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제출문 3
목차 5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1
가. 연구의 필요성 11
나. 연구의 목적 13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4
3. 연구 방법 15
4.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7
II. 교육과정 분권과 교육과정 결정체제 18
1. 교육과정 분권과 학교자치 18
가. 교육과정 분권 18
나. 학교자치 21
2. 교육과정 결정체제와 교육청의 역할 23
가. 교육과정의 결정 체제 23
나. 교육청의 역할 25
3. 교육과정 거버넌스 28
가.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개념 28
나.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맥락 30
III. 서울시교육청의 교육과정 결정체제 32
1.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지침 연구 개발 고시 절차 32
가. 교육과정위원회 및 교육과정 지침 개발 위원회 36
나. 교육연구정보원의 자문, 연구, 검토위원회 36
2.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문제점 37
가. 운영 형태 39
나. 참여자 범위와 수준 40
다. 관리 주체 42
라. 참여 단계 44
마. 참여방식 및 책임소재 45
바. 참여 분야 47
3.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거버넌스 구축 방향 48
가. 교육과정 거버넌스 기본 방향 48
나. 거버넌스 혁신의 원칙 49
IV. 교육과정 결정에 대한 외국 사례 52
1. 일본 52
가. 개요 52
나. 국가 교육과정(학습지도요령) 결정의 구조와 절차 53
다. 지역교육과정 운영의 사례 60
라. 일본 교육과정의 특징 및 시사점 64
2. 미국 65
가. 개요 65
나. 교육과정 결정의 기구(구조적 측면)와 과정(절차적 측면) 67
다. 주 수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채택 73
라. 미국 교육과정 특징 및 시사점 75
3. 독일 77
가. 독일 교육과정 개요 77
나. 교육과정 결정의 기구(구조적 측면) 79
다. 교육과정 결정의 과정(절차적 측면) 89
라. 독일 교육과정 결정의 시사점 91
4. 캐나다 92
가. 개요 92
나. 온타리오 주 교육과정 결정의 기구(구조)와 과정(절차) 93
다. 캐나다(온타리오 주) 교육과정 결정의 시사점 98
5. 핀란드 99
가. 개요 99
나. 국가교육과정 결정 기구 및 절차 105
다. 지역교육과정 결정과정 및 내용 110
라. 핀란드 교육과정 결정과정의 특징 및 시사점 115
6. 종합적 시사점 117
가. 국가교육과정과 지역교육과정의 관계와 역할 117
나. 지역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역할과 방향 119
V. 교육과정 결정체제에 대한 요구조사 122
1. 조사 대상 122
가. 학교 그룹 122
나. 교육청 그룹 123
2. 조사 방법 및 절차 123
3. FGI 질문 구성 125
가. 문항지 구성 125
나. 주요 설문 문항의 실제 126
4. FGI 결과 분석 127
가. 면담 참여자 분석 127
나. 현행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현황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128
다. 교육과정 분권에 따른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거버넌스 구축방안 설문결과 150
5. 시사점 164
가.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영역 확장 166
나.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다중심성 구현 167
다. 참여 주체의 확대 170
라. 온라인 플랫폼의 구현 171
VI.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거버넌스 구축 방안 탐색 174
1. 교육과정 거버넌스 구축 방향 174
2. 거버넌스 모형 정립을 위한 현재 상황 검토 178
3.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거버넌스 기본 모형 180
가. 기본 모형 180
나. 구조적 측면 182
다. 절차적 측면 183
4. 교육과정 거버넌스 모형의 구체화와 구축 방안 184
가. 구체화된 모형 184
나. 구축 방안 187
VII. 정책 제언 193
1. 교육과정 거버넌스 개선 법제 정비 193
가. 국가교육위원회 설치에 대비해 서울교육청 단독이나 지역교육과정협의체를 통한 지역의 요구 제시 193
나. 「교육과정위원회 규칙」의 조사·연구기능 활성화와 학생참여를 위한 법제 보완 194
2. 교육과정 거버넌스 조직의 구성과 운영 방식 개선 197
가. 연구·개발형 교육과정 강화를 통해 단위학교의 자율성 확대를 지원하는 교육과정행정 체제 마련 197
나.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른 문제 해결과 지역의 교과 운영 가능성 확대를 위한 연수 강화 199
다. 교원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과서 개발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행정을 통해 단위학교의 자율성 강화 202
3. 교육과정 거버넌스 개발과 평가 방식의 개선 204
가. 지역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반영에 따른 지역의 교육과정 개정 발의와 개발 작업 진행 204
나. 교육과정의 사용자 평가 및 환류 체제를 통한 질 관리 체제 구축 방안 마련 206
4. 교육과정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내용적 연구 대상 208
가. 서울시교육청의 교육과정의 문서체제와 교과교육과정 강화를 위한 자료의 축적과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208
나. 인공지능시대와 같은 미래사회 대비한 사회성과 도덕성 발달을 위한 학교교육 체질 개선을 위한 내용체계와 인프라 구축 210
다. 지역의 교육과정에 대한 현황 분석을 통한 서울지역의 교육과정 반영 방안에 대한 연구과 방향성 설정 212
참고문헌 215
부록 222
[부록 1] FGI 조사지 223
[부록 2] FGI 면담 시나리오 229
[부록 3]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과정위원회 규칙 246
[그림 III-1] 교육과정의 수준 32
[그림 III-2] 지역수준 교육과정 개발 절차 33
[그림 III-3]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지침 개정 절차 34
[그림 III-4] 현행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거버넌스 38
[그림 III-5] 교육과정 거버넌스 유형 39
[그림 III-6] 거버넌스 단계별 이해관계자들의 역할 41
[그림 III-7] 서울형 교육과정 운영전략 49
[그림 III-8] 서울형 교육과정 거버넌스 모델 50
[그림 IV-1] 중앙교육심의회 조직도 54
[그림 IV-2] 중앙교육심의회교육과정부회 조직도 55
[그림 IV-3] 일본의 국가교육과정 개정 기구들의 역할 및 기구 간 관련 58
[그림 IV-4] 일본의 신교육과정 개정 절차 60
[그림 IV-5] 요코하마시 초등학교 사회과 지침 중 일부 63
[그림 IV-6] 미국 캘리포니아 주 교육부 조직(일부) 69
[그림 IV-7]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교육과정 개정 기구의 역할 및 기구 간 관련 72
[그림 IV-8] 독일의 교육과정 결정체제 80
[그림 IV-9] IQB 조직도 83
[그림 IV-10] 독일 교육과정의 개정 절차 90
[그림 IV-11] 캐나다(온타리오 주) 교육과정 결정의 구조 97
[그림 IV-12] 핀란드 교육의 계획, 실행 구조 104
[그림 IV-13] 핀란드 국가교육과정 개발 조직 107
[그림 IV-14] 헬싱키 시 지역교육과정 구성 및 목차 113
[그림 IV-15] 지역교육과정 개발 기구 113
[그림 V-1] FGI 면담지 참여자 배경변인 127
[그림 V-2]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다양한 층위 168
[그림 V-3] 교육과정 다중심성 모델 170
[그림 V-4] 교육과정 거버넌스 참여 주체의 확대 171
[그림 V-5] 교육과정 거버넌스 온라인 플랫폼 구현 172
[그림 VI-1] 서울시교육청의 거버넌스의 현재 상황 178
[그림 VI-2] 서울시교육청의 거버넌스 기본 모형 181
[그림 VI-3]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구조적 측면 183
[그림 VI-4]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절차적 측면 184
[그림 VI-5] 서울시교육청의 구체화된 교육과정 거버넌스 모형 185
[그림 VII-1] 교원의 자율연수를 위한 조직의 관계 20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