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5
요약 13
제1장 서론 28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1
1. 연구의 내용 31
2. 연구의 방법 32
제3절 연구의 제한 34
제2장 초ㆍ중등 진로교육 환경 35
제1절 진로교육의 정책 및 제도 변화 36
1. 진로교육의 개념과 범위 36
2.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정책과 제도 39
제2절 진로교육의 국내 환경 48
1. 진로교육 추진 체계 48
2. 진로교육 운영 방법 60
3. 진로교육 인프라 65
제3절 해외의 진로개발 지침 68
1. 개인의 진로개발 지침 68
2. 진로개발 촉진자의 표준 71
3. 진로개발 프로그램 및 서비스 모니터링 체제 74
제3장 진로교육의 성과 80
제1절 이론적 토대 81
1. 생태학적 관점의 진로개발 이론 81
2. 학교 사회 체제 이론 83
3. 이론적 토대를 적용한 진로교육 분야 선행연구 87
제2절 진로교육의 성과 관련 선행연구 93
1. 성과 개념 고찰 및 성과평가를 위한 모형 개발 93
2. 개인 특성(가정 배경)과 진로개발역량 간 관계 95
3. 진로교육 성과 영향 요인 99
4. 진로교육 정책(프로그램) 및 학교 진로교육의 효과성 104
5. 진로교육 여건과 성과 간 관계 107
제3절 진로교육의 성과분석 개념 모형 118
1. 진로교육의 성과지표 118
2. 진로교육의 성과분석 개념 모형 126
제4장 학교 진로교육 성과분석 132
제1절 학교 진로교육 현황 133
1. 들어가며 133
2. 학교 진로교육 현황 135
제2절 학교 수준 분석 142
1. 변수 구성 142
2. 분석 방법 145
3. 기술통계 분석 147
4. 분석 결과 152
제3절 학생 수준 분석 158
1. 변수 구성 158
2. 분석 방법 160
3. 기술통계 분석 161
4. 분석 결과 166
제4절 소결 175
제5장 시도 진로교육 성과분석 178
제1절 시도 진로교육 현황 179
1. 들어가며 179
2. 시도 진로교육 현황 181
제2절 시도 수준 분석 188
1. 변수 구성 188
2. 분석 방법 189
3. 기술통계 분석 189
4. 분석 결과 190
제3절 학교 수준 분석 193
1. 변수 구성 193
2. 분석 방법 194
3. 분석 결과 195
제4절 소결 198
제6장 학생 진로교육 성과분석 200
제1절 학생 진로교육 현황 201
1. 들어가며 201
2. 학생 진로교육 현황 203
제2절 진로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206
1. 변수 구성 206
2. 분석 방법 208
3. 기술통계 분석 209
4. 분석 결과 213
제3절 진로개발역량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220
1. 변수 구성 220
2. 기술통계 분석 221
3. 분석 결과 222
제4절 소결 229
제7장 진로교육 성과 제고 및 관리를 위한 지원 방안 231
제1절 기본 방향 232
제2절 진로교육 성과 제고 및 관리를 위한 정책과제 235
1.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 235
2. 진로교육 성과관리를 위한 정책 방안 247
SUMMARY 261
참고문헌 263
[부록 1] 연구 결과 부표 281
[부록 2] 진로교육 성과 제고 및 성과관리를 위한 정책 방안 전문가 의견조사(1차) 283
[부록 3] 진로교육의 성과분석 정책방안 타당화를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2차) 289
[부록 4] 진로교육의 주요 성과지표(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296
[부록 5] 진로교육의 성과분석 정책방안 타당화 조사 결과 297
판권기 301
[그림 1-1] 연구 내용 및 방법 34
[그림 2-1] 학교급별 진로교육의 주요 내용과 방법 39
[그림 2-2] 교육부가 제시한 진로교육 협력 체계 49
[그림 3-1] 4가지 차원의 생태 체계 82
[그림 3-2] 개방 체제의 기본 모형 84
[그림 3-3] 학교의 사회 체제 모형(Social-Systems Model for Schools) 85
[그림 3-4]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원 및 추진 체계 88
[그림 3-5] 학교 진로교육 성과 모형: 학교급별 학교 진로교육 현황 및 성과에 따른 영역 89
[그림 3-6]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내용 체계(투입, 과정, 성과 측면) 90
[그림 3-7]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체제 개편(안) 91
[그림 3-8]/[그림 3-9] 진로교육 성과분석을 위한 개념 모형 131
[그림 4-1] 학교 진로활동별 참여율 변화(중학생)(2015~2022년) 135
[그림 4-2] 학교 진로활동별 참여율 변화(고등학생)(2015~2022년) 136
[그림 5-1] 시도별 진로교육 환경 여건(중학교) 183
[그림 5-2] 시도별 진로교육 환경 여건(고등학교) 184
[그림 5-3] 연도별 진로개발역량 추이(중학교) 185
[그림 5-4] 연도별 진로개발역량 추이(고등학교) 185
[그림 5-5] 연도별 시도 예산 추이 186
[그림 5-6] 시도별 중ㆍ고등학생 수 대비 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회원 비율 187
[그림 7-1] 진로교육의 성과 제고 및 관리를 위한 5대 영역 234
[그림 7-2] 진로교육 성과 제고 및 관리를 위한 정책 방안 26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83393 | 371.425 -24-11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083394 | 371.425 -24-11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22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