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제1장 서론 19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20
1. 연구 배경 20
2. 연구 필요성 23
제2절 연구 목표 및 내용 24
제3절 연구방법론 26
제2장「新성장 4.0 전략」 정책 분석 28
제1절 「新성장 4.0 전략」 개요 및 분석 29
1. 성장동력의 개념 29
2. 新성장 4.0 전략의 추진 개요 33
3. 新성장 4.0 전략의 추진 내용 37
제2절 역대 정부 혁신성장전략 분석 및 비교 56
1. 노무현 정부의 '차세대성장동력' 56
2. 이명박 정부의 '차세대성장동력' 76
3. 박근혜 정부의 '미래성장동력' 95
4. 문재인 정부의 '미래성장동력' 107
제3절 해외 혁신성장전략 분석 및 비교 123
1. 미국의 혁신전략 123
2. 독일의 혁신전략 140
3. 프랑스의 혁신전략 165
제4절 시사점 및 소결 191
1. 新성장 4.0 전략 및 역대 정부 혁신성장전략 191
2. 해외 혁신성장전략 분석 및 비교 196
제3장 정부R&D 지원동향 및 투자효과성 분석 198
제1절 정부R&D 지원 주요 기술분야 199
1. 이명박 정부 199
2. 박근혜 정부 205
3. 문재인 정부 211
제2절 기술분야별 정부R&D 사업 및 투자동향 분석 214
제3절 기술분야별 정부R&D 사업성과 현황 및 투자 효과성 분석 227
1. 투자 효과성 분석을 위한 선행연구 검토 및 변수 구성 227
2. 분위수 선형 회귀분석을 통한 투자 효과성 분석 238
제4절 윤석열 정부 신성장 4.0 전략 R&D 사업 포트폴리오 244
제5절 시사점 및 소결 250
제4장 산ㆍ학ㆍ연 전문가 인식 조사 252
제1절 조사 목적 및 대상 253
1. 조사 배경 및 목적 253
2. 조사 설계 253
3. 조사 내용 254
4. 척도에 관한 설명 258
5. 응답자 특성 259
제2절 인식조사 개요 및 결과 260
1. 전체 응답자 특성(307명 Respondent 기준) 260
2. 전문분야 및 업무분야 응답 특성(461개 Response 기준) 260
3. 산업경쟁력 261
4. 시장수요 262
5. 잠재력 263
6. 공공성 264
7. 수명주기 265
8. 기초 기술분야 파급효과 266
9. 지역 파급효과 267
10. 중소기업 육성효과 268
11. 일자리 창출효과 269
12. 정부지원 유형(1순위) 270
제3절 기술별 수준 및 정부 지원방안 분석 271
1. 기술별 수준 271
2. 정부지원 방안 280
3. 민관협력 방안 285
제4절 AHP 조사 및 분석 개요 290
제5절 AHP 결과 분석 293
1. AHP 분석 배경 및 목적 293
2. AHP 결과 분석 297
3. AHP 가중치 유사 군집 분석 309
제6절 시사점 및 소결 316
제5장 「新성장 4.0」 지원전략 수립 318
제1절 신성장 특성화 지표 개발 319
1. 산업 상황을 고려한 투자 우선순위 특성화 지표 개발 319
2. 신성장 분야별 특성화 지표 분석 320
3. 기술 분야별 특성화 지표 분석 323
제2절 신성장 4.0 전략 정부지원 공백영역 도출 328
제3절 fs/QCA 결과 및 지원전략(안) 도출 332
제4절 시사점 및 소결 340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342
제1절 연구결과 요약 343
제2절 한계 및 향후과제 351
참고문헌 352
[부록] 360
2023년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 361
설문지 369
판권기 2
[그림 1-1] 민간 성장기여율 추이 20
[그림 1-2] 주요국 경제성장률 비교 20
[그림 2-1] 10대 차세대성장동력사업의 중점단계 30
[그림 2-2]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 방안 인포그래픽 46
[그림 2-3] 국가전략기술 임무중심 전략로드맵(예. 반도체) 53
[그림 2-4] 혁신성장펀드 운영방안 54
[그림 2-5] 2003년까지의 잠재성장률 56
[그림 2-6] 10대 차세대성장동력 산업 분야 58
[그림 2-7] 기술성숙도와 국내역량에 따른 민관역할 전략 64
[그림 2-8] 정부와 민간의 전략적 역할분담 64
[그림 2-9] 차세대성장동력 추진을 위한 정부 조직 간 관계도 66
[그림 2-10] 차세대성장동력 추진체계 68
[그림 2-11] 신성장동력 기능별 지원 81
[그림 2-12] 신성장동력 기술전략지도 추진 예시 82
[그림 2-13] 신성장동력 핵심기술 관련 중소기업형 실용화ㆍ제품화 R&D 지원 84
[그림 2-14] 녹생성장과 신성장동력 육성 정책의 관계 89
[그림 2-15] 미래성장동력 추진방향 95
[그림 2-16] 9대 전략산업(Gorwth Engine)ㆍ4대 기반산업(Platform) 96
[그림 2-17] 미리성장동력의 성장동력화 수준과 추진주체를 고려한 유형구분 98
[그림 2-18] 미래성장동력 융합산업 생태계 예시(시스템 SW-네트워크 기술) 99
[그림 2-19] 혁신성장동력 추진방향 108
[그림 2-20] 미국 연방정부와 민간의 R&D 규모 추이 124
[그림 2-21] 미국 제조업 취업자수 추이(1939~2022년) 126
[그림 2-22] 글로벌 기업의 미국 투자 진출 확대(2021-2022.5월) 138
[그림 2-23] 산업 부가가치의 GDP 대비 비중 변화: 국제 비교 166
[그림 2-24] 직간접 조세 비중(GDP 대비 비중, 2018년) 167
[그림 2-25] 기업의 국내 고용 대비 해외 자회사의 고용 비중 국별 비교(제조업) 167
[그림 2-26] 기업 지원 수단별 비중: 경제 전체와 제조업 168
[그림 2-27] (신)자유주의 국제경제질서에서 보호주의로 이행 190
[그림 2-28] 성장동력 정책별 연계 도식 192
[그림 2-29] 신성장전략에 연계된 기술ㆍ산업 193
[그림 3-1] 분석자료 처리 절차 도식도 233
[그림 3-2] 분위수 손실함수 및 제곱 손실함수 목표값 예시 238
[그림 3-3] 기술별 '18-'23년 예산 연평균 증가율 244
[그림 4-1] 신기술 분야 기술별 수준 설문조사 결과 274
[그림 4-2] 신일상 분야 기술별 수준 설문조사 결과 275
[그림 4-3] 신시장 분야 기술별 수준 설문조사 결과 276
[그림 4-4] 기술별 산업경쟁력-시장수요 분포도 277
[그림 4-5] 기술별 산업경쟁력-공공성 분포도 278
[그림 4-6] 기술별 산업경쟁력-수명주기 분포도 278
[그림 4-7] 기술별 공공성-시장수요 분포도 279
[그림 4-8] 기술별 시장수요-공공성 분포도 279
[그림 4-9] 기술별 정부지원 유형 분포 281
[그림 4-10] 신기술 분야 정부지원 유형 설문조사 결과 283
[그림 4-11] 신일상 분야 정부지원 유형 설문조사 결과 284
[그림 4-12] 신시장 분야 정부지원 유형 설문조사 결과 284
[그림 4-13] 기술별 민관협력 방안 분포 286
[그림 4-14] 신기술 분야 민관협력 방안 설문조사 결과 288
[그림 4-15] 신일상 분야 민관협력 방안 설문조사 결과 289
[그림 4-16] 신시장 분야 민관협력 방안 설문조사 결과 289
[그림 4-17] 「기술적 효과」 집단별 중요도 가중치 297
[그림 4-18] 「기술적 효과」 내 〈논문〉, 〈특허〉, 〈기술간 연계성〉 집단별 중요도 가중치 298
[그림 4-19] 「경제적 효과」 집단별 중요도 가중치 300
[그림 4-20] 「경제적 효과」 내 〈고용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전후방 산업 파급효과〉 집단별 중요도 가중치 301
[그림 4-21] 「정책적 효과」 집단별 중요도 가중치 303
[그림 4-22] 「정책적 효과」 내 〈정부 R&D 누적 투자액〉, 〈투자 시급성〉, 〈정부 투자 필요성〉 집단별 중요도 가중치 304
[그림 4-23] 경제성 연계 기술성 우선 투자 지원형 군집의 중요도 가중치 309
[그림 4-24] 정책 상위 기술성 투자 지원형 군집의 중요도 가중치 310
[그림 4-25] 기술성 기반 경제성 우선 투자 지원형 군집의 집단별 중요도 가중치 311
[그림 4-26] 극단적 기술성 우선 투자 지원형 군집의 중요도 가중치 312
[그림 5-1] 신기술 분야 특성화 지표 요약 320
[그림 5-2] 신일상 분야 특성화 지표 요약 321
[그림 5-3] 신시장 분야 특성화 지표 요약 322
[그림 5-4] 《기술성 지표》, 《경제성 지표》, 《정책성 지표》 간의 2차원 비교 324
[그림 5-5] 신기술 분야 수요-정책-예산 연계분석 결과 329
[그림 5-6] 신일상 분야 수요-정책-예산 연계분석 결과 330
[그림 5-7] 신산업 분야 수요-정책-예산 연계분석 결과 331
[그림 5-8] 연구모형 33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91233 | 352.745 -24-47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091234 | 352.745 -24-47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13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