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9시 반의 당구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이용현황보기

9시 반의 당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76435 833 -24-2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76436 833 -24-2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전후 독일 사회 사회는 새로운 경제 질서를 만들어 내고 빠른 속도로 복구되어 갔으며 곧 경제 재건을 이룩했다. 하지만 오로지 이윤을 추구하고 소비를 조장하는 풍조가 만연했고, ‘경제 기적 정서’에 사로잡혀 극복되지 않은 과거를 쉽게 잊어버렸다. 이러한 1950년대 독일 사회의 “공허하고 차가운 망각”에 대해 경악하며 정치적·사회적 현실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소설이 바로 ≪9시 반의 당구≫다.
페멜 가족의 단 하루를 담고 있지만 사건은 회상의 형식을 통하여 지난 50년에 걸쳐 있다. 건축의 대가이자, 부조리한 사회에 대해 냉소로 일관하며 방관해 온 하인리히 페멜, 강하고 적극적으로 사회에 저항하는 그의 아내 요하나, 그녀를 닮아 형재애와 이웃 사랑의 정신을 지닌 정역학자인 아들 로베르트. 청산되지 않은 과거를 망각하고 슬퍼할 줄 모르는 독일 사회와 단절한 채 각자의 세계에 침잠하여 살아가던 이들 페멜 가족은 하인리히 페멜의 여든 살 생일날에 모여 화해와 단합을 시도하게 된다.
페멜 가족은 변화가 없는 세계에서 서로 마음의 문을 열고 의식의 변화를 겪음으로써, 가족 구성원 간에 연대감을 갖게 되고 다른 세계를 꿈꾸게 된다. 하인리히 뵐은 사회가 이윤을 추구하고 남을 배려하지 않으며 오로지 성취만을 목표로 하는 한, 인간적인 이해는 사회의 최소 단위인 가정이라는 공동체 안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왜곡된 현실에 동조하지 않고 버티어 나갈 수 있는 힘을 등장인물들에게 이러한 방식으로 마련해 준다. 이것은 그의 문학 강령, 즉 “인간적인 것의 미학”에 근거한 것이다. 뵐에게 “인간적인 것의 미학”이란 물질 만능주의와 이윤 추구에 사로잡힌 광기 속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고 진실된 삶을 살아가려고 하는 사람들을 보호하고자 그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이다. 이 소설은 ‘정신적인 친족 관계’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가족 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부조리에 저항하면서 서로 화합해 가는 가족의 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103~104] 군대에 들어갔을 때 사람들은 내 이력서를 보고 내가 정역학 문제에 대해 박사학위 논문을 썼다는 것을 알았네. 후고, 정역학이란 힘의 평형에 대한 학문이지. 즉 받치고 있는 물체의 장력과 인력에 대한 학문이야. 이게 없으면 흑인의 움막집조차 세울 수 없다네. 정역학의 반대는 동역학, 즉 다이내믹이지. 폭파할 때 사용되는 다이너마이트같이 들리는데, 관계가 있네. 전쟁 내내 나는 다이너마이트를 가지고 일했네. 난 정역학에 대해서 알고, 동역학에 대해서도 아는데, 다이너마이트에 대해서 가장 잘 알지. 다이너마이트에 대한 책은 모조리 읽었으니까. 폭파할 때 어디에 폭탄을 장착하고 세기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하지. 나는 그것을 알았지. 난 폭파를 했네. 다리, 주거단지, 교회, 철로 고가교, 빌라들, 교차로 등을 폭파했지. 그 대가로 훈장도 타고 진급도 했지. 소위에서 중위, 중위에서 대위, 또 특별 휴가도 얻고 칭송도 받고 했네.
[P. 375] 당신의 모든 시민적 편견과 통념을 완전히 버리세요. 이곳은 계급이 없는 사회입니다. 그리고 전쟁에 진 것을 한탄하지 마세요. 맙소사, 당신들은 정말로 전쟁에서 패배했어요? 두 번씩이나 계속해서? 전 당신 같은 사람에게는 전쟁에서 일곱 번이라도 지기를 바랐겠네요! 이제 인상 쓰는 걸 그만둬요. 전 당신이 몇 번이나 전쟁에서 패했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어요. 잃어버린 아이들, 패배한 전쟁보다 아이를 잃은 것이 더 가슴 아픈 일입니다.
[P. 419~420] 우리는 과거로 돌아갔다가 매번 현재로 던져진다. 끊임없이 현재인 셈이다. 초침이 한없이 앞으로 밀어낸 현재인 것이다. (...)
시계는 쓸데없이 치지 않고 초침은 쓸데없이 움직이지 않는다. 시곗바늘이 1분 1분 모여서 15분이 되고 30분이 되고 해가 된다. 시간과 초들이 정확히 계산되어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