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부 영상 미디어의 의미
제1장 문자와 영상
제2장 전통 영상과 기술영상

제2부 영상 미디어의 역사
제3장 영화의 탄생
제4장 텔레비전의 발전
제5장 영화와 텔레비전
제6장 디지털 영상의 융합

제3부 영상예술의 역사
제7장 주류영화 미학의 전개
제8장 예술영화의 도전
제9장 텔레비전 실험과 디지털 영상예술

제4부 영상 언어의 세계
제10장 영상 언어의 구조
제11장 미장센: 대상의 배치
제12장 시네마토그래피: 촬영
제13장 편집: 의미의 구축

제5부 영상구조와 영상 읽기
제14장 사실주의와 반영의 영상
제15장 구조주의와 기호의 영상
제16장 후기구조주의와 성찰의 영상

이용현황보기

영상 미디어의 이해 : 영화, 텔레비전, 디지털 영상의 경쟁과 융합 = Understanding visual media : intermediality between film, television and digital image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82565 302.23 -24-1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082566 302.23 -24-1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098748 302.23 -24-1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영상 미디어가 발전해 온 역사를 개괄하고 영상 미디어를 이해하는 관점 제시

이 책은 영화, 텔레비전, 디지털 영상, 이 세 가지 영상 미디어를 이해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전반부에서는 영화, 텔레비전, 디지털 영상이 발명된 이후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온 역사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영상 미디어를 읽고 이해하는 방법과 이에 대한 이론을 살펴본다.
제1부 ‘영상 미디어의 의미’에서는 영상 미디어의 개념을 다룬다. 먼저, 문자와 영상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면서 영상의 의미를 살펴본다. 그리고 전통 영상과 기술영상의 차이점을 살펴보면서 세 영상 미디어의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짚어본다. 기술장치를 토대로 만들어진 영상과 그렇지 않은 영상 간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미디어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본다.
제2부 ‘영상 미디어의 역사’에서는 영화, 텔레비전, 디지털 영상의 탄생과 역사적인 변천 과정을 살펴본다. 대체로 영화는 예술로, 텔레비전은 매스미디어로 발전해 왔기 때문에 영화 연구는 인문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고 텔레비전 연구는 사회학의 한 분야로 인식된다. 하지만 두 미디어는 영상 미디어라는 넓은 범주 안에서 특정한 관계를 맺고 있다. 한편 디지털 영상이 발전하면서 영화와 텔레비전은 서로 융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현실을 살펴본다.
제3부 ‘영상예술의 역사’에서는 세 가지 영상 미디어를 미학적인 관점에서 다룬다. 영화의 미학에서는 대중적인 주류영화와 실험적인 예술영화의 미학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또한 텔레비전 예술과 디지털 영상예술의 사례도 검토한다.
제4부 ‘영상 언어의 세계’에서는 영상으로 의미를 전달하거나 대상을 표현할 때 활용되는 기법을 살펴본다. 언어의 문법과 수사를 이해하면 언어를 더 정확하고 세련되게 읽고 쓸 수 있듯이, 영상 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영상을 수용하거나 제작할 때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제5부 ‘영상구조와 영상 읽기’에서는 영상 언어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사실주의, 구조주의, 후기구조주의, 이 세 가지 관점을 선택하고 각 관점의 장단점을 언급한다. 사실주의는 오래전부터 있어왔던 예술사조 또는 이론으로, 전통적인 인식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한편 구조주의는 20세기 초반에 나타난 관점으로, 사실주의와는 매우 다르게 영상을 설명한다. 그리고 후기구조주의는 구조주의를 비판하거나 발전시키려는 목적으로 제시된 새로운 관점이다.

기술적 원리에 중점을 두고 미학적 관점에서 영상 미디어를 분석한 책

저자는 이 책을 집필하면서 다음 두 가지 사항을 가장 크게 염두에 두었다고 밝힌다. 첫째, 영상을 창출하는 기술적 원리이다. 한 예로, 영화가 서사를 내용으로 취하고 텔레비전이 프로그램을 내용으로 취하게 된 것은 두 영상 미디어의 기술적 원리가 상이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같은 맥락에서 디지털 영상은 디지털의 원리로 인해 주로 상호작용적 콘텐츠를 내용으로 취한다. 이처럼 기술적 관점을 중요시하는 견해를 기술결정론 또는 미디어 결정론이라고 한다.
둘째, 영상 미디어를 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즉, 영상 미디어가 생산하는 내용물 및 영상 미디어의 형식적인 면모를 중심으로 살펴볼 뿐, 영상 미디어가 작동하는 외적인 환경에 대해서는 크게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미학이 예술에 관한 학문이라는 점을 고려해 예술 분야에서 활용되는 영화, 텔레비전, 디지털 영상의 사례들을 살펴본다. 전통 미학에서는 세 가지 영상 미디어 가운데 영화를 예술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지만, 현대 미학에서는 텔레비전과 디지털 영상 미디어도 예술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이 책은 분석한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 27] 영화가 발명과 동시에 그 역사가 시작된 것과 달리, 텔레비전은 개발되고 난 뒤 수십 년이 지나서야 영상 미디어로서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었다. 이후 영화와 텔레비전은 서로 평행선을 달리듯이 발전했는데, 그것은 두 미디어가 서로 다른 기능을 담당했기 때문이다. 영화는 예술과 서사의 기능을 담당했고 텔레비전은 매스미디어의 기능을 담당했다. 두 미디어의 기능이 차이 나게 된 데에는 영상 제작 방식이 서로 다른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P. 87] 예술작품을 상호텍스트성 이론으로 분석한다는 것은 하나의 작품이 다른 작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이해하려는 시도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결국 예술작품도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상호텍스트성 이론이 옳은지 아니면 너무 과장되었는지에 대한 논란은 있지만, 이 이론을 통해 영화를 비롯한 많은 예술작품도 텔레비전처럼 프로그램의 속성을 지닌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