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제출문 2

목차 3

요약문 11

제1장 연구 배경 13

제2장 미국 해양대기청(NOAA) 17

2.1. 기상청(National Weather Service, NWS) 23

2.2. 해양대기연구소(Oceanic and Atmospheric Research, OAR) 35

2.3. 환경위성데이터정보국(N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 Data, and Information Service, NESDIS) 40

2.4. 해양청(National Ocean Service, NOS) 46

2.5. 해양항공관리청(Office of Marine and Aviation Operations, OMAO) 51

2.6. 해양수산청(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NMFS) 56

제3장 미국 행정부 및 독립기관 60

3.1.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60

3.2. 대기과학연구대학협의체(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UCAR) 73

3.3. 국립대기연구센터(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NCAR) 79

3.4. 미국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86

3.5. 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 NASA) 100

3.6. 연방재난관리청(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113

3.7.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121

3.8.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126

3.9. 농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135

3.10.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 DoD) 145

3.10.1. 공군(Department of Air Force) 146

3.10.2. 해군(Department of Navy) 152

제4장 미국 주 정부의 기상 관련 예산 159

4.1. 오클라호마주(State of Oklahoma) 162

4.2. 미주리주(State of Missouri) 167

4.3. 인디애나주(State of Indiana) 169

4.4. 미시시피주(State of Mississippi) 171

4.5. 하와이주(State of Hawaii) 175

4.6. 뉴욕주(The State of New York) 181

4.7. 사우스캐롤라이나주(The State of South Carolina) 185

4.8. 플로리다주(State of Florida) 188

4.9. 애리조나주(State of Arizona) 192

4.10. 캘리포니아주(State of California) 196

제5장 미 기상청(NWS)의 근거 법률과 위상 201

5.1. NWS 근거 법률 201

5.2. 미 기상청(NWS)의 위상 및 역할 변화 203

5.3. 정부 부처 간 정책조율 메커니즘 211

5.4. 연방정부 주도의 민관학 대응체제 217

제6장 미국 기상관련 예산과 우리나라 기상청 예산 비교 227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43

7.1. 예산 비교분석 결론 243

7.2. 정책적 제언 245

표목차 5

〈표 1-1〉 우리나라 정부 부처별 연도별 예산 14

〈표 1-2〉 최근 10년간 정부 및 기상청 예산 변화 14

〈표 2-1〉 NOAA 전체 예산 21

〈표 2-2〉 NOAA 산하기관별 예산 22

〈표 2-3〉 NWS 프로그램별 예산 29

〈표 2-4〉 OAR 프로그램별 예산 39

〈표 2-5〉 NESDIS 프로그램별 예산 45

〈표 2-6〉 NOS 프로그램별 예산 50

〈표 2-7〉 OMAO 프로그램별 예산 55

〈표 2-8〉 NMFS 프로그램별 예산 58

〈표 3-1〉 전체 연방 예산 중 NSF 분야별 기초연구 비중 61

〈표 3-2〉 NSF의 8개 실행조직(Directorates) 63

〈표 3-3〉 NSF의 전체 예산 추이 69

〈표 3-4〉 NSF의 USGCRP 지원 현황 70

〈표 3-5〉 GEO 세부프로그램 예산 71

〈표 3-6〉 AGS 등 세부프로그램 예산 72

〈표 3-7〉 UCAR의 외부 자금지원 현황 77

〈표 3-8〉 UCAR의 지출 현황 78

〈표 3-9〉 UCAR의 본부 및 커뮤니티 프로그램(UCP) 인력 현황 78

〈표 3-10〉 NSF의 AGS 및 NCAR 예산 84

〈표 3-11〉 NCAR의 2021년 회계연도 자금조달(펀딩) 현황 85

〈표 3-12〉 USGS 전체예산 및 인력 현황 및 추이 90

〈표 3-13〉 내무부 전체예산 및 USGS 예산의 비중 추이 90

〈표 3-14〉 USGS 에코시스템 프로그램 예산 92

〈표 3-15〉 USGS 에너지 및 광물자원 프로그램 예산 93

〈표 3-16〉 USGS 자연재해 프로그램 예산 95

〈표 3-17〉 USGS 수자원 프로그램별 예산 96

〈표 3-18〉 USGS 핵심과학시스템 프로그램별 예산 98

〈표 3-19〉 USGS 과학지원, 설비 및 고정비용 기타 프로그램별 예산 99

〈표 3-20〉 NASA 예산 현황 105

〈표 3-21〉 NASA의 주요사업별 예산 106

〈표 3-22〉 NASA의 주요사업별 인력 107

〈표 3-23〉 지구과학 세부프로그램 예산 108

〈표 3-24〉 국토안보부 예산 현황 및 FEMA 예산의 비중 추이 116

〈표 3-25〉 FEMA 예산 및 인력의 현황 및 추이 117

〈표 3-26〉 FEMA 세부 프로그램 예산 119

〈표 3-27〉 EPA의 세부프로그램 예산 123

〈표 3-28〉 과학 및 기술 세부프로그램 예산 124

〈표 3-29〉 환경프로그램관리 세부 프로그램별 예산 125

〈표 3-30〉 FAA의 예산 127

〈표 3-31〉 FAA의 예산 및 인력 현황 128

〈표 3-32〉 FAA의 운영 세부프로그램 예산 129

〈표 3-33〉 FAA의 시설 및 장비 세부프로그램 예산 130

〈표 3-34〉 FAA의 연구, 엔지니어링 및 개발 세부프로그램 예산 134

〈표 3-35〉 USDA 예산의 현황 및 추이 138

〈표 3-36〉 USDA 프로그램별 예산 140

〈표 3-37〉 USDA예산 기후자금할당 143

〈표 3-38〉 연도별 기상/기후 관련 주요 예산 집행 내역 143

〈표 3-39〉 미 국방부(DoD) 예산의 배분 현황 145

〈표 3-40〉 국방부(DoD)의 기상서비스 관련 예산 145

〈표 3-41〉 미 공군의 예산 149

〈표 3-42〉 미 해군의 기상·해양 분야(NMOC) 관련 예산 154

〈표 3-43〉 미 해군의 기상 관련 예산(추정) 154

〈표 3-44〉 미 해군의 기상·해양 분야(NMOC) 관련 인력 154

〈표 4-1〉 미국의 지리적 권역 구분 160

〈표 4-2〉 USGCRP, USGS, NCEI의 권역 구분 161

〈표 4-3〉 오클라호마주 정부 프로그램별 예산 164

〈표 4-4〉 오클라호마 주정부의 노먼 캠퍼스(대기과학 관련) 지원 예산 166

〈표 4-4〉 미주리주 정부 프로그램별 예산 168

〈표 4-5〉 인디애나주 정부 프로그램별 예산 170

〈표 4-6〉 미시시피주 정부 프로그램별 예산 172

〈표 4-7〉 재난대응/치안/방위 예산 173

〈표 4-8〉 하와이주 정부의 예산 추이 177

〈표 4-9〉 토지·천연자원부(LNR)의 예산 추이 178

〈표 4-10〉 뉴욕주 정부 프로그램별 예산 182

〈표 4-11〉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정부 예산 및 인력의 현황 및 추이 186

〈표 4-12〉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정부 프로그램별 예산 186

〈표 4-13〉 플로리다 주정부 프로그램별 예산 190

〈표 4-14〉 애리조나주 정부 기관별 예산 194

〈표 4-15〉 캘리포니아주 정부 프로그램별 예산 198

〈표 4-16〉 '21년 기후 아젠다 발전 세부 프로그램별 예산 199

〈표 4-17〉 '22년 기후 아젠다 발전 세부 프로그램별 예산 200

〈표 4-18〉 '23년 기후 아젠다 발전 세부 프로그램별 예산 200

〈표 5-1〉 MAR 관련 예산과 일정 204

〈표 5-2〉 ICAMS의 거버넌스 213

〈표 5-3〉 ICAMS에 보고된 기관별 대기 서비스 관련 예산 213

〈표 5-4〉 USGCRP 예산 215

〈표 5-5〉 USGCRP의 부처 간 워킹그룹 215

〈표 5-6〉 28개 지역의 메소넷 현황 220

〈표 5-7〉 12개 CAP/RISA의 지역 범위 및 연구 분야 224

〈표 6-1〉 미국 NOAA 산하 6개 기관의 예산과 KMA 예산 비교 228

〈표 6-2〉 단위사업별 매핑 230

〈표 6-3〉 KMA 예산 구조와 미국 기상/기후 관련 예산 세부 비교 236

〈표 6-4〉 KMA 예산 구조와 미국 기상/기후 관련 예산 주요 프로그램 비교 239

〈표 7-1〉 국민 1인당 기상 관련 예산 비교 244

〈표 7-2〉 미국의 기후-대비 국가 실현을 위한 기상/기후 관련 예산 246

그림목차 9

〈그림 1-1〉 우리나라 기상청 업무와 미국 해양대기청의 부서별 업무 관계 15

〈그림 2-1〉 NOAA 조직도 20

〈그림 2-2〉 WRN 로드맵의 주요 개념 23

〈그림 2-3〉 NWS 조직도 25

〈그림 2-4〉 OAR 조직도 35

〈그림 2-5〉 NESDIS 위성관측시스템 아키텍처 40

〈그림 2-6〉 NESDIS 조직도 42

〈그림 2-7〉 PAC 하위활동 예산 44

〈그림 2-8〉 NOS 조직도 47

〈그림 2-9〉 OMAO 조직도 53

〈그림 2-10〉 NMFS 조직도 56

〈그림 3-1〉 NSF 조직도 63

〈그림 3-2〉 UCAR 조직체계 74

〈그림 3-4〉 COSMIC 프로그램 76

〈그림 3-5〉 NCAR 조직도 81

〈그림 3-6〉 USGS 조직도 87

〈그림 3-7〉 NASA 조직도 101

〈그림 3-8〉 NASA 센터 및 시설 105

〈그림 3-9〉 FEMA 조직도 115

〈그림 3-10〉 EPA 조직도 라인부서 122

〈그림 3-11〉 FAA 조직도 127

〈그림 3-12〉 USDA 조직도 136

〈그림 3-13〉 ONR의 조직도 156

〈그림 3-14〉 미 해군연구소 조직도 157

〈그림 3-15〉 미 해군 해양기상연구부(NRL-MRY) 조직도 158

〈그림 5-1〉 ICAMS 조직도 212

〈그림 5-2〉 미국의 NMP 도입 현황 220

〈그림 5-3〉 CAP/RISA 프로그램 현황 224

이용현황보기

기상선진국 투자현황 분석 조사연구 : 미 기상 관련 근거 및 예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77024 551.6 -24-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77025 551.6 -24-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