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발간사 2
1. 만석부두 최초의 낚시 가게, 구술자 정성자의 삶 9
괭이부리 선창이라 불리던 만석부두 9
만석부두 최초의 낚시 가게 10
대나무 낚싯대와 직접 만들었던 봉돌 14
동네잔치처럼 하던 대굿 16
무궁무진했던 어릴적 놀이 19
김장철 풍경과 엄마 22
부두의 변화와 기억 24
똥마당과 선상 파시 24
빨간 흙길이었던 만석부두 27
해방촌과 굴막 31
한국판유리공장에 대한 기억 36
멀리서도 가지러 왔던 모래 36
유리 닦은 물로 목욕하던 광경 37
운명처럼 시작한 낚시가게 40
IMF 때 시작한 낚시가게 40
고향을 찾아오는 사람들 43
2. 괭이부리마을, 60년 구술자 김명자의 삶 46
한국 전쟁에 대한 기억 46
군부대로 날랐던 땔감 46
큰아버지에 대한 기억 48
인천 정착기 50
남편을 따라서 오게 된 인천 50
뜻하지 않은 밤손님 52
1960, 70년대 만석동 54
집집이 붙어살던 시절 54
원목 나무껍질을 때던 시절 57
형편없었던 꿀꿀이 죽 60
보충 구술자, 권기분 63
3. 만석동에서 60년, 구술자 김철권의 삶 71
한국 전쟁과 피란길 71
평안남도 진남포시에서 인천시로 71
만석동에 대한 기억 75
내가 살던 곳, 사삼번지 75
대성목재가 있었던 자리, 만석비치타운 78
생계를 위해 시작한 선박일 80
수문통에 대한 기억 84
마지막으로 남길 말 86
보충 구술자, 나형식 87
참고문헌 및 사이트 94
판권기 95
〈사진 1〉 원괭이부리마을 초입 10
〈사진 2〉 구술자 정성자 씨 부모님 11
〈사진 3〉 성복상회의 옛 모습과 현재 모습 12
〈사진 4〉 대나무 낚시하는 모습 14
〈사진 5〉 초소가 있던 해양경찰서 23
〈사진 6〉 북성포구 선상 파시 25
〈사진 7〉 철거 중인 집 28
〈사진 8〉 철거 전 동네 전경 28
〈사진 9〉 집 앞 눈사람 30
〈사진 10〉 해방촌 31
〈사진 11〉 철거 직전 굴막 전경 33
〈사진 12〉 굴막 앞 조선소 34
〈사진 13〉 해양경찰서 뒤편 38
〈사진 14〉 민챙이 39
〈사진 15〉 운영 중인 낚시가게 41
〈사진 16〉 운영 중인 가게 앞에서 구술자 정성자 씨 44
〈사진 17〉 만석부두 전경 51
〈사진 18〉 괭이부리말 소공원 55
〈사진 19〉 괭이부리말 공동작업장 57
〈사진 20〉 만석부두 당시 모습 59
〈사진 21〉 괭이부리말 골목길 현재 모습 65
〈사진 22〉 당시 집이 있었던 만석동 풋살 경기장 전경 74
〈사진 23〉 당시 대성목재 원목 저장소 79
〈사진 24〉 만석동 소재의 가게에서 구술자 8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81812 | 920.051954 -24-1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3081813 | 920.051954 -24-1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