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5
요약 17
제1장 서론 34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5
제2절 연구의 내용 43
제3절 연구의 절차 및 방법 44
1. 문헌연구 46
2. 사례연구 46
3. 설문조사 및 FGI 46
4. 전문가협의회 및 정책세미나 개최 48
제4절 연구의 범위 및 운영 유형 50
제2장 중등직업교육에서 산학협력에 관한 이론적 배경 52
제1절 산학협력의 개념 및 유형 53
1. 산학협력의 개념과 정의 53
2. 산학협력의 유형과 범주 58
제2절 산학협력 관련 법령 분석 61
1. 산학협력 관련 법령 분석 61
제3절 산학협력 정책 추진 및 제도 68
1. 산학협력 정책 변화 68
2. 주요 산학협력 정책 69
3. 산학협력 제도 75
제4절 산학협력과 지역 산업인력 양성 95
1.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현황 95
2. 지역 내 산학협력 현황 프로그램 101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105
제3장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운영 사례 분석 109
제1절 국내 산학협력 운영 사례 분석 110
1. 현장실습 110
2.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122
3. 직업교육 혁신지구 130
4. 국내 사례 요약 및 시사점 142
제2절 국외 산학협력 운영 사례 분석 146
1. 일본 146
2. 독일 160
3. 핀란드 174
4. 요약 및 시사점 184
제4장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요구 분석 187
제1절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요구 분석 개요 188
1.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사례 설문조사 개요 188
2.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사례 FGI 개요 194
제2절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요구 분석 196
1. 중등직업교육 학교관계자 요구 분석 196
2. 중등직업교육 기업체관계자 226
3. 학교관계자와 기업관계자의 요구 분석 결과 차이 251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253
제5장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 개선과 구안 261
제1절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정책 개선 방안 264
1.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의 역할과 과제 265
2. 지자체-교육청 간의 역할과 과제 271
3. 지자체-산업체 간 역할과 과제 273
4. 교육청-직업계고 간 역할과 과제 275
5. 직업계고-산업체 간 역할과 과제 276
6. 지자체ㆍ산업체-지역 산학협력 전담기구-교육청ㆍ직업계고 간 역할과 과제 279
제2절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 구안 282
1. 학교 내(In-bound) 모델 구안 283
2. 학교 밖(Out-bound) 모델 구안 301
참고문헌 308
[부록 1]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에 관한 인식 조사(직업계고용) 326
[부록 2]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에 관한 인식 조사(기업용) 354
SUMMARY 370
판권기 381
[그림 1-1] 현장실습 정책의 변화 흐름 40
[그림 1-2] 2023년 연구 추진 체계도 45
[그림 2-1] 국내 직업교육 관계 법령 체계 61
[그림 2-2] 학교기업 변화 추이(2004~2019) 82
[그림 2-3] 학교기업에서의 학점인정 현장실습 학생 수 변화 85
[그림 2-4] 가족회사 참여 형태별 현황 91
[그림 2-5] 계약학과 규모(학과, 재학생, 산업체)의 변화 93
[그림 2-6] 캡스톤디자인 운영 현황(운영 대학, 이수학생 수)의 변화 94
[그림 2-7] 교육청-지역인자위 협업 절차 예시 103
[그림 3-1] 직업계고 현장실습 운영 절차 113
[그림 3-2] 특성화고 산업체 현장실습 실습 기간 현황(2018~2021) 116
[그림 3-3] 중장기 산학협력 추진 로드맵 수립 120
[그림 3-4]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추진체계도 123
[그림 3-5]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사업단 운영 모델 유형 124
[그림 3-6]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모형 125
[그림 3-7] 직업교육 혁신지구 협업체계 130
[그림 3-8] 인천 직업교육 혁신지구 뷰티ㆍ바이오 분야 특화인력양성 모델 체계 134
[그림 3-9] 부산 직업교육 혁신지구 사업 추진체계 136
[그림 3-10] 대구 직업교육 혁신지구 사업 비전 및 목표 137
[그림 3-11] 창원 직업교육 혁신지구 성장경로 예시 139
[그림 3-12] 캐리어교육이 필요하게 된 배경과 과제 149
[그림 3-13] 지역 캐리어교육 지원협의회 설치 촉진사업의 기본 설계도 154
[그림 3-14] 협동직업훈련 참여기업의 수 현황 추이 170
[그림 3-15] 베를린 주정부의 협동직업훈련 촉진 지원 및 기업 연계 171
[그림 4-1] 산학협력교육 운영 현황(학교관계자) 197
[그림 4-2]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학생 만족도, 운영 효과, 지역사회 협조 정도(학교관계자) 203
[그림 4-3]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프로그램별로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학교관계자) 215
[그림 4-4]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프로그램별 운영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학교관계자) 216
[그림 4-5] 산학협력 프로그램별 지역사회의 협조에 대해 현황 인식(학교관계자) 217
[그림 4-6] 지역사회(지자체, 지역교육청 등)의 산학협력 제도ㆍ프로그램별 협조 필요성(학교관계자) 220
[그림 4-7]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현황(기업체관계자) 227
[그림 4-8]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학생 직무능력 향상 도움 정도(기업체관계자) 228
[그림 4-9]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산업체 우수인력 수급 도움 정도(기업체관계자) 229
[그림 4-10]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의향(기업체관계자) 249
[그림 5-1] 지역인재양성과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 264
[그림 5-2] 일경험 산학협력 실습기업 프로그램 개념도 284
[그림 5-3] '캡스톤디자인' 과목 운영(안) 291
[그림 5-4] '캡스톤디자인' 과목 운영 절차 291
[그림 5-5] 직업계고 학년별 진로활동 292
[그림 5-6] 직업계고 3학년 2학기 현장실습 과목의 다양화 방안(예시) 30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83387 | 331.259 -24-1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083388 | 331.259 -24-1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5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