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들어가며 5

Ⅱ. 다양한 기관 간 교육 협력 8

1. 학습지구(Lernende Regionen) 8

2. 교육 네트워크(Netzwerk Bildung) 9

3. 교육밴드(Bildungsband) 10

4. Schule & Co 12

5. 살아있는 도시의 생활학교(Lebendige Schule in einer Lebendigen Stadt) 13

6. 독일 교육협력 사업 비교 14

Ⅲ. 시설 개방과 복합화의 유형들 16

1. 학교시설의 개방과 규정 17

2. 학교 내 마을통합장소의 조성 18

3. 통합종합학교(IGS) 또는 학교센터(Schulezentrum, Bildungszentrum) 21

4. 생활세계학교와 지역 교육경관 22

5. 지역 교육캠퍼스 24

6. 독일의 학교시설 개방과 복합화 비교 25

Ⅳ. 시설 개방과 복합화의 사례들 28

1. 메칭엔 시의 학교 시설 이용 규정 28

2. 클론베르그 학교센터 29

3. 뢰베넥스와 하트의 교육가족센터 32

4. 바이터슈타트의 생활세계학교 33

5. 3개 도시의 교육캠퍼스 35

Ⅴ. 시사점 41

참고문헌 43

판권기 49

표목차

〈표 1〉 독일의 다양한 교육협력사업 비교 14

〈표 2〉 독일의 학교 시설 개방과 복합화 유형 비교 26

그림목차

[그림 1] 게슈비스터-숄 시립학교 부지 내 '청소년의 집' 내부 시설들 12

[그림 2] 클론베르크 학교센터 내 공간 구성과 배치 31

[그림 3] 호스터홀츠 샤름베크 교육캠퍼스 내 시설 배치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