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발간사 2
제1장 미국의 해양전략과 해군력 증강 동향 18
Ⅰ. 서론 20
Ⅱ. 군사전략과 해양전략 추이 24
1. 군사전략 24
2. 해양전략 32
Ⅲ. 2023년 해군력 운용과 해양안보 41
1. 해군력 현시 및 투사 41
2. 다른 국가와 해양협력 동향 44
Ⅳ. 2023년 전력 증강 동향 49
1. 전력 증강 방향 49
2. 전력 증강 동향 53
Ⅴ. 결론: 2024년 전망 및 한국의 대응 방향/전략 67
1. 2024년 전망 67
2. 한국의 대응 방향/전략 73
제2장 중국의 해양전략과 해군력 증강 동향 78
Ⅰ. 서론 80
Ⅱ. 군사전략과 해양전략 추이 83
1. 군사전략 83
2. 해양전략 88
Ⅲ. 2023년 해군력 운용과 해양안보 96
1. 해군력 현시 및 투사 96
2. 다른 국가와의 해양 협력 동향 114
Ⅳ. 2023년 전력 증강 동향 119
1. 전력 증강 방향 119
2. 전력 증강 동향 121
Ⅴ. 결론: 2024년 전망 및 한국의 대응 방향/전략 135
1. 2024년 전망 135
2. 한국의 대응 방향/전략 141
제3장 일본의 해양전략과 해상자위대 증강 동향 148
Ⅰ. 서론 150
Ⅱ. 군사전략과 해양전략 추이 153
1. 군사전략 153
2. 해양전략 160
3. 해상자위대 해양전략 164
Ⅲ. 2023년 해군력 운용과 해양안보 168
1. 『자유롭고 열린 인도ㆍ태평양(FOIP)』 비전 168
2. 남서지역 방위태세 강화 175
3. 해상교통로 보호 등 기타 임무 운용 177
4. 주요 국가와 해양협력 동향 180
Ⅳ. 2023년 전력 증강 동향 187
1. 전력 증강 방향 187
2. 해상자위대 부대의 주요 변화 189
3. 해상자위대 정비 계획(향후 5년) 190
4. 스탠드오프(Standoff) 능력의 강화 191
5. 이즈모급 DDH 항모 개조 193
6. 이지스 구축함의 스탠드오프 방위 능력 194
7. 리튬이온ㆍ신형 디젤기관 탑재의 신형 잠수함 건조 195
8. 해상보안청과 연대강화 196
Ⅴ. 결론: 2024년 전망 및 한국의 대응 방향/전략 198
1. 2024년 전망 198
2. 한국의 대응 방향/전략 200
제4장 러시아의 해양전략과 해군력 증강 동향 202
Ⅰ. 서론 204
Ⅱ. 군사전략과 해양전략 추이 207
1. 군사전략 207
2. 해양전략 216
Ⅲ. 2023년 해군력 운용과 해양안보 220
1. 해군력 현시 및 투사 220
2. 다른 국가와의 해양협력 동향 226
Ⅳ. 2023년 전력증강 동향 235
1. 전력증강 방향 235
2. 전력증강 동향 238
Ⅴ. 결론: 2024년 전망 및 한국의 대응 방향/전략 244
1. 2024년 전망 244
2. 한국의 대응 방향/전략 250
제5장 유럽의 인도-태평양 전략 254
Ⅰ. 서론 256
1. 유럽은 단일 행위자가 아니다 259
2. 지정학 전략 261
3. 유럽의 군사력 263
Ⅱ. 유럽의 인도-태평양 전략 266
1. 유럽의 인도-태평양 전략 일반 266
2. 유럽 주요국(영국, 프랑스, 독일)의 인도-태평양 전략 268
Ⅲ. 유럽의 인도-태평양 해양 안보 정세 평가 275
1. 동중국해ㆍ남중국해ㆍ인도양ㆍ남태평양의 안보 정세 분석 276
2. 중국의 해양 팽창과 인도-태평양 해양 안보 도전 요인 평가 280
3. 우크라이나 전쟁이 러시아의 해양전략에 미치는 영향 282
4. 북극과 러시아, 그리고 중국 285
5.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서의 교훈 289
Ⅳ. 유럽의 인도-태평양 협력 전략 및 방안 292
1. 미국ㆍ일본ㆍ인도와의 협력 방안 292
2. ASEAN 국가와의 협력 방안 295
3. 호주와의 협력 방안 296
Ⅴ. 결론: 2024년 전망 및 유럽과 한국의 협력 방안 299
1. 2023년 유럽의 인도-태평양 수행 전략 평가 299
2. 2024년 유럽의 인도-태평양 전략 수행 전망 300
3. 유럽과 한국의 협력 방안 302
찾아보기 304
집필진 314
판권기 316
〈그림 1-1〉 미국 해양전략서(2020) 37
〈그림 1-2〉 미 해군 유령함대 작전 개념 39
〈그림 1-3〉 남서제도 내 일본 자위대 배치 현황 46
〈그림 1-4〉 미 해군 항공모함 배치 및 운용 현황 61
〈그림 1-5〉 USV 개발 체계 63
〈그림 1-6〉 FY2024 미 해군 요구 예산(안) 71
〈그림 2-1〉 남중국해 해양 경계선 분쟁 현황과 중ㆍ미 군사기지 현황 97
〈그림 2-2〉 중국의 대만해협과 주변 해역 무력시위도 99
〈그림 2-3〉 한국의 KADIZ과 한ㆍ중ㆍ일 방공식별구역 중첩도 104
〈그림 2-4〉 중국의 해상 Silk Road와 인도양 해상교통로 105
〈그림 2-5〉 적도 기니의 지리적인 위치와 바타(Bata)港 특징 108
〈그림 2-6〉 중국의 지부티(Djibouti) 해군기지 현황 109
〈그림 2-7〉 미국의 태평양 섬 보건 프로젝트 추진 구역과 미크로네시아 지역 110
〈그림 2-8〉 중국의 북극항로인 일도(一道)와 북극의 기존항로 114
〈그림 2-9〉 중국의 무기 거래 국가들 117
〈그림 2-10〉 중국해군의 055형 구축함 특징 126
〈그림 2-11〉 중국 해상민병대의 조직도 133
〈그림 2-12〉 중국의인도-태평양 팽창을 위한 군사적 영향 경계선(도련선) 현황 140
〈그림 3-1〉 일본 해상자위대 전략지침 리플릿 166
〈그림 3-2〉 일본 해상자대막료장 항해지침 캐치프레이즈 167
〈그림 3-3〉 일본 방위성ㆍ자위대의 FOIP 대처 주요 지역ㆍ국가 분포도 169
〈그림 3-4〉 승함협력 프로그램 참가 모습 172
〈그림 3-5〉 2023년 OSA 지원국 및 2024년 대상국 174
〈그림 3-6〉 일ㆍ필리핀 OSA 서명교환식 174
〈그림 3-7〉 남서지역 자위대 현황 175
〈그림 3-8〉 오키나와 미군 가데나 기지의 미 F-35 177
〈그림 3-9〉 일본 핵심 수송로 178
〈그림 3-10〉 탄두교환형 순항미사일 운용개념 191
〈그림 3-11〉 가와사키 중공업 '차기 잠수함' 개념도(안) 193
〈그림 3-12〉 이지스시스템 탑재함 195
〈그림 3-13〉 라이게이함 진수식 196
〈그림 4-1〉 러시아 대통령령 No.400, '국가안전보장전략'(2021년 7월 2일) 207
〈그림 4-2〉 러시아 대통령령 No.355, '핵 억지 분야의 국가정책지침'(2020년 6월 2일) 208
〈그림 4-3〉 러시아의 전략 신형무기 6종 214
〈그림 4-4〉 2023년 전략핵억지력 훈련 요도 215
〈그림 4-5〉 러시아 대통령령 No.512, '新해양독트린'(2022년 7월 31일) 217
〈그림 4-6〉 러시아 대통령령 No.645, '2035년까지 러시아 북극권의 발전 및 국가안전보장전략'(2020년 10월 26일) 219
〈그림 4-7〉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상황도 및 러시아 점령지역 225
〈그림 4-8〉 ARMY-2023 공식 홍보자료 232
〈그림 4-9〉 IMDS-2023 공식 홍보물 및 후원업체, 해군사령관 공식인사말 233
〈그림 4-10〉 IMDS-2023 크론쉬타트 전시장 약도 및 전시공간 234
〈그림 4-11〉/〈그림 4-10〉 러시아 쇄빙선 현황 243
〈그림 5-1〉 EU의 인도-태평양지역 국가와의 역외 상품교역 257
〈그림 5-2〉 미국ㆍ영국ㆍ프랑스의 인도-태평양 군사력 현시 현황 260
〈그림 5-3〉 영국 항공모함 타격단의 기동 항로(2021년) 269
〈그림 5-4〉 프랑스군의 인도-프랑스 주둔 현황 272
〈그림 5-5〉 독일 바이에른 호위함 기동 항로 274
〈그림 5-6〉 북극에 주둔 중인 러시아군 286
〈그림 5-7〉 중국의 일대일로와 북극해 항로 288
〈그림 5-8〉 우크라이나의 무인수상정 291
〈그림 5-9〉 인도-태평양 해상에서 급유 중인 미 해군과 프랑스 해군 함정 293
〈그림 5-10〉 AUKUS 발전을 위한 기둥(Pillar) 297
〈그림 5-11〉 유럽 해군과 공군의 태평양 해양안보 교류 참여 현황 30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