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PART I. 집단상담의 개관

1장 집단상담의 이해 10
1. 집단의 이해 10
2. 집단상담의 필요성 19
3. 집단상담자의 역할 21
4. 집단상담의 분류 25
5. 집단상담의 과정 31

2장 집단상담 기법 38
1. 집단상담 기법의 필요성 39
2. 집단상담 기법의 유형 41
3. 집단상담 기법 42
4. 집단원의 문제행동을 다루기 위한 기법 62
5. 집단상담 평가 65

PART II. 집단상담의 이론

3장 정신분석적 집단상담 72
1. 정신분석의 개념 74
2. 정신분석의 특성 83
3. 정신분석의 주요기법 87
4. 정신분석의 상담과정 91
5. 정신분석의 평가 94

4장 인간중심적 집단상담 97
1. 인간중심의 개념 97
2. 인간중심의 특성 104
3. 인간중심의 기본기법 110
4. 인간중심의 상담과정 115
5. 인간중심의 평가 120

5장 게슈탈트 집단상담 124
1. 게슈탈트의 개념 124
2. 게슈탈트의 특성 137
3. 게슈탈트의 기본기법 144
4. 게슈탈트의 상담과정 152
5. 게슈탈트의 평가 154

6장 교류분석 집단상담 156
1. 교류분석의 개념 156
2. 교류분석의 특성 164
3. 교류분석의 기본기법 166
4. 교류분석의 상담과정 169
5. 교류분석의 평가 172

7장 행동주의 집단상담 174
1. 행동주의의 개념 174
2. 행동주의의 특성 187
3. 행동주의의 기본기법 188
4. 행동주의의 상담과정 195
5. 행동주의의 평가 199

8장 인지주의 집단상담 202
1. 인지주의의 개념 202
2. 인지주의의 특성 206
3. 인지주의의 기본기법 216
4. 인지주의의 상담과정 222
5. 인지주의의 평가 225

P A R T III . 집단상담의 실제

9장 아동 집단상담 230
1. 아동 집단상담에 대한 이해 230
2. 아동 집단상담의 필요성 231
3. 아동 상담의 유형 234
4. 아동 집단상담의 기법 238
5. 아동 집단상담의 실제 243

10장 청소년 집단상담 255
1. 청소년 집단상담에 대한 이해 255
2. 청소년 집단상담의 필요성 258
3. 청소년 상담의 유형 259
4. 청소년 집단상담의 기법 263
5. 청소년 집단상담의 실제 272

11장 대학생 집단상담 282
1. 대학생 집단상담에 대한 이해 282
2. 대학생 집단상담의 필요성 289
3. 대학생 상담의 유형 291
4. 대학생 집단상담의 기법 296
5. 대학생 집단상담의 실제 302

12장 노인 집단상담 309
1. 노인 집단상담에 대한 이해 309
2. 노인 집단상담의 필요성 312
3. 노인 집단상담의 유형 314
4. 노인 집단상담의 기법 316
5. 노인 집단상담의 실제 321

13장 중독 집단상담 329
1.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329
2. 약물 중독 334
3. 알코올 중독 339
4. 도박 중독 346
5. 담배(니코틴) 중독 349
6. 중독 집단상담의 실제 353

참고문헌 362

이용현황보기

집단상담 = Group counseling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70816 158.35 -24-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70817 158.35 -24-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머리말

-집단상담은 개인상담과는 달리 여러 명의 내담자가 함께 상담을 받는 상담의 한 형태이다. 집단상담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 더욱 각광받고 있는 상담의 한 방법이다.
집단상담에서는 인간의 사회적 본성을 고려한 상담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성장하고 발달한다. 집단상담은 이러한 인간의 사회적 본성을 고려하여 상담을 진행하기 때문에 내담자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집단상담은 한 번의 상담으로 여러 명의 내담자를 상담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가진 내담자들이 함께 상담을 받기 때문에 다양한 관점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 이는 내담자의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해결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 책은 집단상담의 개념, 원리, 기법, 실제 등을 다룬 집단상담에 관한 기본서 이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집단상담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집단상담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다음과 같은 독자들을 위해 쓰여졌다.
집단상담을 공부하는 학생, 상담사, 임상심리사, 집단상담을 시작하고 싶은 사람, 집단상담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싶은 사람이며,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집단상담의 이해, 2장 집단상담 기법, 3장 정신분석적 집단상담, 4장 인간 중심적 집단상담, 5장 게슈탈트 집단상담, 6장 교류분석 집단상담, 7장 행동주의 집단상담, 8장 인지주의 집단상담, 9장 아동 집단상담, 10장 청소년 집단상담, 11장 대학생 집단상담, 12장 노인 집단상담, 13장 중독 집단상담으로 이루어져 있다.
집단상담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지침을 제시하였으며, 이 책이 독자들에게 집단상담에 대한 이해와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집단상담은 내담자의 변화를 촉진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가지고 있다.
공감과 수용: 내담자들이 서로의 공감과 수용을 경험할 수 있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안전하게 표현하고,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다.
지지와 연대: 내담자들이 서로의 지지와 연대를 경험할 수 있다. 이는 내담자가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느끼고,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학습과 성장: 내담자들이 서로의 경험을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얻고, 자신의 삶을 보다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집단상담의 미래는 인간의 사회적 본성을 고려한 치유의 장으로서, 앞으로도 더욱 발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집단상담은 개인상담과는 다른 차원의 변화와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