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The Cambridge world history. 5, Expanding webs of exchange and conquest, 500 CE-1500 CE 내용: 1. 글로벌 세계와 유라시아 문화 / 저자: 요하임 라트카우, 수전 모셔 스튜어드, 수전 레이놀즈, 린다 월튼, 클리퍼드 로저스, 패트릭 기어리, 다우드 알리, 폴 앳킨스, 마이클 쿠퍼슨, 리타 코스타 고메즈 외 -- 2. 교류의 증대와 종교의 확산 / 저자: 마이클 쿡, 미리 루빈, 탄센 센, 요한 아르나손, 리처드 폰 글란, 미할 비란, 장-클로드 쉐네, 데이비드 콘래드, 마이클 스미스, 사빈 맥코맥 외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이용현황보기
교역과 분쟁 : 기원후 500년-기원후 1500년. 1-2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04968
909 -24-21
v.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04969
909 -24-21
v.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04970
909 -24-21
v.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04971
909 -24-21
v.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02075
909 -24-21
v.1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B000102076
909 -24-21
v.2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케임브리지 세계사 시리즈의 09번째 책(전18권) 케임브리지 세계사 시리즈는 전 세계 200여 명의 석학들이 참여한 방대한 세계사 시리즈다. 한국어판으로는 전18권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이 책은 그 7번째 책으로, 세계체제 탄생의 역사적 과정을 영웅적 인물이나 국가가 아닌, 일상생활의 측면에서 조명하였다.
제1부 “세계의 발전” 먼저 자연환경이 세계사에 미친 영향은 매우 독특한 논제이며, 여성과 가족, 젠더와 섹슈얼리티 등 지극히 사적인 영역의 역사 또한 지역별 차이와 공통점을 통해 흥미로운 관점을 보여주었다. 마찬가지로 사회적 위계, 문화권에 따른 교육 제도, 전쟁문화 등이 모두 지역별 비교연구의 관점에서 검토되었다.
제2부 “유라시아의 공통점” 돌이켜보면 중간천년기 유라시아의 수많은 지역에서 동시에 등장한 문화·정치·경제·사회적 발전 과정이 있었다. 예컨대 세계 각지의 궁정은 굉장히 다양했지만, 유라시아 어디에서나 권력과 왕의 은총을 향한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다. 그 과정에서 권력을 행사하고 표상하는 유라시아의 시스템이 만들어졌다. 유라시아에서 확연히 구별되는 특정 문화권은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
제3부 “상호 교류의 증대” 원거리 무역 네트워크, 농업 사회와 유목 사회의 이주, 그에 수반되는 지식과 기술의 전파 및 교류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다. 아프리카에서 유라시아에 이르는 글로벌 네트워크 위에서, 생산을 담당하는 지역, 유통을 담당하는 지역, 소비를 담당하는 지역의 분화가 나타났다. 세계 각지의 무역 및 상업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그 영향이 기술의 전파와 발전, 과학과 철학의 교류 문제가 검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