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제1차) 산림·임업분야 기후변화 영향평가 : 종합보고서 / 집필인: 양희문, 최원일, 박고은, 김은숙, 장근창, 임종수, 이민우, 김용율, 구자정, 정종빈 [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립산림과학원, 2023
청구기호
634.9 -24-8
자료실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도서위치안내(서울관)
형태사항
411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연구자료 ; 제1086호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0198683
제어번호
MONO12024000017575
주기사항
부록: 1. 분야별 기후변화 영향 실태조사 및 평가 방법 ; 2. 기후변화 영향 실태조사 및 영향·취약성 평가 근거법률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발간사 2

주요 용어 정의 6

제1장 서론 7

1. 배경 및 목적 8

2. 추진경과 9

3. 평가 체계 9

4. 보고서 개요 10

제2장 세부분야별 기후변화 영향 실태 및 평가 12

제1절 산악기상 / 장근창;민성현 13

제2절 산림자원 / 임종수;이민우;김은숙;김용율;구자정 50

제3절 산림생태계 79

1. 기후변화 취약 산림생태계 / 박고은;정종빈;박찬오 79

2. 산림식물계절 / 김은숙;박신영;이보라;정지영 100

3. 산림생태계 탄소흡수능력 / 김은숙;이보라;박주한 131

4. 산림수문 / 최형태 154

제4절 단기소득임산물 187

5. 버섯류 / 장영선 187

6. 산림과수 / 김철우 200

7. 산림약용자원 / 엄유리 218

8. 수액류 / 김석주 229

제5절 산림교란 242

9. 산불 / 권춘근;안희영;한송희 242

10. 산사태 / 유송 263

11. 산림병해충 / 남영우;최원일 287

제6절 산림생물다양성 309

12. 산림식물 / 조용찬;설재원;정성희 309

13. 산림곤충 / 최원일;박용환 332

14. 산림동물 / 박찬열;이재강;임신재;고동욱 348

15. 침입외래식물 / 손동찬;조용찬;설재원 365

제3장 결론 383

[부록 1] 분야별 기후변화 영향 실태조사 및 평가 방법 387

제1절 산악기상 388

제2절 산림자원 389

제3절 산림생태계 390

1. 기후변화 취약 산림생태계 390

2. 산림식물계절 392

3. 산림생태계 탄소흡수능력 398

4. 산림수문 399

제4절 산림소득임산물 401

5. 버섯류 401

6. 산림과수 403

7. 산림약용자원 405

8. 수액류 406

제5절 산림교란 407

9. 산불 407

10. 산사태 408

11. 산림병해충 408

제6절 산림생물다양성 409

12. 산림식물 409

13. 산림곤충 410

14. 산림동물 411

15. 침입외래식물 411

[부록 2] 기후변화 영향 실태조사 및 영향ㆍ취약성 평가 근거법률 413

판권기 425

표 1-1. 산악기상관측소 명칭과 위치 정보 등 메타정보 18

표 1-2. 평균, 최고, 최저기온의 연도별 평균과 평년값과의 차이 23

표 1-3. 평균, 최고, 최저기온의 월 평균값과 평년값 25

표 1-4. 산악지역 월 강우량과 평년값 27

표 1-5. SSP1-2.6 시나리오 기준 행정구역별 산악지역의 연대별 평균기온 31

표 1-6. SSP1-2.6 시나리오 기준 행정구역별 산악지역의 연대별 평균 최고기온 31

표 1-7. SSP1-2.6 시나리오 기준 행정구역별 산악지역의 연대별 평균 최저기온 32

표 1-8. SSP1-2.6 시나리오 기준 행정구역별 산악지역의 연대별 강우량 32

표 1-9. SSP5-8.5 시나리오 기준 행정구역별 산악지역의 연대별 평균기온 40

표 1-10. SSP5-8.5 시나리오 기준 행정구역별 산악지역의 연대별 평균 최고기온 40

표 1-11. SSP5-8.5 시나리오 기준 행정구역별 산악지역의 연대별 평균 최저기온 41

표 1-12. SSP5-8.5 시나리오 기준 행정구역별 산악지역의 연대별 강수량 41

표 2-1. 우리나라 국가산림자원조사의 연혁 53

표 2-2. NFI 표본점의 10년 동안 임상변화 경향 56

표 2-3. NFI 표본점의 10년 동안 소나무류 중요치 등급 변화 58

표 2-4. 국가산림자원조사 시기에 따른 난대수종의 북상 현황 59

표 2-5. 2020년 기준 주요 산림수종의 영급별 산림면적 60

표 2-6. 수종별 생장인자 및 분포에 따른 기후인자와의 관계 요약 62

표 2-7. 다중선형회귀 및 인공신경망 모델에 따른 잣나무 생식적 발단 단계와 기상변수 71

표 3-1-1. 주요 아고산 침엽수림의 평균 쇠퇴도 변화(박 등, 2022) 82

표 3-1-2. 주요 아고산 침엽수림 내 출현 치수 변화 86

표 3-1-3. 제2차 멸종위기 고산지역 침엽수종 보전ㆍ복원 대책(2022~2026, 산림청) 94

표 3-2-1. 식물종별 총 관측 수 103

표 3-2-2. 식물종별 온도 민감도 113

표 3-2-3. 식물계절(개엽, 개화, 단풍) 변화 연구 결과 113

표 3-2-4. 장기적 식물계절 변화 연구 결과 114

표 3-3-1. 플럭스 관측대상지 우점수종과 임령 현황 133

표 3-3-2. 관측대상지별 연간 순생태계교환량(-: 흡수, +: 배출) 135

표 3-3-3. 주요 생장 기간(5~8월) 내 GPP와 RE의 설명변수 중요도 순서 142

표 3-3-4. 현장조사를 통한 산림탄소흡수능력 평가 사례 147

표 3-3-5. 플럭스 관측을 통한 산림탄소흡수능력 평가 사례 148

표 3-3-6. 위성영상 이용 산림탄소흡수능력 추정 149

표 3-3-7. 통계적 접근 및 생태계모형을 통한 산림탄소흡수능력 추정 150

표 3-3-8. 산림탄소흡수능력 평가 연구결과 현황 151

표 3-4-1. 수자원 장기 전망 관련 주요 연구 157

표 3-4-2. 산림수문분야 기후변화 영향평가 지표 159

표 3-4-3. 평가에 활용된 산림수자원 유역시험지 현황 및 강우-유출 특성 161

표 3-4-4. 기후변화 영향평가 지표별 범위(2012~2021) 164

표 3-4-5. 기후변화 영향평가 지표에 따른 시기별 평균 및 표준편차 비교 167

표 4-5-1. 연도별 표고톱밥배지 수입량 191

표 4-5-2. 연도별 조사 지역별 버섯 생산 기간 192

표 4-5-3. 노지 조사구별 버섯 생산량 192

표 4-5-4. 노지 조사구별 버섯 생중량 193

표 4-5-5. 노지 조사구별 버섯 갓직경 193

표 4-5-6. 연도별 표고버섯 재배피해 193

표 4-5-7. 연도별 표고 원목재배 재해피해 현황 195

표 4-5-8. 2018~2021년 표고 주산지 현황 198

표 4-6-1. 산림과수 공시수종 및 조사 지역 202

표 4-6-2. 밤나무 개엽 특성(2019~2022년) 203

표 4-6-3. 밤나무 개화 특성(2019~2022년) 203

표 4-6-4. 밤나무 과실품질 및 본당 수확량(2019~2022년) 204

표 4-6-5. 호두나무 개엽 특성(2019~2022년) 205

표 4-6-6. 호두나무 개화 특성(2019~2022년) 205

표 4-6-7. 호두나무 과실품질 및 본당 수확량(2019~2022년) 205

표 4-6-8. 떫은감나무 개엽 특성(2019~2022년) 206

표 4-6-9. 떫은감나무 개화 특성(2019~2022년) 207

표 4-6-10. 떫은감나무 과실품질 및 본당 수확량(2019~2022년) 207

표 4-6-11. 대추나무 개엽 특성(2019~2022년) 208

표 4-6-12. 대추나무 개화 특성(2019~2022년) 208

표 4-6-13. 대추나무 과실품질 및 본당 수확량(2019~2022년) 208

표 4-6-14. 최근 5년간(2018~2022년) 산림과수 등 소득품목 재해 현황 209

표 4-6-15. 조사지 이상기상 이벤트 발생 현황(2019~2022년) 210

표 4-6-16. 떫은감나무 영암 지역 본당 수확량(2019~2022년) 210

표 4-6-17. 호두나무 무주 지역 본당 수확량(2019~2022년) 210

표 4-6-18. 수종별 생육과 기상요소 간의 상관분석(2019~2022년) 214

표 4-7-1.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천궁의 엽록소 및 카로테노이드 함량 변화 222

표 4-8-1. 하동 및 진주 지역 고로쇠나무 수액 출수시작일, 출수종료일, 출수 기간 및 누적평균출수량(ℓ/그루) 233

표 4-8-2. 하동 및 진주 지역 고로쇠나무 수액 출수 기간 중 기후량 요약 233

표 4-8-3. 하동 지역 고로쇠나무 수액 출수량(일평균출수량이 0.3ℓ 이상)과 기상요소 사이의 상관관계 234

표 4-8-4. 진주 지역 고로쇠나무 수액 출수량(일평균출수량이 0.3ℓ 이상)과 기상요소 사이의 상관관계 234

표 5-9-1. 산불 위험지수 및 기후인자의 현재 수준 대비 증가율 253

표 5-9-2. SSP1-2.6, SSP2-4.5, SSP3-7.0, SSP5-8.5 시나리오에 따라 한반도 산불 위험도의 변화 254

표 5-9-3. RCP 2.6, RCP 4.5, RCP 6.0, RCP 8.5 시나리오에 따라 한반도 산불 위험도의 변화 255

표 5-9-4. 산불관련 숲 가꾸기 적정 본수 제안 261

표 5-10-1. 2018~2022년간 산사태 피해 면적과 발생 건수의 변화 269

표 5-10-2. 주성분인자를 활용한 다변량 회귀모형 분석 결과 272

표 5-10-3. SSP 시나리오에 따른 기간별 산사태 피해 면적 변화 273

표 5-11-1. 최근 5년(2018~2022)간 지역별 북방수염하늘소 우화 289

표 5-11-2. 최근 5년(2018~2022)간 지역별 솔수염하늘소 우화 상황 289

표 5-11-3. 연도별ㆍ도별 솔잎혹파리 충영형성률 293

표 5-11-4. 전국 일반병해충 발생 현황(2013~2022) 295

표 6-12-1. 북부식물과 남부식물 전체, 생육형(초본, 관목, 교목)에 대한 증가 및 감소 식물종의 비율 분포. 시나리오별 최종 시기(2071-2100)에 대한 차이를 나타냈다.... 317

표 6-13-1. 기후변화 모델별 개미의 각 종의 변화율 +: 종의 증가, -: 종의 감소 336

표 6-13-2. 기후변화 모델별 거미의 각 종의 변화율 +: 종의 증가, -: 종의 감소 336

표 6-13-3. 기후변화 모델별 딱정벌레의 각 종의 변화율 +: 종의 증가, -: 종의 감소 337

표 6-13-4. 한국의 나비 출현빈도 340

표 6-14-1. 백두대간에서 관찰된 산림성 조류의 종수 및 관찰밀도 352

표 6-14-2. 백두대간에서 관찰된 산림성 조류의 종 다양도 지수(H') 352

표 6-14-3. 백두대간에서 관찰된 산림성 조류의 이동성 353

표 6-14-4. 번식기에 백두대간에서 관찰된 산림성 조류의 영소 길드 354

표 6-14-5. 백두대간에서 관찰된 산림성 조류의 채이 길드 355

표 6-14-6. 백두대간에서 서식이 확인된 산림성 포유류의 종수 및 흔적밀도, 촬영 수 356

표 6-14-7. 백두대간과 한라산에서 무인 센서 카메라를 통해 서식이 확인된 산림성 포유류의 주ㆍ야간별 종수 및 촬영 수 357

표 6-14-8. 오대산과 속리산, 한라산에서 무인 센서 카메라를 통해 서식이 확인된 꽃사슴과 붉은사슴의 촬영 수 357

표 6-14-9. 속리산과 한라산에서 각각 무인 센서 카메라를 통해 서식이 확인된 꽃사슴과 붉은사슴의 계절별 촬영 수 358

표 6-14-10. 백두대간에서 산림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면적 및 피해액 358

표 6-14-11. 기후인자와 산림성 포유류의 관계(일반화된 선형 혼합 모델;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361

표 6-14-12. 기후인자와 꽃사슴의 관계(일반화된 선형 혼합 모델;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362

그림 1-1. 지구표면 평균기온 변화 14

그림 1-2. 2022년 연평균기온(좌) 및 평년편차 분포도 15

그림 1-3. 산악기상관측망 구성도 17

그림 1-4. 산악기상관측시설(좌)과 전국 분포도 17

그림 1-5. 산림지역 기상특성 분석을 위해 선정된 산악기상관측망(빨간색) 18

그림 1-6.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과정 21

그림 1-7.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일 평균기온과 평년값의 차이(빨간색: +, 파란색: -) 22

그림 1-8.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일 최고기온과 평년값의 차이(빨간색: +, 파란색: -) 22

그림 1-9.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일 최저기온과 평년값의 차이(빨간색: +, 파란색: -) 22

그림 1-10.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월 평균기온과 평년값의 차이(빨간색: +, 파란색: -) 24

그림 1-11.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월 최고기온과 평년값의 차이(빨간색: +, 파란색: -) 24

그림 1-12.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월 최저기온과 평년값의 차이(빨간색: +, 파란색: -) 24

그림 1-13. 2018년부터 2022년의 월 평균 및 평년 강우량 26

그림 1-14.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월 강우량과 평년값 간의 차이 26

그림 1-15.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 평균기온 분포도 예시(좌)와 임상도(우) 27

그림 1-16. 평년(1981~2010년)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분포도 28

그림 1-17. SSP1-2.6 시나리오 기준 행정구역별 산림지역에 대한 연대별 평균기온(가)과 평균 최고기온(나), 평균 최저기온(다)의 변화 30

그림 1-18. 평년 평균기온과 SSP1-2.6 시나리오 기준 연대별 평균기온의 차 33

그림 1-19. 평년 최고기온과 SSP1-2.6 시나리오 기준 연대별 평균 최고기온의 차 34

그림 1-20. 평년 최고기온과 SSP1-2.6 시나리오 기준 연대별 평균 최저기온의 차 35

그림 1-21. SSP1-2.6 시나리오 기준 행정구역별 산림지역의 연대별 강수량 36

그림 1-22. 평년 강수량과 SSP1-2.6 시나리오 기준 연대별 강수량의 차 37

그림 1-23. SSP5-8.5 시나리오 기준 행정구역별 산림지역에 대한 연대별 평균기온(가)과 평균 최고기온(나), 평균 최저기온(다)의 변화 39

그림 1-24. 평년 평균기온과 SSP5-8.5 시나리오 기준 연대별 평균기온의 차 42

그림 1-25. 평년 최고기온과 SSP5-8.5 시나리오 기준 연대별 평균 최고기온의 차 43

그림 1-26. 평년 최저기온과 SSP5-8.5 시나리오 기준 연대별 평균 최저기온의 차 44

그림 1-27. SSP5-8.5 시나리오 기준 행정구역별 산림지역의 연대별 강수량 45

그림 1-28. 평년 강수량과 SSP5-8.5 시나리오 기준 연대별 강수량의 차 46

그림 2-1.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의 고정표본점(a) 및 중앙부표본점의 구조(b) 53

그림 2-2. 임상도 제작 연혁(1972~현재) 54

그림 2-3. 우리나라 연도별 연간 산림 감소면적 55

그림 2-4. 임상별 산림면적 비율 56

그림 2-5. 영급별 산림면적 비율 56

그림 2-6. 임목축적 및 ha당 입목축적 57

그림 2-7. 연평균 순생장량 및 생장률 57

그림 2-8. 시간 경과에 따른 수종별 산림면적 변화 57

그림 2-9. 지역별 임분 상층의 소나무류 중요치 감소 현황(Class1~Class3) 58

그림 2-10. NFI 표본점의 10년 동안 주요 난대수종의 분포 변화 59

그림 2-11. 전국 산림의 임상(좌)과 영급분포(우) 현황 60

그림 2-12. 평균기온 상승에 따른 산림기후대 변화 예측 61

그림 2-13. 잣나무(정준모 등, 2015)와 소나무(최고미 등, 2014)의 직경생장 예측 63

그림 2-14. 산림부문 통합수급모델에 의한 영급별 면적비율 및 임목축적 변수의 전망 67

그림 2-15. 임상변화와 기후요소와의 관계 67

그림 2-16. RCP 8.5 시나리오에 따른 임상변화 분포 변화 전망 68

그림 2-17.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연도별 연륜생장지수 변화 비교(국립산림과학원, 2014) 68

그림 2-18. 기후변화에 따른 수종별 분포 변화 예측(국립산림과학원, 2014) 69

그림 2-19. 시간에 따른 기상 설명변수들의 잣나무 종자생산량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표준화된 회귀계수) 비교 그림. 진녹색 막대그래프는 월평균 강수량, 연두색은 월 일조시간을 의미 70

그림 2-20. Changes in 15 potential forest types from 1953-1982 to 2081-2100 within the Fagus crenata forested range at a 1㎢ spatial resolution 75

그림 2-21. 임목의 생장(흉고단면적) 변화 예측. Changes are projected under SSP1-2.6 (a-c) and SSP5-8.5 (d-f) cmIP6 climate scenarios for different periods: 2020-2050... 76

그림 2-22. 수종별 분포현황 및 시나리오에 따른 분포 변화: a) FIA estimate of current distribution of abundance, b) modeled current distribution, c) CCSM45, d) CCSM85,... 77

그림 2-23. 4개 수종에 관한 기후인자와 연륜폭 지수와의 관계(Stern et al., 2023) 78

그림 3-1-1. 기후변화 취약 산림생태계 기후변화 영향평가 체계 81

그림 3-1-2. 쇠퇴도 변화 경향 83

그림 3-1-3. 수종별 위도(좌) 및 기후변화 압력(우)에 따른 쇠퇴도 83

그림 3-1-4. 지역별 주요 아고산 상록침엽수종의 흉고직경급 분포도 84

그림 3-1-5. 쇠퇴도와 치수 출현빈도 변화의 관계(Park et al., 2022) 86

그림 3-1-6. 고산 침엽수종 출현대상지('17~'18, 산림청) 87

그림 3-1-7. 발아, 활착, 생존 단계 구분 88

그림 3-1-8. 시기별 누적 고사량 88

그림 3-1-9. 화분 내 토양 온도(위)와 토양 수분 함량(아래) 88

그림 3-1-10. 구상나무(a), 소나무(b), 졸참나무(c)의 순광합성율(Pn) 변화 89

그림 3-1-11. 구상나무(a), 소나무(b), 졸참나무(c)의 탄소고정효율 변화 89

그림 3-1-12. 광환경 조절 및 가뭄 처리에 따른 어린 구상나무의 광합성율 변화 특성 90

그림 3-1-13. 지상부 생장과 기상요소 간 Spearman 상관 계수 90

그림 3-1-14. 아고산 침엽수종별 현재 기후 조건에서의 잠재 생육 가능 지역 91

그림 3-1-15. 아고산 침엽수종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현재 대비 미래 잠재 생육 가능 면적변화율 93

그림 3-2-1. 2009~2021년까지 각 지역 수목원 별 주요식물계절(개엽, 개화, 비산, 단풍시기)의 시계열 변화(y축: ODY) 105

그림 3-2-2. 각 수목원(도별) 단위에서 나타난 봄 식물계절(개엽과 개화)의 시계열 변화 106

그림 3-2-3. 각 수목원(도별)에서 나타난 비산과 단풍의 시계열 변화 107

그림 3-2-4. 주요 식물계절과 주요 환경변수(기온, 적산온도, 강수량)의 상관관계 108

그림 3-2-5. 식물계절 현상과 환경변수(봄과 가을 평균기온)와의 관계 109

그림 3-2-6. 식물계절 현상과 환경변수(겨울철 적산온도, 개엽일)와의 관계 110

그림 3-2-7. 식물계절 현상과 환경변수(겨울 및 여름 강수량)와의 관계 111

그림 3-2-8. 주요 식물계절의 온도에 대한 민감도 차이 112

그림 3-2-9. 2003~2022년 개엽 시기 변화 115

그림 3-2-10. 2003~2022년 낙엽 시기 변화 115

그림 3-2-11. 개엽 시기, 낙엽 시기, 생장 기간 변화 추세 116

그림 3-2-12. 행정구역별, 기후대별, 임상별 개엽 시기 변화 추세 116

그림 3-2-13. 식물 계절(개엽 시기) 변화의 지역적 차이 비교 117

그림 3-2-14. 행정구역별, 기후대별, 임상별 낙엽 시기 변화 추세 117

그림 3-2-15. 식물 계절(낙엽 시기) 변화의 지역적 차이 비교 118

그림 3-2-16. 개엽 시기에 영향을 주는 기상변수 중요도 평가 119

그림 3-2-17. 복합적 기상요인에 따른 개엽 시기 변화 120

그림 3-2-18. 낙엽 시기에 영향을 주는 기상변수 중요도 평가 121

그림 3-2-19. 복합적 기상요인에 따른 낙엽 시기 변화 121

그림 3-3-1. 국립산림과학원 플럭스 관측망 현황 134

그림 3-3-2. 각 관측지의 월별 순생태계교환량(NEE) 변화(-: 흡수, +: 배출) 135

그림 3-3-3. 플럭스 관측지별 NEE, GPP, RE의 시계열적 변동 특성 136

그림 3-3-4. 연광합성량과 연호흡량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 140

그림 3-3-5. 월별 GPP, RE, NEP 변화 추세 141

그림 3-3-6. 생태계생산성 모형 주요 입력자료 현황 143

그림 3-3-7. 기계학습법과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추정한 2020년의 산림 GPP, NEE, NPP 분포 143

그림 3-4-1.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산림수자원 유역시험지 분포 162

그림 3-4-2. 기후변화 영향평가 지표별 경년 변화 분석(2011~2021) 164

그림 3-4-3. 산림수문 장기 예측 모델 구조(산림물지도 연계구조) 169

그림 3-4-4. Monte Carlo Simulation 및 Nash & Sutcliffe Model Efficiency를 이용한 산림수문 장기 예측 모델 파라미터 보정 171

그림 3-4-5. 분석에 이용한 SSP 동아시아 시나리오의 공간적 분포 173

그림 3-4-6. 기후변화 시나리오 SSP1-2.6과 SSP5-8.5의 연강수량 장기 변동 경향 추세 분석 174

그림 3-4-7. 기후변화 시나리오 SSP1-2.6에 따른 산림수문 분야 기후변화 영향 지표의 경년 변화 예측 결과(2023~2080) 176

그림 3-4-8. 기후변화 시나리오 SSP5-8.5에 따른 산림수문 분야 기후변화 영향 지표의 경년 변화 예측 결과(2023~2008) 179

그림 3-4-9.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평가 지표의 2010년대 대비 연도별 변화율 분석 182

그림 4-5-1. 연도별 생표고 생산량/생산액 189

그림 4-5-2. 연도별 건표고 생산량/생산액 189

그림 4-5-3. 연도별 지역별 생표고 생산량 189

그림 4-5-4. 연도별 지역별 건표고 생산량 190

그림 4-5-5. 연도별 신선, 건조, 조제표고 수출량 190

그림 4-5-6. 연도별 신선, 건조, 조제표고 수입량 190

그림 4-5-7. 주요 표고 생산 지역의 기온과 일교차 191

그림 4-5-8. 연도별 폭염일수와 강수일수 194

그림 4-5-9. 연간 버섯 생산, 자연재해 및 병해충 발생 194

그림 4-5-10. 장흥1 조사구 기상조건과 버섯 생산과의 관계( R²=0.79, p 〈0.001) 196

그림 4-5-11. 시험지 월평균 기온 변화 199

그림 4-5-12. 시험지 월평균습도 변화 199

그림 4-6-1. 밤 생산량 202

그림 4-6-2. 밤나무 재배면적 202

그림 4-6-3. 호두 생산량 204

그림 4-6-4. 호두나무 재배면적 204

그림 4-6-5. 떫은감 생산량 206

그림 4-6-6. 떫은감나무 재배면적 206

그림 4-6-7. 대추 생산량 207

그림 4-6-8. 대추나무 재배면적 207

그림 4-6-9. 떫은감나무 피해 지역(영암)의 3월, 4월 최저 기온(2019년~2021년) 211

그림 4-6-10. 호두나무 피해 지역(무주)의 3월, 4월 최저 기온(2019년~2021년) 212

그림 4-6-11. 우리나라 연평균기온 분포 변화 216

그림 4-7-1.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참당귀의 서식 적합성 평균 예측도(Jung et al., 2023) 220

그림 4-7-2.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천궁의 생장 특성 221

그림 4-7-3.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천궁의 광합성 특성 변화 222

그림 4-7-4.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천궁의 엽록소 형광지표 변화 223

그림 4-7-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천궁의 광합성 활력지수 변화 223

그림 4-7-6.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천궁의 이미지 형광 변화 224

그림 4-7-7.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천궁의 항산화 활성 및 총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225

그림 4-8-1. 2001~2021년까지 연간 고로쇠수액 생산량 및 생산액(2001~2021 임산물생산조사) 232

그림 4-8-2. 2018~2021 하동 지역과 2019~2022 진주 지역의 일 평균기온, 일 최저기온, 일 최고기온, 일교차에따 른 고로쇠수액 출수량 236

그림 4-8-3. 연구 대상 2개 지역의 출수 기간 중 평균 기온과 출수시작일(좌), 출수종료일(우) 사이의 관계 237

그림 5-9-1. 연도별 산불 발생 및 피해 면적 244

그림 5-9-2. 일자별 누적 산불건수(2012~2022년) 244

그림 5-9-3. 산불조심기간 중 일별 산불위험지수 분포 및 산불 발생 건수 245

그림 5-9-4. 봄철 산불위험 지수 246

그림 5-9-5. 전국단위 날짜별 산불위험지수 변화 분석 246

그림 5-9-6. 주요 국가별 산불 발생 건수 당 피해 면적 247

그림 5-9-7. 주요 기상요소 분석 결과 248

그림 5-9-8. 연대별 산불 발생 건수 및 피해 면적 248

그림 5-9-9. 일평균산불 발생 건수, 다발일수, 대형 산불 발생 건수 249

그림 5-9-10. 연대별 평균 산불 발생일수 249

그림 5-9-11. HAPPI 시나리오별 가뭄지수 증가값 비교.(좌) 1.5°C, (우) 2.0°C 250

그림 5-9-12. HAPPI 시나리오별 산불위험지수 증가값 비교.(좌) 1.5°C, (우) 2.0°C 251

그림 5-9-13. a-d. 계절별(a,b. 겨울, c,d. 봄) 및 시나리오별 (a,c 1.5°C, b,d 2.0°C상승) 동아시아 지역 위험지수 변화. e-i. 연평균 및 계절별 위험지수 90% 이상... 252

그림 5-9-14. 우리나라 HAPPI 시나리오 5개 모델 결과 253

그림 5-9-15. 주요 시나리오에 따른 한반도 산불 위험도(KBDI) 변화 분석 254

그림 5-9-16. SSP 시나리오 산불 위험도 변화 분석 결과 254

그림 5-9-17. RCP 시나리오 산불 위험도 변화 분석 결과 255

그림 5-9-18. UNEP 산불 위험도 변화 분석 결과 256

그림 5-9-19.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산불 연료량 예측 결과 257

그림 5-9-20. 연료 및 건조지역 변화 분석 결과(UNEP, 2022) 258

그림 5-9-21.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적 산불관리 방안 260

그림 5-9-22. 산림연료관리 적정 시기(좌) 및 숲가꾸기에 따른 시뮬레이션 효과(우) 261

그림 5-10-1. 연도별 국외 산지토사재해 보도 건수 266

그림 5-10-2. 언론보도로 확인된 국외 산지토사재해의 대륙권별 발생 비율 267

그림 5-10-3. 언론보도로 확인된 국외 산지토사재해의 원인별 발생 비율 267

그림 5-10-4. 대륙권별 산지토사재해 월평균 발생경향 267

그림 5-10-5. 2012~2021년간 산림면적의 변화 및 산림전용면적 추이 268

그림 5-10-6. 2013~2022년 간 산불 피해 면적과 피해 건수의 변화 269

그림 5-10-7. 2018~2022년간 산사태 피해 면적과 발생 건수의 변화 269

그림 5-10-8. 2018~2022년간 강우 특성의 변화 270

그림 5-10-9. 2018~2022년간 광역시도별 산사태 피해 면적 비율 271

그림 5-10-10. SSP1-2.6 시나리오에 대한 산사태 발생면적 변화 경향 272

그림 5-10-11. SSP5-8.5 시나리오에 대한 산사태 발생면적 변화 경향 273

그림 5-10-12. SSP 시나리오에 따른 기간별 산사태 피해 면적 변화(1981~2010년 수치는 실제 산사태 피해 면적임) 273

그림 5-10-13/그림 5-10-15. SSP1-2.6 시나리오 내 2030~2100년 간 예측 강우 특성 275

그림 5-10-14/그림 5-10-16. SSP5-8.5 시나리오 내 2030~2100년 간 예측 강우 특성 276

그림 5-10-15. 기후변화에 따른 강원지역 산사태 위험도 변화(Kim 등, 2015) 277

그림 5-10-16. 기후변화에 따른 경기지역 산사태 위험도 변화(Park과 Lee 2021) 278

그림 5-10-17. 기후변화에 따른 극값변화를 반영한 강원 인제 지역 산사태 발생재현빈도(Kim 등, 2021) 279

그림 5-10-18. 기후변화와 산림관리인자를 반영한 우리나라 산사태 위험도 변화(Lim and Kim 2022) 280

그림 5-10-19. 기후변화에 따른 중국 산사태 위험도 변화(Lin 등, 2022) 281

그림 5-10-20. 기후변화에 따른 브리티시 컬림비아 지역 산사태 위험도 변화(Sobie 2020) 282

그림 5-10-21. 기후변화에 따른 벤쿠버 지역의 산사태 재현빈도 변화(Jakob과 Owen 2021) 283

그림 5-11-1. 1~4월 평균기온에 따른 매개충 우화최성기 290

그림 5-11-2. 연도별ㆍ지역별 광릉긴나무좀 활동 상황 291

그림 5-11-3. 1~4월 평균기온에 따른 광릉긴나무좀 활동최성기(2018~2022) 292

그림 5-11-4. 솔잎혹파리 연도별 전국 고정조사지 충영형성률 변동 293

그림 5-11-5. 미국흰불나방의 연도별 전국 고정조사지 피해율 변동 294

그림 5-11-6. 연도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고사목 발생본수 295

그림 5-11-7. 주요 일반병해충(솔잎혹파리, 솔껍질깍지벌레, 참나무시들음병) 발생 면적 대비 기타산림병해충 발생 비율 변동 296

그림 5-11-8. 기후변화가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 분석(Ikegami와 Jenkins, 2018) 298

그림 5-11-9. 기후변화에 의한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취약 지역 면적 증가(Hairta 등, 2017) 298

그림 5-11-10. 기후 변화에 의한 우리나라 소나무재선충병 신규발생 위험 변화(Lee 등, 2021) 299

그림 5-11-11. 기후 변화에 의한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위험 지역 변화(Yoon 등, 2023) 299

그림 5-11-12. 소나무재선충 매개충 분포 조사 결과(2020~2022) 302

그림 6-12-1. 생물종 분포 경계의 위치에 대한 기후 영향. 기후는 다른 제한 요인(오른쪽 화살표)과 마찬가지로 생물종 분포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다(예: 생리 및 생애사 반응,... 311

그림 6-12-2. Lenoir and Svenning(2015)은 절멸을 제외한 생물종의 분포 범위 이동 양상을 충돌(crash), 기울어짐(lean), 확장(expand), 수축(retract), 행진(march)의... 312

그림 6-12-3. 현재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환경 요인의 변화 양상. 종분포 모델링에 활용한 27개 환경 요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예상과 달리 지속 성장 경로인... 313

그림 6-12-4. 북부식물 93종을 활용한 현재와 시나리오에 따른 종풍부도 분포도(SR). 종풍부도는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정규화하였고, 0에서 1사이의 값을 나타낸다.... 314

그림 6-12-5. 남부식물 90종을 활용한 현재와 시나리오에 따른 종풍부도 분포도(SR).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종풍부도는 정규화하였고, 0에서 1사이의 값을 나타낸다.... 315

그림 6-12-6. 북부식물 93종과 남부식물 90종을 활용한 현재와 시나리오에 따른 종풍부도 분포도(SR). △SR은 시나리오의 최종 시기(2071-2100)와 현재(Current)의... 315

그림 6-12-7. 현재와 시나리오에 따른 북부식물과 남부식물의 분포 이동 양상.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해발고도(m) 경사에 대하여 모델을 통해 구성된 식물의... 316

그림 6-12-8. 시나리오에 따른 북부식물의 민감성과 분포 면적 변화. 기후변화에 대한 식물의 민감성은 Range change index를 이용하였다(Pélissié et al., 2022).... 318

그림 6-12-9. 시나리오에 따른 남부식물의 민감성과 분포 면적 변화. 기후변화에 대한 식물의 민감성은 Pélissié et al.(2022)의 Range change index를 이용하였다.... 318

그림 6-12-10. 현재(Current, A)와 시나리오의 최종 시기(2071-2100)(B, C, D)에 대한 183개 식물종(북부식물 93종, 남부식물 90종) 간의 지위 중첩(Schoener's D) 양상.... 319

그림 6-12-11. 현재(Current)와 시나리오의 최종 시기에서 3가지 식물 유형(북부식물, 북부식물-남부식물, 남부식물) 내의 지위 중첩(Schoener's D) 세기의 변화. 북부식물은... 320

그림 6-13-1. 딱정벌레, 거미, 개미의 조사지 335

그림 6-13-2. 나비의 북방계 종의 남방한계선과 남방계 종의 북방한계선의 변화 338

그림 6-13-3. 조사시기에 따른 온도 변화 339

그림 6-14-1. 무인 센서 카메라에 촬영된 꽃사슴(좌)과 붉은사슴(우) 357

그림 6-14-2. 기후인자와 번식기 산림성 조류의 관계(선형모델; Linear model) 359

그림 6-14-3. 기후인자와 번식기 산림성 조류 이동성의 관계(선형모델; Linear model) 360

그림 6-15-1. 생물침입에 대한 지구 차원의 변화 영향과 침입종으로부터 지구 변화에 대한 상호작용. 지구 변화의 다양한 요소는 입침외래종의 성공과 확산에 영향을 준다.... 367

그림 6-15-2. 우리나라 침입외래식물의 식물종 발생 위치 분포도. 연안에서 고해발 지대, 하천에서 산지 능선과 정상부를 포함한 모든 입지 환경에서 외래식물이 생육하고 있다.... 368

그림 6-15-3. 국내 침입외래식물 195분류군의 분포 자료를 활용한 현재(Curernt)와 시나리오(SSP1-2.6, SSP3-7.0, SSP5-8.5)에 따른 종풍부도 분포도(SR). 종풍부도는... 370

그림 6-15-4. 현재와 시나리오에 따른 침입외래식물의 분포 이동 양상.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해발고도 경사에 대하여 모델을 통해 구성된 식물의 분포범위... 371

그림 6-15-5. 시나리오에 따른 침입외래식물의 민감성과 분포 면적 변화. 외래식물의 민감성은 Range change index를 이용하였다(Pélissié et al. 2022). 양의 값은... 371

사진 6-15-1. 경기도 고양시 창릉천의 친수공간을 따라 형성된 단풍잎돼지풀 우점 식생의 모습. 우리나라의 침입외래식물은 관리 강도가 높은 도시와 농촌 식생(공원과 가로수),... 372

표 부록-1. 위성자료 기반 총일차생산량 기계학습 모형 개념도 400

표 부록-2. 표고 기후변화 영향 실태 조사지 401

표 부록-3. 수종별 개엽 및 개화 단계 구분 404

그림 부록-1. 아고산 침엽수 7종의 국내 출현 정보 391

그림 부록-2. 위성자료 기반 총일차생산량 기계학습 모형 개념도 398

그림 부록-3. 기계학습 모델 이용 광릉 플럭스사이트 총일차생산량 예측 399

그림 부록-4. 표고 기후변화 영향 실태 조사지 402

그림 부록-5. 조사구에서 기상자료 및 버섯생산 자료 수집 402

그림 부록-6. 하동 지역(좌) 및 진주 지역(우) 출수량 조사 방법 40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83819 634.9 -24-8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83820 634.9 -24-8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