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제1장 재일조선인의 생활과 역사
1. 재일조선인 운동사 연구의 필요성
2. 재일조선인에 관한 연구
3. 재일조선인의 생활과 역사

제2장 민족독립운동의 신호탄 : 1910년대
1. 1910년대 조선과 일본
2. 재일조선인의 형성
3. 재일조선인에 대한 규제
4. 민족자결의 원칙에 입각하여

제3장 민족독립운동의 고양 : 1920년대
1. 1920년대의 조선과 일본
2. 도항·생활상황
3. 사상 단체·노동 단체의 결성
4. 민족적·계급적 투쟁의 고양
5. 조선·일본 인민의 연대에 대해서

제4장 침략전쟁에 저항하여 : 1930년대
1. 1930년대의 조선과 일본
2. 조선인의 도항과 생활상황
3. 조선노총의 일본 노동조합전국협의회(전협)으로의 해소
4. 반제 · 반전운동의 선두에 서서(1930년대 전반)
5. 광범위한 민족전선을 지향하며(1930년대 후반)

제5장 태평양 전쟁 하의 저항 : 1940년대 전반
1. 1940년대 전반기의 일본과 조선
2. 전시하에 혹사당한 재일조선인
3. 민족해방을 지향하며

제6장 맺음말

〈부록 1〉 재일조선인 단체 조직표(1930년대 전반)
〈부록 2〉 재일조선인 활동가 희생자 약전
저자 후기

이용현황보기

재일조선인 운동사 : 8·15 해방 전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83107 325.2510953 -24-6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083108 325.2510953 -24-6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테마코너
(자료실내 이용)
B000099486 325.2510953 -24-6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재일조선인은
어떠한 주체성을 가지고 살아야하는가?


재일조선인을 올바르게 파악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본 속의 차별과 억압 속에서 8·15 이전, 이후의 60여 년간에 걸친 인권과 민주주의, 민족독립, 민족통일을 위해 싸워 왔던 역사적 과정을 알아야만 하며 또 이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러나 일본 사회에서 지금까지 이러한 점은 대부분 등한시되어 온 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또한 재일조선인 운동 자체에서도 재검토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이다.
현재 국내외를 둘러싼 정치적 제 조건은 변화하고 있는데 재일조선인은 실로 과거의 역사적 관련의 연장선상에 위치해 있어서 재일조선인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또 그들을 어떻게 파악하고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는 민족통일의 과업 달성 및 조선과 일본 양국가·양국 인민의 우호관계 수립의 시금석이기도 하다.
- 머리말 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