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Restful web API patterns and practices cookbook : connecting and orchestrating microservices and distributed data 부록: A. RESTful web API의 가이드 원칙 ; B. 추가 읽을거리 ; C. 관련 표준 외 색인 수록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1장 RESTful Web API의 소개 __RESTful Web API __웹에서 확장 가능한 서비스를 위한 공유 원칙
2장 하이퍼미디어식 사고와 설계 __하이퍼미디어 설계로 기반 구축하기 __하이퍼미디어와 선험적 설계 __하이퍼미디어 클라이언트를 통한 회복탄력성 향상 __하이퍼미디어 서비스를 통한 안정성과 변경 용이성의 증진 __하이퍼미디어는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__분산 데이터의 지원 __하이퍼미디어 워크플로를 통한 확장성 강화 __코레오그래피, 오케스트레이션, 하이퍼미디어 워크플로 __요약
3장 하이퍼미디어 설계 3.1 기존 미디어 타입과의 상호운용성 만들기 3.2 정형 미디어 타입과의 향후 호환성 보장 3.3 게시된 어휘를 통해 도메인 세부 정보 공유하기 3.4 의미 프로필로 문제 공간 기술 3.5 임베디드 하이퍼미디어를 통한 런타임에서의 액션 표현 3.6 멱등성을 통한 일관성 있는 데이터 작성 설계 3.7 서비스 간 상태 전송으로 상호운용성 활성화 3.8 반복 가능한 액션을 위한 설계 3.9 가역 액션을 위한 설계 3.10 확장 가능한 메시지 설계 3.11 수정 가능한 인터페이스 설계
4장 하이퍼미디어 클라이언트 4.1 하드코딩 URL 사용의 제한 4.2 HTTP를 인식하도록 클라이언트 코딩하기 4.3 메시지 중심 수행의 탄력적인 클라이언트 만들기 4.4 어휘 프로필을 이해하기 위한 효율적인 클라이언트 만들기 4.5 런타임 시 프로필 지원을 위한 상호확인 4.6 런타임 시 표현 포맷 관리 4.7 메시지 메타데이터 소스로써의 스키마 도큐먼트 사용 4.8 응답의 모든 중요 요소에는 식별자가 필요하다 4.9 응답에서 하이퍼미디어 컨트롤에의 의존 4.10 비하이퍼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링크와 폼의 지원 4.11 런타임에서 데이터 속성 검증 4.12 전송 메시지의 검증을 위한 도큐먼트 스키마의 사용 4.13 수신 메시지 검증을 위한 도큐먼트 쿼리의 사용 4.14 수신 데이터의 검증 4.15 자체 상태 관리 유지 4.16 목표 설정
5장 하이퍼미디어 서비스 5.1 최소 하나 이상의 고정 URL 게시 5.2 내부 모델 노출 방지 5.3 내부 모델을 외부 메시지로 변환하기 5.4 내부 기능을 외부 액션처럼 표현하기 5.5 클라이언트 응답 설정에 대한 게시 지원 5.6 HTTP의 콘텐츠 상호확인 지원 5.7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위한 전체 어휘 게시 5.8 표준 포맷에 맞는 공유 어휘 지원 5.9 서비스 정의 도큐먼트의 발행 5.10 API 메타데이터의 발행 5.11 서비스 상태 모니터링 지원 5.12 오류 리포트의 표준화 5.13 런타임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통한 서비스의 회복성 개선 5.14 클라이언트 지원 식별자를 통한 처리량 증가 5.15 멱등성 생성을 통한 신뢰성 향상 5.16 종속 서비스에 대한 런타임 대체 제공 5.17 의미적 프록시를 사용한 비규격 서비스로의 액세스
6장 분산 데이터 6.1 내부 데이터 스토리지 은닉 6.2 모든 변경에 멱등성 부여 6.3 외부 액션에 대한 데이터 연관관계 감추기 6.4 HTTP URL을 활용한 Contains 및 AND 쿼리 6.5 쿼리 응답을 위한 메타데이터 반환 6.6 데이터 중심 쿼리를 위한 HTTP 200 VS HTTP 400 6.7 데이터 쿼리를 위한 미디어 타입 사용 6.8 알 수 없는 데이터 필드 무시하기 6.9 캐싱 지시문으로 성능 개선하기 6.10 프로덕션에서의 데이터 모델 수정 6.11 원격 데이터 저장소 확장 6.12 대규모 응답의 제한 6.13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패스 스루의 사용
7장 하이퍼미디어 워크플로 7.1 워크플로 호환 서비스 설계 7.2 워크플로를 위한 공유 상태 지원 7.3 코드로 워크플로 기술하기 7.4 도메인 특화 언어로 워크플로 기술하기 7.5 도큐먼트로 워크플로 기술하기 7.6 RESTful 작업 제어 언어 지원 7.7 워크플로에 대한 진행 상태 리소스의 공개 7.8 관련된 모든 액션의 반환 7.9 가장 최근에 사용된 리소스의 반환 7.10 ‘워크 인 프로그레스’ 상태 유지 작업 지원 7.11 표준 목록 탐색 사용 7.12 부분 양식 제출 지원 7.13 상태 감시를 사용한 클라이언트 중심 워크플로 활성화 7.14 쿼리의 저장 기능으로 쿼리 최적화 수행 7.15 ‘202 Accepted’를 사용한 미완료 작업에 대한 동기식 회신 7.16 자동 재시도를 통한 빠른 오류 대응 7.17 로컬 실행 취소 및 롤백의 지원 7.18 지원 요청 7.19 쿼리와 클러스터로 워크플로 확장하기 7.20 워크플로 프록시로 비규격 서비스 등록하기
8장 마무리 __레시피의 적용 __기존 서비스의 전환 __참조할 수 있는 관련 자료 __다음 단계는?
부록 A RESTful Web API의 가이드 원칙
부록 B 추가 읽을거리
부록 C 관련 표준 __RESTful Web API를 위한 실행 가능한 등록된 미디어 타입 __API 정의 포맷 __의미 프로필 도큐먼트 포맷 __하이퍼미디어 지원 타입
부록 D HyperCLI 사용하기 __Hello Hyper! __다른 정보 __HyperCLI 명령어
이용현황보기
RESTful web API 패턴과 모범 사례 :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API 인터페이스 구축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01393
005.3 -24-9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01394
005.3 -24-9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099177
005.3 -24-9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오픈 웹에서 성공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개별 서비스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축 ◆ 공동의 이해를 공유하는 API 디자인을 통한 상호운용성 증가 ◆ 진화하는 서비스에 적응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구축 ◆ 웹에서 동료 간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API 생성 ◆ 실시간 외부 의존성 관리를 지원하는 웹 기반 API 레지스트리 사용 ◆ 복잡한 다중 서비스 작업을 일관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안정적인 워크플로 구현
◈ 이 책의 대상 독자 ◈
이 책의 주요 독자는 HTTP를 통해 실행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계획, 설계, 구현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이다. 이 업무는 사내 서비스 생산과 소비를 만드는 것과 오픈 웹에서 전 세계 소비자를 위해 확장 가능하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프로그래머의 입장에서는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자체 서버로 로컬에서 솔루션을 호스팅하든 클라우드에서 실행할 소프트웨어를 만들든, 이 책의 레시피는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문제를 예측하고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일련의 복구 기술을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