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장 | 들어가며

제2장 | 개념은 언어문자와 어떤 관계를 가질까요?

제3장 | 한자는 어떤 방식으로 기록될까요?

제4장 | 중국어가 발화되는 순서는 어떠할까요?

제5장 | 고대중국어와 현대중국어는 다를까요
5.1. 문자 차이
5.2. 문법 차이
5.3. 어휘 차이

제6장 | 고대중국어도 시기를 구분할까요
6.1. 문법 기준
6.2. 어휘 기준

제7장 | 고대중국어 문헌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7.1. 전래문헌
7.2. 출토문헌
7.3. 판본비교 시 사용 가능한 문헌

제8장 | 고대중국어에도 품사가 있을까요
8.1. 언어의 품사 분류
8.2. 고대중국어의 품사 분류
8.3. 고대중국어의 품사활용

제9장 | 고대중국어에도 문법이 있을까요
9.1. 시기별
9.2. 연구주제별
9.3. 문헌별

나가는 말

이용현황보기

한자와 고대중국어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97059 412.12 -24-1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97060 412.12 -24-1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한자와 고대중국어
고대중국어는 고대의 중국인들이 사용했던 언어입니다. 그언어가 고대 문헌에 한자로 기록되어 있고 우리는 그 한자를 보고 당시의 언어를 파악합니다. 고대 중국인들의 언어는 현대의 언어보다 짧고 함축적입니다.
소위 고문이라 불리는 『논어』나 『맹자』 원서와 이의 현대 중국어 번역, 한국어 번역서를 비교해 보면 책 두께에서부터 다릅니다.
원서가 가장 얇고 그 다음 현대중국어, 그 다음 한국어 순으로 책이 두꺼워집니다. 동일한 개념을 표현하는데 어떤 언어는 어째서 짧게 표현하고 어떤 언어는 어째서 길게 표현할까 요? 짧고 단순해 보이는 고대중국어에는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을까요?
이 책에는 한자와 고대중국어에 대한 기초적인 이야기가 실려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