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5

요약 17

제1장 서론 34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5

제2절 연구의 내용 43

제3절 연구의 절차 및 방법 44

1. 문헌연구 46

2. 사례연구 46

3. 설문조사 및 FGI 46

4. 전문가협의회 및 정책세미나 개최 48

제4절 연구의 범위 및 운영 유형 50

제2장 중등직업교육에서 산학협력에 관한 이론적 배경 52

제1절 산학협력의 개념 및 유형 53

1. 산학협력의 개념과 정의 53

2. 산학협력의 유형과 범주 58

제2절 산학협력 관련 법령 분석 61

1. 산학협력 관련 법령 분석 61

제3절 산학협력 정책 추진 및 제도 68

1. 산학협력 정책 변화 68

2. 주요 산학협력 정책 69

3. 산학협력 제도 75

제4절 산학협력과 지역 산업인력 양성 95

1.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현황 95

2. 지역 내 산학협력 현황 프로그램 101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105

제3장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운영 사례 분석 109

제1절 국내 산학협력 운영 사례 분석 110

1. 현장실습 110

2.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122

3. 직업교육 혁신지구 130

4. 국내 사례 요약 및 시사점 142

제2절 국외 산학협력 운영 사례 분석 146

1. 일본 146

2. 독일 160

3. 핀란드 174

4. 요약 및 시사점 184

제4장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요구 분석 187

제1절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요구 분석 개요 188

1.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사례 설문조사 개요 188

2.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사례 FGI 개요 194

제2절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요구 분석 196

1. 중등직업교육 학교관계자 요구 분석 196

2. 중등직업교육 기업체관계자 226

3. 학교관계자와 기업관계자의 요구 분석 결과 차이 251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253

제5장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 개선과 구안 261

제1절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정책 개선 방안 264

1.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의 역할과 과제 265

2. 지자체-교육청 간의 역할과 과제 271

3. 지자체-산업체 간 역할과 과제 273

4. 교육청-직업계고 간 역할과 과제 275

5. 직업계고-산업체 간 역할과 과제 276

6. 지자체ㆍ산업체-지역 산학협력 전담기구-교육청ㆍ직업계고 간 역할과 과제 279

제2절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 구안 282

1. 학교 내(In-bound) 모델 구안 283

2. 학교 밖(Out-bound) 모델 구안 301

참고문헌 308

[부록 1]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에 관한 인식 조사(직업계고용) 326

[부록 2]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에 관한 인식 조사(기업용) 354

SUMMARY 370

판권기 381

표목차 7

〈표 1-1〉 산학협력 관련 법령 37

〈표 1-2〉 전문대학 대상 산학협력 지원사업 39

〈표 1-3〉 지역 기반 직업교육 산학협력 체제 구축 사례 41

〈표 1-4〉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인식 조사 대상 47

〈표 1-5〉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사례별 FGI 대상 47

〈표 1-6〉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운영 유형 50

〈표 2-1〉 산학협력 개념 관련 주요 법적 정의 55

〈표 2-2〉 산학협력에 관한 주요 개념 비교 57

〈표 2-3〉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구조 59

〈표 2-4〉 산학협력 관련 주요 법령 62

〈표 2-5〉 산학협력 관련 법령 대한 선행연구에서의 논의 내용(일부 발췌) 65

〈표 2-6〉 산학협력 관련 정부 정책의 변화 68

〈표 2-7〉 「산학협력 활성화 5개년 기본계획(2016~2020)」의 주요 내용 69

〈표 2-8〉 「제1차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2019~2023) 수정」의 주요 내용 71

〈표 2-9〉 「대학의 산학협력 인력양성 효과성 제고 방안(2020)」의 주요 내용 73

〈표 2-10〉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의 주요 내용 74

〈표 2-11〉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의 유형별 주요 특징 75

〈표 2-12〉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의 주요 산학협력 제도 76

〈표 2-13〉 학교급별 현장실습 제도 비교 78

〈표 2-14〉 학교기업 지원사업의 발전 과정 80

〈표 2-15〉 「제3단계 학교기업 지원사업(2020~2024)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81

〈표 2-16〉 학교기업 내에서의 현장실습 운영 방식 83

〈표 2-17〉 학교급별 학교기업 내 현장실습 운영 방식 비교 84

〈표 2-18〉 3단계 학교기업 지원사업 선정 사업단 현황 86

〈표 2-19〉 「산학협력 마일리지 활성화 방안(2021)」의 주요 내용 87

〈표 2-20〉 산학협력 활동별 마일리지 적립기준 88

〈표 2-21〉 기업 마일리지 연계사업 목록(2022년 기준) 89

〈표 2-22〉 산학협력 우수기관 인증 혜택 90

〈표 2-23〉 대학 유형별 가족회사 운영 현황 92

〈표 2-24〉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률 현황 96

〈표 2-25〉 2020~2021년 직업계고 졸업자 유지취업 현황 97

〈표 2-26〉 지역별 직업계고 졸업자 졸업 후 상황(2022년) 98

〈표 2-27〉 시ㆍ도별(근로지 기준)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현황(2022년) 99

〈표 2-28〉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지원 내용 102

〈표 3-1〉 현장실습의 개념 변화 분석 111

〈표 3-2〉 직업계고 현장실습 유형 112

〈표 3-3〉 특성화고 현장실습 참여 현황 114

〈표 3-4〉 현장실습 계열별 참여율 115

〈표 3-5〉 연계교육형 현장실습 유형별 참여 현황 117

〈표 3-6〉 동아마고의 산관학협력위원회 역할 118

〈표 3-7〉 인천전자마이스터고의 산학협력 프로그램 119

〈표 3-8〉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현황(2023.2.10. 자료) 126

〈표 3-9〉 직업교육 혁신지구 운영 현황 132

〈표 3-10〉 2021년도 아이치 캐리어교육 지역연계사업 내용 158

〈표 3-11〉 수업시간표(주당) 166

〈표 3-12〉 지케엔 드라이브라인의 이원화 직업교육훈련 사례 168

〈표 3-13〉 독일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들의 연계 173

〈표 3-14〉 개인 역량개발계획에서 이해관계자의 역할 176

〈표 3-15〉 삐르깐마 지역의 교육훈련 제공기관과 산업체와의 협력의 결과물 178

〈표 3-16〉 일터 사전방문 및 사후작업 과정 181

〈표 3-17〉 핀란드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 183

〈표 4-1〉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인식 조사 대상 189

〈표 4-2〉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인식 조사 내용 및 설문지 구성 191

〈표 4-3〉 조사 응답자 일반 현황 193

〈표 4-4〉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사례별 FGI 대상 194

〈표 4-5〉 중등직업학교 산학협력 사례 대상 FGI 주요 내용 195

〈표 4-6〉 협력기업의 규모별 비중(학교관계자) 196

〈표 4-7〉 최근 3년간 졸업생의 진로 현황(학교관계자) 197

〈표 4-8〉 산학협력교육의 목적(학교관계자) 198

〈표 4-9〉 산학협력 관련 위원회 설치 여부(학교관계자) 198

〈표 4-10〉 산학협력 관련 위원회 인적 구성(학교관계자) 199

〈표 4-11〉 산학협력 관련 위원회 모임 주기(학교관계자) 199

〈표 4-12〉 산학협력 관련 위원회 주요 활동(학교관계자) 200

〈표 4-13〉 산학협력 위원회 전담조직 구성 여부 200

〈표 4-14〉 산학협력 위원회 전담조직 참여 부서 수(학교관계자) 201

〈표 4-15〉 산학협력 위원회 전담조직 주요 활동(학교관계자) 201

〈표 4-16〉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운영 전담인력/조직 필요(학교관계자) 202

〈표 4-17〉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운영 전담조직 필요 이유(학교관계자) 202

〈표 4-18〉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학생 만족도, 운영 효과, 지역사회 협조 정도(학교관계자) 204

〈표 4-19〉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방법(학교관계자) 205

〈표 4-20〉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흥미 정도(학교관계자) 205

〈표 4-21〉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에 흥미가 없는 이유(학교관계자) 206

〈표 4-22〉 학생의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학교관계자) 206

〈표 4-23〉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용이성 및 중요도(학교관계자) 207

〈표 4-24〉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문제점(현장실습, 도제학교)(학교관계자) 208

〈표 4-25〉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문제점(혁신지구)(학교관계자) 209

〈표 4-26〉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사전교육 필요 정도(학교관계자) 210

〈표 4-27〉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참여 학생 중도 탈락률(학교관계자) 211

〈표 4-28〉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참여 학생 중도 탈락 사유(학교관계자) 211

〈표 4-29〉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참여 학생 중도 탈락 방지 노력(학교관계자) 212

〈표 4-30〉 산학협력 파견산업체 확보 방법(학교관계자) 213

〈표 4-31〉 산학협력 파견산업체 연계 시 어려운 점(학교관계자) 213

〈표 4-32〉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추진과제 필요 정도(학교관계자) 218

〈표 4-33〉 지역사회에서 직업교육 당면 문제(학교관계자) 221

〈표 4-34〉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중앙부처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사항(학교관계자) 222

〈표 4-35〉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교육청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사항(학교관계자) 223

〈표 4-36〉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지자체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사항(학교관계자) 224

〈표 4-37〉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산업체/기타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사항(학교관계자) 224

〈표 4-38〉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이유(기업체관계자) 226

〈표 4-39〉 산학협력 운영 현황(기업체관계자) 230

〈표 4-40〉 산학협력 관련 교류의 주요 활동 목적(기업체관계자) 231

〈표 4-41〉 산학협력 관련 업무 담당자(기업체관계자) 231

〈표 4-42〉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경로(기업체관계자) 232

〈표 4-43〉 학생의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동기(기업체관계자) 233

〈표 4-44〉 산학협력 프로그램 매뉴얼(핸드북) 존재 여부(기업체관계자) 234

〈표 4-45〉 산학협력 프로그램 매뉴얼(핸드북) 포함 내용(기업체관계자) 234

〈표 4-46〉 산학협력 프로그램 진행 방식(기업체관계자) 235

〈표 4-47〉 산학협력 프로그램 계약서 작성 여부(기업체관계자) 235

〈표 4-48〉 산학협력 프로그램에 대한 학교와의 충실한 사전협의 여부(기업체관계자) 236

〈표 4-49〉 산학협력 관련 사전교육 실시 여부(기업체관계자) 236

〈표 4-50〉 산학협력 관련 사전교육 내용(기업체관계자) 237

〈표 4-51〉 바람직한 산학협력 학습공간(기업체관계자) 237

〈표 4-52〉 산학협력 참여 학생들의 업무 수행 태도 및 능력(기업체관계자) 238

〈표 4-53〉 산학협력 참여 학생들의 수행 업무(기업체관계자) 239

〈표 4-54〉 산학협력 참여 시 우려되는 문제(기업체관계자) 239

〈표 4-55〉 산학협력 참여 학생의 중도 탈락률(기업체관계자) 240

〈표 4-56〉 산학협력 참여 학생들의 중도 탈락 원인(기업체관계자) 241

〈표 4-57〉 산학협력 참여 학생에 대한 평가계획 수립 및 결과 전달(기업체관계자) 241

〈표 4-58〉 향후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의향 242

〈표 4-59〉 향후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중단 이유(기업체관계자) 242

〈표 4-60〉 바람직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시기(기업체관계자) 244

〈표 4-61〉 바람직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기간(기업체관계자) 244

〈표 4-62〉 바람직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학생 규모(기업체관계자) 245

〈표 4-63〉 바람직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실습지도 인력(기업체관계자) 245

〈표 4-64〉 바람직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산업체당 학교 비율(기업체관계자) 246

〈표 4-65〉 바람직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취업연계 정도(기업체관계자) 246

〈표 4-66〉 산학협력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기업체관계자) 247

〈표 4-67〉 산학협력 프로그램 인센터브 필요 정도(기업체관계자) 248

〈표 4-68〉 사업 운영 시 지역사회의 당면 문제(기업체관계자) 250

〈표 4-69〉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차원의 지원사항(기업체관계자) 250

〈표 4-70〉 현장실습 참여동기에 대한 학교 및 기업체관계자 응답비교 251

〈표 4-71〉 도제학교 참여동기에 대한 학교 및 기업체관계자 응답비교 252

〈표 4-72〉 혁신지구 참여동기에 대한 학교 및 기업체관계자 응답비교 253

〈표 4-73〉 산학협력 관련 주요 설문조사/FGI 분석 결과(학교/기업관계자) 260

〈표 5-1〉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 개선과 구안(안) 262

〈표 5-2〉 산학협력 관련 거버넌스 현황 267

〈표 5-3〉 지역(광역) 수준의 협의체 현황 269

〈표 5-4〉 '(가칭)시ㆍ도산학연협력협의회' 설치ㆍ운영을 위한 법령 개정(안) 270

〈표 5-5〉 중등직업교육에서 일경험 실습기업 프로그램 운영(안) 288

〈표 5-6〉 일경험 산학협력 실습기업 프로그램 운영 내용 및 방법(안) 288

〈표 5-7〉/〈표 5-6〉 대학의 캡스톤디자인 운영 현황 289

〈표 5-8〉/〈표 5-7〉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을 활용한 직업ㆍ직장체험 프로그램 운영(안) 293

〈표 5-9〉/〈표 5-8〉 '계약학과 설치ㆍ운영 규정'에 나타난 대학 중심의 조문 분석 결과 294

그림목차 14

[그림 1-1] 현장실습 정책의 변화 흐름 40

[그림 1-2] 2023년 연구 추진 체계도 45

[그림 2-1] 국내 직업교육 관계 법령 체계 61

[그림 2-2] 학교기업 변화 추이(2004~2019) 82

[그림 2-3] 학교기업에서의 학점인정 현장실습 학생 수 변화 85

[그림 2-4] 가족회사 참여 형태별 현황 91

[그림 2-5] 계약학과 규모(학과, 재학생, 산업체)의 변화 93

[그림 2-6] 캡스톤디자인 운영 현황(운영 대학, 이수학생 수)의 변화 94

[그림 2-7] 교육청-지역인자위 협업 절차 예시 103

[그림 3-1] 직업계고 현장실습 운영 절차 113

[그림 3-2] 특성화고 산업체 현장실습 실습 기간 현황(2018~2021) 116

[그림 3-3] 중장기 산학협력 추진 로드맵 수립 120

[그림 3-4]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추진체계도 123

[그림 3-5]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사업단 운영 모델 유형 124

[그림 3-6]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모형 125

[그림 3-7] 직업교육 혁신지구 협업체계 130

[그림 3-8] 인천 직업교육 혁신지구 뷰티ㆍ바이오 분야 특화인력양성 모델 체계 134

[그림 3-9] 부산 직업교육 혁신지구 사업 추진체계 136

[그림 3-10] 대구 직업교육 혁신지구 사업 비전 및 목표 137

[그림 3-11] 창원 직업교육 혁신지구 성장경로 예시 139

[그림 3-12] 캐리어교육이 필요하게 된 배경과 과제 149

[그림 3-13] 지역 캐리어교육 지원협의회 설치 촉진사업의 기본 설계도 154

[그림 3-14] 협동직업훈련 참여기업의 수 현황 추이 170

[그림 3-15] 베를린 주정부의 협동직업훈련 촉진 지원 및 기업 연계 171

[그림 4-1] 산학협력교육 운영 현황(학교관계자) 197

[그림 4-2]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학생 만족도, 운영 효과, 지역사회 협조 정도(학교관계자) 203

[그림 4-3]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프로그램별로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학교관계자) 215

[그림 4-4]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프로그램별 운영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학교관계자) 216

[그림 4-5] 산학협력 프로그램별 지역사회의 협조에 대해 현황 인식(학교관계자) 217

[그림 4-6] 지역사회(지자체, 지역교육청 등)의 산학협력 제도ㆍ프로그램별 협조 필요성(학교관계자) 220

[그림 4-7]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현황(기업체관계자) 227

[그림 4-8]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학생 직무능력 향상 도움 정도(기업체관계자) 228

[그림 4-9]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산업체 우수인력 수급 도움 정도(기업체관계자) 229

[그림 4-10]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의향(기업체관계자) 249

[그림 5-1] 지역인재양성과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 264

[그림 5-2] 일경험 산학협력 실습기업 프로그램 개념도 284

[그림 5-3] '캡스톤디자인' 과목 운영(안) 291

[그림 5-4] '캡스톤디자인' 과목 운영 절차 291

[그림 5-5] 직업계고 학년별 진로활동 292

[그림 5-6] 직업계고 3학년 2학기 현장실습 과목의 다양화 방안(예시) 303

이용현황보기

지역 산업인력 양성에 기반한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 구안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83387 331.259 -24-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083388 331.259 -24-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