03 3-arch 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 변위 613
그림 3-2-190. CASE 1~3 시공단계별 3-Arch 구간 천단변위 614
그림 3-2-191. CASE 1~3 시공단계별 3-Arch 구간 내공변위좌 614
그림 3-2-192. CASE 1~3 시공단계별 3-Arch 구간 내공 변위 후 614
그림 3-2-193. CASE 01 단선 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 변위 615
그림 3-2-194. CASE 02 단선 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 변위 615
그림 3-2-195. CASE 03 단선 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 변위 615
그림 3-2-196. CASE 1~3 시공단계별 단선구간 천단변위 616
그림 3-2-197. CASE 1~3 시공단계별 단선 구간 내공변위좌 616
그림 3-2-198. CASE 1~3 시공단계별 단선 구간 내공 변위 후 616
그림 3-2-199. 궤도 변위 추출 위치 618
그림 3-2-200. 결과 그래프 X축 표기기준 618
그림 3-2-201. CASE 10. K₀=0.5 확폭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 변위 625
그림 3-2-202. CASE 10. K₀=1.0 확폭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 변위 625
그림 3-2-203. CASE 10. K₀=2.0 확폭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 변위 625
그림 3-2-204. 시공단계별 확폭구간 천단변위 626
그림 3-2-205. 시공단계별 확폭구간 내공변위좌 626
그림 3-2-206. 시공단계별 확폭구간 내공변위우 626
그림 3-2-207. CASE 01 3-arch 구간 최대 연직변위 및 내공변위 627
그림 3-2-208. CASE 02 3-arch 구간 최대 연직변위 및 내공변위 627
그림 3-2-209. CASE 03 3-arch 구간 최대 연직변위 및 내공변위 627
그림 3-2-210. 시공단계별 3-Arch 구간 천단변위 628
그림 3-2-211. 시공단계별 3-Arch 구간 내공변위좌 628
그림 3-2-212. 시공단계별 3-Arch 구간 내공변위우 628
그림 3-2-213. CASE 10, K₀=0.5 단선 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변위 629
그림 3-2-214. CASE 10, K₀=1.0 단선 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변위 629
그림 3-2-215. CASE 10, K₀=2.0 단선 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변위 629
그림 3-2-216. 시공단계별 단선 구간 천단변위 630
그림 3-2-217. 시공단계별 단선 구간 내공변위좌 630
그림 3-2-218. 시공단계별 단선 구간 내공변위우 630
그림 3-2-219. CASE 11 MMC 모델 적용 시 확폭구간 천단변위 및 내공변위(K₀=2.0적용) 637
그림 3-2-220. CASE 11 시공단계별 확폭구간 천단변위 637
그림 3-2-221. CASE 11 시공단계별 확폭구간 내공변위 좌 638
그림 3-2-222. CASE 11 시공단계별 확폭구간 내공변위 우 638
그림 3-2-223. CASE 11 MMC 모델 적용 시 3Arch 구간 천단변위 및 내공변위(K₀=2.0적용) 638
그림 3-2-224. CASE 11 시공단계별 3Arch구간 천단변위 639
그림 3-2-225. CASE 11 시공단계별 3Arch구간 내공변위 좌 639
그림 3-2-226. CASE 11 시공단계별 3Arch구간 내공변위 우 639
그림 3-2-227. CASE 11, 단선구간 최대 천단변위 및 내공변위(K₀=2.0 적용) 640
그림 3-2-228. CASE 11 시공단계별 단선구간 천단변위 640
그림 3-2-229. CASE 11 시공단계별 단선구간 내공변위 좌 640
그림 3-2-230. CASE 11 시공단계별 단선구간 내공변위 우 641
그림 3-2-231. CASE 12 지하수위 반영 유무에 따른 3Arch 단면 천단변위 644
그림 3-2-232. CASE 12 지하수위 반영 유무에 따른 3Arch 단면 내공변위 644
그림 3-2-233. CASE 12 시공단계별 3Arch구간 천단변위 644
그림 3-2-234. CASE 12 시공단계별 3Arch구간 내공변위 좌 645
그림 3-2-235. CASE 12 시공단계별 3Arch구간 내공변위 우 645
그림 3-2-236. CASE 13 파쇄대 고려 3Arch 단면 천단변위 648
그림 3-2-237. CASE 13 파쇄대 고려 3Arch 단면 내공변위 648
그림 3-2-238. 시공단계별 3Arch구간 천단변위 648
그림 3-2-239. 시공단계별 3Arch구간 내공변위 좌 649
그림 3-2-240. 시공단계별 3Arch구간 내공변위 우 649
그림 3-2-241. 단계별 연구 절차 655
그림 3-2-242. 연구수행도(Flow Chart) 656
그림 3-2-243. 모듈형 분기기(F12 노스가동 시스템300W, 4종 20패널) 658
그림 3-2-244. 모듈형 분기기 스켈톤(60kg) 659
그림 3-2-245. 모듈형 분기기 스켈톤(60E1) 660
그림 3-2-246. 모듈형 분기기용 체결시스템 661
그림 3-2-247. 시스템300W 체결장치의 높이 조절 방법 662
그림 3-2-248. 시스템300W 체결장치의 궤간 조정 방법 662
그림 3-2-249. 정적 수직 스프링계수 시험 설치 전경 663
그림 3-2-250. 체결력 시험체 설치 전경 663
그림 3-2-251. 노스가동 분기기 포인트 첨단 구조 664
그림 3-2-252. 노스가동크로싱 포인트 전경(콘크리트도상용) 664
그림 3-2-253. 포인트 부 체결장치 단면도 665
그림 3-2-254. 철권장치의 구성품 665
그림 3-2-255. 리드부 전경 666
그림 3-2-256. 노스가동 크로싱부 전경 666
그림 3-2-257. 모듈형 사전제작형 콘크리트패널 구조 667
그림 3-2-258. 기존선 임시개통용 임시 궤광 지지대 설치 전경 667
그림 3-2-259. KRL2012 표준 활하중 672
그림 3-2-260. 하중 개요도 672
그림 3-2-261. 패널 개념도 677
그림 3-2-262. 원심력 개요도 680
그림 3-2-263. 풍하중 개요도 681
그림 3-2-264. 종·횡방향 완충재 설치도 684
그림 3-2-265. 완충재 형상이 684
그림 3-2-266. 완충재 설치 개념도(예) 686
그림 3-2-267. A, C-Type 완충재의 반력 689
그림 3-2-268. 횡방향 하중 비대칭 구조 691
그림 3-2-269. 전단키 설계 개념도 693
그림 3-2-270. 앵커 설치 개요도 694
그림 3-2-271. 하중재하 모델 697
그림 3-2-272. 포인트부 하중 위치별 지지점 반력 698
그림 3-2-274. 크로싱부 하중 위치별 지지점 반력 700
그림 3-2-275. 구조해석 모델링 700
그림 3-2-276. 포인트부 구조해석 종방향 결과 702
그림 3-2-277. 포인트부 구조해석 횡방향 결과 702
그림 3-2-278. 포인트부 패널 종방향 결과 703
그림 3-2-279. 포인트부 패널 횡방향 결과 703
그림 3-2-280. 포인트부 보조도상층 종방향 결과 704
그림 3-2-281. 포인트부 보조도상층 횡방향 결과 704
그림 3-2-282. 리드부 구조해석 종방향 결과 705
그림 3-2-283. 리드부 구조해석 횡방향 결과 705
그림 3-2-284. 리드부 패널 종방향 결과 706
그림 3-2-294. 등가 응력블록 712
그림 3-2-295. 종방향 철근배근 개요도(패널상부) 713
그림 3-2-296. 그 종방향 철근배근 개요도 (패널 하부) 714
그림 3-2-297. 전단키에서의 지점반력 개요도 715
그림 3-2-298. 인장응력 개요도 715
그림 3-2-299. 응력 개요도 717
그림 3-2-300. 응력 개요도 719
그림 3-2-301. 등가 응력블럭 720
그림 3-2-302. 횡방향 철근배근 개요도(패널 상부) 721
그림 3-2-303. 횡방향 철근배근 개요도(패널 하부) 722
그림 3-2-304. 응력 개요도 725
그림 3-2-305. 응력 개요도 727
그림 3-2-306. 허용응력/휨강도비 728
그림 3-2-307. 기존 레일, 침목 및 도 상층 제거(패널 수량/일 산정) 732
그림 3-2-308. 제거된 도 상위에 패널 설치(측량으로 수직, 수평 세팅) 733
그림 3-2-309. 임시체결 장치 및 전단키 앵커볼트 설치 733
그림 3-2-310. 충전재(초속경 몰탈) 주입, 임시개통(서행 30km/h 이하) 734
그림 3-2-311. 패널 설치 완료까지 밀어내기식 반복 작업 시행 734
그림 3-2-312. 임시체결 장치 제거 후 분기기 조립(1일 서행 후 해제) 735
그림 3-2-313. 모듈형 분기기 단계별 시공 절차 736
그림 3-2-314. 노스가동 모듈형 분기기 패널배치도 및 단면도 738
그림 3-2-315. 패널 전용 시공 장비 739
그림 3-2-316. 패널 시공 장비 개량 도식화 739
그림 3-2-317. 패널전용장비 사용조건별 구조검토 및 해석결과 740
그림 3-2-318. 다이아몬드 와이어 소 작업 사진 741
그림 3-2-319. 다이아몬드 휠꼬 작업 사진 741
그림 3-2-320. 작업공정 순서도(현장조립설치) 809
그림 3-2-321. 상판 배열 예시 810
그림 3-2-322. 상판 고정 811
그림 3-2-323. 보슬로 시스템 300W 분해도 811
그림 3-2-324. 시스템 300W(미끄럼 상판, 일반 상판) 811
그림 3-2-325. 분기선로 시공 예시 815
그림 3-2-326. 위치 평면 현황 819
그림 3-2-327. 과천청사역 배선약도 819
그림 3-2-328. 4호선 노선약도 820
그림 3-2-329. 금정역 배선현황 828
그림 3-2-330. 시공흐름도 829
그림 3-2-331. 시공흐름도(현장 다른 이론형) 832
그림 3-2-332. 협소 구간 작업에 따른 장비와 신호수 1대1 배치 및 작업환경을 고려한 75× 이상 공사용 조명 확보 계획 836
그림 3-2-333. 패널 시공 장비 STM 838
그림 3-2-334. 패널 시공 장비 STM 838
그림 3-2-335. 기타 자재반입 및 콘크리트 도상 철거 839
그림 3-2-336. 패널 반입 및 설치 840
그림 3-2-337. 의왕역 북부 검수고 자재 적치장 840
그림 3-2-338. 경합 사항을 고려한 분기기 설치 가능 구간 검토 842
그림 3-2-339. 기존 평면·종단 선형상 대피선 설치조건 843
그림 3-2-340. 분기기 설치구간 기존 궤도시설 간섭사항 검토(시점부터) 843
그림 3-2-341. 분기기 설치구간 기존 궤도시설 간섭사항 검토(종점부) 843
그림 3-2-342. 60 E1F12 노스가동 모듈식 분기기 844
그림 3-2-343. A-TYPE 도상두께 검토 844
그림 3-2-344. C-TYPE 도상두께 검토 845
그림 3-2-345. 침목 최소 피복두께 검토 845
그림 3-2-346. 지하구조물 레이면 고(R.L~E.L) 현황 846
그림 3-2-347. 과천선 선로 중심간격 현황 846
그림 3-2-348. 지하구 간 건축한계 847
그림 3-2-349. 지하구조물 공동구 간섭 847
그림 3-3-1. 폭 넓히기 터널 시험대 확보 요청 공간 851
그림 3-3-2. 시험대 계획 단면 852
그림 3-3-3. 터널 테스트베드 구축 위치 및 갱내 도면 852
그림 3-3-4. 테스트베드 갱내의 통기량 853
그림 3-3-5. 테스트베드 굴착 전경 854
그림 3-3-6. 테스트베드 최종 굴착공간 모습 855
그림 3-3-7. LiDAR를 이용한 테스트베드 최종 굴착단면 855
그림 3-3-8. LiDAR를 이용한 테스트베드 최종 굴착 단면 856
그림 3-3-9. 삼양리소스(주) 광산 안 전교정 857
그림 3-3-10. 삼양리소스 구호대 편성표 858
그림 3-3-11. 안전계원 관리 감독 현장 858
그림 3-3-12. 사용된 락볼트 시스템의 형상 및 사용된 재료 859
그림 3-3-13. 락볼트 시공 모습 859
그림 3-3-14. 숏크리트 보강 단면 860
그림 3-3-15. 숏크리트 보강 전경 860
그림 3-3-16. 기존선 터널 단면계획 861
그림 3-3-17. 라이닝 콘크리트 시공단계 862
그림 3-3-18. 최종 설치된 라이닝 콘크리트 단면 862
그림 3-3-19. LiDAR에 의해 측정된 터널 단면 862
그림 3-3-20. GPR 탐사 측선도 863
그림 3-3-21. GPR 탐사 모습 864
그림 3-3-22. GPR 탐사 모식도 865
그림 3-3-23. GPR 단면예시(좌:위글 표시, 우:색상표시) 865
그림 3-3-24. 라이닝 두께의 도식화 867
그림 3-3-25. 과업 위치도 871
그림 3-3-26. Side TSP 탐사 측선 모식도 872
그림 3-3-27. TSP 탐사 원리 874
그림 3-3-28. P파 및 S파의 입자 운동 875
그림 3-3-29. 탄성파의 에너지 감쇠 876
그림 3-3-30. 탄성파의 위상 변화 876
그림 3-3-31. 수신공 위치 정보 측정 879
그림 3-3-32. 수신공 설치 880
그림 3-3-33. 현장 자료 획득 880
그림 3-3-34. 자료처리 순서도 881
그림 3-3-35. 터널 모형화 881
그림 3-3-36. 직접파 경로 산출 882
그림 3-3-37. 공기파(air wave) 제거 882
그림 3-3-38. 초동발췌 883
그림 3-3-39. 3D 속도 분석 883
그림 3-3-40. 3D 구조보정 884
그림 3-3-41. 터널 모형화 887
그림 3-3-42. 주파수 필터 888
그림 3-3-43. 대역통과 필터 888
그림 3-3-44. 초동 발췌(ST-L 측선) 889
그림 3-3-45. P파 속도 분석(ST-L 측선) 889
그림 3-3-46. 3D 구조보정(ST-L 측선) 890
그림 3-3-47. 반사면 추출(ST-L 측선) 890
그림 3-3-48. 송신지점 차이에 대한 탐사 결과 비교구간 891
그림 3-3-49. 터널 천단부 P파 속도 분포 892
그림 3-3-50. 터널 우측부 P파 속도 분포 892
그림 3-3-51. 터널 천단부 S파 속도 분포 893
그림 3-3-52. 터널 우측부 S파 속도 분포 893
그림 3-3-53. 터널 천단부 영률 분포 894
그림 3-3-54. 터널 우측부 영률 분포 894
그림 3-3-55. 불연속면 분포(2D) 896
그림 3-3-56. 불연속면 분포(3D) 897
그림 3-3-57. 3D Face mapping 위치도 898
그림 3-3-58. 입체 사진의 원리(Stereoscopic Principle, after Gaich, 2006) 901
그림 3-3-59. 입체 사진 촬영 방법 902
그림 3-3-60. 3D 사진 정합 과정 902
그림 3-3-61. 3D 절리 분포도 작성 904
그림 3-3-62. 슈미트해머를 이용한 강도 측정 및 암석의 일축압축강도와의 관계 905
그림 3-3-63. 사진 촬영 방법 907
그림 3-3-64. 촬영 조명의 조도 선정 907
그림 3-3-65. 터널 전개도 911
그림 3-3-66. 구간별 터널 전개도(1) 912
그림 3-3-67. 구간별 터널 전개도(2) 913
그림 3-3-68. 절리면 분석 흐름도 914
그림 3-3-69. 절리 연장성 분석 시 고려사항 915
그림 3-3-70. 절리 연장성 분석(예시) 915
그림 3-3-71. 절리 연장성 분석 916
그림 3-3-72. 3D 절리 분포도(평면도) 918
그림 3-3-73. 3D 절리 분포도(좌, 우측면도) 및 절리 전개도 919
그림 3-3-74. 불연속면 분석 결과 비교 920
그림 3-3-75. 분기부 단면 및 천공 현황 921
그림 3-3-76. 분기부 암반 파쇄 전경 922
그림 3-3-77. 확폭부 단면 현황 923
그림 3-3-78. 확폭부 단면 천공 현황 923
그림 3-3-79. 확폭부 파쇄 현황(균열유도, 파쇄 완료, 브레커 작업 후 단면) 924
그림 3-3-80. 현장 여건 및 시험용 프로텍터 일반도 925
그림 3-3-81. 시험용 프로텍터 측면도 925
그림 3-3-82. 시험용 프로텍터 횡단면도 926
그림 3-3-83. 프로텍터 평면도 927
그림 3-3-84. 프로텍터 종단면도 927
그림 3-3-85. 고정식 시스템도 928
그림 3-3-86. 전차선지지 구조 횡단면도 928
그림 3-3-87. 터널 프로텍터 설계도 1002
그림 3-3-88. 프로텍터 제작 및 화폭 터널 테스트베드 현장 설치공사(자재 가공) 1004
그림 3-3-89. 프로텍터 제작 및 화폭 터널 테스트베드 현장 설치공사(자재 가공) 1004
그림 3-3-90. 프로텍터 제작 및 화폭 터널 테스트베드 현장 설치공사(자재 가공) 1005
그림 3-3-91. 프로텍터 제작 및 화폭 터널 테스트베드 현장 설치공사(자재 가공) 1005
그림 3-3-92. 프로텍터 제작 및 화폭 터널 테스트베드 현장 설치공사(자재 가공) 1006
그림 3-3-93. 프로텍터 제작 및 화폭 터널 테스트베드 현장 설치공사(자재 가공) 1006
그림 3-3-94. 프로텍터 제작 및 화폭 터널 테스트베드 현장 설치공사(자재 가공) 1007
그림 3-3-95. 수직, 수평 로드셀 1008
그림 3-3-96. 변형률 게이지 1008
그림 3-3-97. LVDT, 가속도 센서 1009
그림 3-3-98. 데이터 로거 1009
그림 3-3-99. 초고속 카메라 1010
그림 3-3-100. 전차선 변위계 설치 위치 1015
그림 3-3-101. 전차선 변위계 설치 1016
그림 3-3-102. 프로텍터 센서 설치 단면 선정 1017
그림 3-3-103. 로드셀 설치 위치 1018
그림 3-3-104. 수직, 수평 로드셀 설치 방법 1018
그림 3-3-105. 수직, 수평 로드셀 설치 1019
그림 3-3-106. 프로텍터 변형률계 설치 위치 1020
그림 3-3-107. 변형률 게이지 설치 위치 1021
그림 3-3-108. 변형률 게이지 설치 1022
그림 3-3-109. 변형률 게이지 설치(계속) 1023
그림 3-3-110. 변위 센서나 가속도계 설치 1024
그림 3-3-111. 변위 센서 및 가속도계 설치(계속) 1025
그림 3-3-112. 변위 센서나 가속도계 설치(계속) 1026
그림 3-3-113. 전차선 이설 변위 그래프 1033
그림 3-3-114. 전차선 이설 변위 그래프(계속) 1034
그림 3-3-115. 할암 확폭 변위 그래프 1036
그림 3-3-116. 할암 확폭 하중 그래프 1037
그림 3-3-117. 할암 확폭 가속도 그래프 1038
그림 3-3-118. 할암 확폭 변형률 그래프 1041
그림 3-3-119. 할암 확폭 변형률 그래프(계속) 1042
그림 3-3-120. 라이닝 측면 제거 변위 그래프 1045
그림 3-3-121. 라이닝 측면 제거 하중 그래프 1046
그림 3-3-122. 라이닝 측면 제거 가속도 그래프 1047
그림 3-3-123. 라이닝 측면 제거 변형률 그래프 1050
그림 3-3-124. 라이닝 천단부 제거 변위 그래프 1052
그림 3-3-125. 라이닝 천단부 제거 하중 그래프 1053
그림 3-3-126. 라이닝 천단부 제거 가속도 그래프 1054
그림 3-3-127. 라이닝 천단부 제거 변형률 그래프 1057
그림 3-3-128. 라이닝 천단부 제거 변형률 그래프(계속) 1058
그림 3-3-129. 프로텍터 상부 낙석 제거 변위 그래프 1061
그림 3-3-130. 프로텍터 상부 낙석 제거 하중 그래프 1063
그림 3-3-131. 프로텍터 상부 낙석 제거 가속도 그래프 1064
그림 3-3-132. 프로텍터 상부 낙석 제거 변형률 그래프 1067
그림 3-3-133. 초고속 카메라 대상 설치 위치 1072
그림 3-3-134. 라이닝 측면 제거 전·후 1073
그림 3-3-135. 대상 Position 1073
그림 3-3-136. 대상 Position(계속) 1074
그림 3-3-137. 라이닝 천단부 제거 전·후 1075
그림 3-3-138. 대상 Position 1075
그림 3-3-139. 대상 Position(계속) 1076
그림 3-3-140. Effective plastic strain versus yield stress 1079
그림 3-3-141. 수평재, 수직재(H beam) 모델링 1080
그림 3-3-142. 플레이트 합성 후 모델링 1080
그림 3-3-143. 충돌 추 모델링 1081
그림 3-3-144. 프로텍터 및 충돌 추 모형화 1082
그림 3-3-145. 경계 조건 모형화 1083
그림 3-3-146. 시간에 따른 각 위치별 변위량 변화 1085
그림 3-3-147. 시간에 따른 플레이트의 응력 변화 1086
그림 3-3-148. 충돌하중에 따른 프로텍터 상부의 응력분포 1087
그림 3-3-149. 충돌하중에 따른 프로텍터 상부의 응력분포(충돌 추 제거) 1088
그림 3-3-150. 충돌하중에 따른 프로텍터 하부의 응력분포 1089
그림 3-3-151. 충돌하중에 따른 프로텍터 상부 플레이트 제거 후 응력분포 1090
그림 3-3-152. 시간에 따른 하부 로드셀 위치의 응력 변화 1091
그림 3-3-153. 터널 계측 예시 1094
그림 3-3-154. 천단침하에 측정 1095
그림 3-3-155. 내공 변위계 설치 1097
그림 3-3-156. 숏크리트 응력계 설치 1098
그림 3-3-157. 락볼트 설치 1099
그림 3-3-158. 콘크리트 라이닝 응력계 설치 1100
그림 3-3-159. 계측기 계획 평면도 1116
그림 3-3-160. 계측기 시공 평면도 1117
그림 3-3-161. 계측기 시공 단면도(시공 상세도) 1118
그림 3-3-162. 락볼트 센서 부착 1119
그림 3-3-163. 테스트베드 락볼트 축력계 설치 1121
그림 3-3-164. 지중응력계 설치 1122
그림 3-3-165. 테스트베드 지중응력계 설치 1122
그림 3-3-166. 라이닝 응력계 설치 1123
그림 3-3-167. 라이닝 변형률계 설치 1124
그림 3-3-168. 라이닝 응력 및 변형률계 설치 1126
그림 3-3-169. 자동화 계측 시스템 설치 1127
그림 3-3-170. 프로텍터 변위, 가속도계, 하중 측정 위치 1140
그림 3-3-171. 프로텍터 변형률 측정 위치 1141
그림 3-3-172. 초고속 카메라 측정을 위한 대상 설치 위치 1142
그림 3-3-173. 프로텍터 센서 설치 단면 선정 1144
그림 3-3-174. 로드셀 설치 위치 1145
그림 3-3-175. 수직, 수평 로드셀 고정 형식 1145
그림 3-3-176. 로드셀 설치 형상 1146
그림 3-3-177. 변위계 설치 단면 1146
그림 3-3-178. 변위계 설치 형상 1146
그림 3-3-179. 가속도계 설치 단면(C 단면) 및 형상 1147
그림 3-3-180. 변형률 게이지 부착 1147
그림 3-3-181. 설치된 계측현장 및 데이터 획득 작업 전경 1149
그림 3-3-182. 터널 확폭에 의해 제거되는 라이닝 두께(206cm) 1152
그림 3-3-183. 라이닝 어깨부 제거에 의한 프로텍터의 시간 이력 변위 곡선 1153
그림 3-3-184. 라이닝 어깨부 제거에 의한 프로텍터에 가해지는 하중 이력 곡선 1154
그림 3-3-185. 라이닝 어깨부 제거에 의한 프로텍터의 3축 가속도 거동 1155
그림 3-3-186. 라이닝 어깨부 제거에 의한 프로텍터의 변형률 거동 1156
그림 3-3-187. 프로텍터 상부 낙석 제거에 대한 동적 거동 분석 1156
그림 3-3-188. 프로텍터 상부 낙석 제거 변위 그래프 1158
그림 3-3-189. 라이닝 낙석 제거에 의한 프로텍터에 가해지는 하중 이력 곡선 1160
그림 3-3-190. 라이닝 낙석 제거에 의한 프로텍터의 3축 가속도 거동 1160
그림 3-3-191. 라이닝 낙석 제거에 의한 프로텍터의 변형률 거동 1162
그림 3-3-192. 초고속 카메라 타겟 설치 위치 1163
그림 3-3-193. 라이닝 측면 제거 전·후 1164
그림 3-3-194. 초고속 카메라로 계측한 대상 이동 거리 및 속도(라이닝 측면) 1164
그림 3-3-195. 라이닝 천단부 제거 전·후 1165
그림 3-3-196. 초고속 카메라로 계측한 대상 이동 거리 및 속도(라이닝 어깨부) 1165
그림 3-3-197. 터널 굴착 계획 평면도 1168
그림 3-3-198. E-E단면 굴착계획 1168
그림 3-3-199. 수치해석의 종류 1169
그림 3-3-200. midas GS에 의한 해석 순서도 1172
그림 3-3-201. Shell 요소의 좌표계 1174
그림 3-3-202. 연결된 Truss 요소의 불안정 구조 1175
그림 3-3-203. 해석영역 설정 1176
그림 3-3-204. 전체 해석모델 요 소망 구성 1178
그림 3-3-205. 터널 굴착영역 요 소망 구성 1178
그림 3-3-206. 본선 및 확폭구간 숏크리트 1180
그림 3-3-207. 연결부 숏크리트 1180
그림 3-3-208. 라이닝 구조 요소 1181
그림 3-3-209. 본선 및 연결부 락볼트 배치 1181
그림 3-3-210. 확폭구간 분할 굴착 요소 세트 1182
그림 3-3-211. 그자중 및 상재하중 1182
그림 3-3-212. 지반 구속조건 1183
그림 3-3-213. 천단 변위 내공 변위 검토 위치 1183
그림 3-3-214. 터널 연직변위 결과(K₀=2.0) 1188
그림 3-3-215. 시공단계별 본선 구간 천단 변위 1188
그림 3-3-216. 시공단계별 연결부 천단 변위 1188
그림 3-3-217. 본선 구간 내공변위 결과(K₀=2.0) 1190
그림 3-3-218. 시공단계별 본선 구간 내공 변위(좌측) 1190
그림 3-3-219. 시공단계별 본선 구간 내공 변위(우측) 1190
그림 3-3-220. 연결부 내공 변위 결과(K₀=2.0) 1192
그림 3-3-221. 시공단계별 연 결부구간 내공 변위(좌측) 1192
그림 3-3-222. 시공단계별 연 결부구간 내공 변위(우측) 1192
그림 3-3-223. 전 구간 최대 연직변위(K₀=0.5 ~ 2.0) 1194
그림 3-3-224. 시공단계별 전 구간 최대 연직변위(K₀=0.5 ~ 2.0) 1194
그림 3-3-225. 전 구간 최대 수평 변위 1196
그림 3-3-226. 시공단계별 터널 진행 방향 최대 수평변위(K₀=0.5 ~ 2.0) 1197
그림 3-3-227. 시공단계별 터널 진행 직각 방향 최대 수평변위(K₀=0.5 ~ 2.0) 1197
그림 3-3-228. 최종단계 락볼트 축력(K₀=2.0) 1199
그림 3-3-229. 시공단계별 락볼트 축력(K₀=0.5 ~ 2.0) 1199
그림 3-3-230. 시공단계별 락볼트 축력(K₀=0.5 ~ 2.0) 1199
그림 3-3-231. K₀ 조건 별 최종단계 숏크리트 응력 1200
그림 3-3-232. 시공단계별 숏크리트 응력(K₀=0.5 ~ 2.0) 1201
그림 3-3-233. 시공단계별 숏크리트 응력(K₀=0.5 ~ 2.0) 1201
그림 3-3-234. 1등급 암 지반 최대 연직변위 1203
그림 3-3-235. 2등급 암 지반 최대 연직변위 1204
그림 3-3-236. 3등급 암 지반 최대 연직변위 1204
그림 3-3-237. 4등급 암 지반 최대 연직변위 1205
그림 3-3-238. 1등급 암 지반 최대 연직변위 1206
그림 3-3-239. 2등급 암 지반 최대 연직변위 1206
그림 3-3-240. 3등급 암 지반 최대 연직변위 1207
그림 3-3-241. 4등급 암 지반 최대 연직변위 1207
그림 3-3-242. 최종단계 락볼트 축력(K₀=2.0) 1208
그림 3-3-243. 1등급 암 지반 최대 연직변위 1209
그림 3-3-244. 2등급 암 지반 최대 연직변위 1209
그림 3-3-245. 3등급 암 지반 최대 연직변위 1210
그림 3-3-246. 1등급 암 숏크리트 응력 1211
그림 3-3-247. 2등급 암 숏크리트 응력 1212
그림 3-3-248. 3등급 암 숏크리트 응력 1212
그림 3-4-1. 감속기 외형 구조 1218
그림 3-4-2. 감속기 내부 구조 1219
그림 3-4-3. 모터의 특성 곡선 1222
그림 3-4-4. 감속기 토크 및 하중조건 1222
그림 3-4-5. 케이스와 행거의 유한요소 모델 1224
그림 3-4-6. 케이스(GCD400)과 행거(SCM440)의 S-N Curve 1226
그림 3-4-7. 기어케이스 피로 평가 결과(Goodman 선도) 1227
그림 3-4-8. 행거 피로 평가 결과(Goodman 선도) 1227
그림 3-4-9. 감속기 내부 유동 해석 모형화의 경계 조건 1229
그림 3-4-10. 감속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때 온도 상승 1229
그림 3-4-11. 감속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때 온도 상승 1230
그림 3-4-12. 감속기 회전 방향에 따른 해석 결과(붉은색: 윤활유) 1230
그림 3-4-13. 감속기 회전 방향에 따른 해석 결과(붉은색: 윤활유) 1231
그림 3-4-14. 기어 치형 제작 Process 1231
그림 3-4-15. 기어 치형 제작 Process 1232
그림 3-4-16. Wheel Gear 치형 제작도면 1232
그림 3-4-17. Pinion Gear 치형 제작도면 1233
그림 3-4-18. 감속기 무부하시험 장치 구성도 1234
그림 3-4-19. 감속기 무부하시험 장치 설치도 1234
그림 3-4-20. 감속기 무부하시험 Program 1235
그림 3-4-21. 감속기 무부하 시험(4500rpm, 110 km/h) 온도변화 추이 1235
그림 3-4-22. 감속기 무부하 시험(4910rpm, 120 km/h) 온도변화 추이 1236
그림 3-4-23. 감속기 백래쉬시험 1236
그림 3-4-24. 감속기 부하시험 개요도 1237
그림 3-4-25. [제목없음][그림없음] 1237
그림 3-4-26. 감속기 부하시험 설치도 1238
그림 3-4-27. 시계방향 부하 시험시 온도추이(최고 온도 150℃ 이하 확인) 1239
그림 3-4-28. 반시계 방향 부하시험시 온도 추이(최고 온도 150℃ 이하 확인) 1239
그림 3-4-29. 소음시험을 위한 시험체 Setup 1240
그림 3-4-30. 분해검사 과정 1241
그림 3-4-31. TCMS 시스템 구성 블록도 1242
그림 3-4-32. TCMS 데이터 분석 흐름도 1243
그림 3-4-33. 운행 파일과 알람 파일을 합하여 CSV 파일 생성 1243
그림 3-4-34. 상관관계 분석 결과 사례 1244
그림 3-4-35. TCMS 데이터 분석을 위한 메타프레임워크 구조 1245
그림 3-4-36. TCMS 데이터 처리 순서 1245
그림 3-4-37. 잔존수명 산정 방법 1246
그림 5-1-1. 도시·광역철도 통행 열차 이용자 행태 시각화 1276
그림 5-1-2. 도시·광역철도 통행 열차 오전첨두 이용자 행태 시각화 1277
그림 5-1-3. 도시·광역철도 통행 열차 오후첨두 이용자 행태 시각화 1277
그림 5-1-4. 6호선 급행화 전략별 노선도 1278
그림 5-1-5. 8호선 급행화 전략별 노선도 127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