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호모 아토포스 라이브러리 발간사
책머리에

제1부_ 유이민, 디아스포라, 서발턴
조선시대 시가의 유민 형상과 호모 아토포스적 면모 | 이형대
구술 서사와 소수자의 정의(正義) | 조현설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궤적 | 고지혜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 | 유승환

제2부_ 국경, 네이션, 위치성
비장소의 쓰기-기록 | 소영현
양모(養母)와 생모(生母) | 장영은
여신(女神)이 된 ‘환향녀(還鄕女)’ | 최빛나라

제3부_ 신체, 연결망, 공동체성
〈쇄미록〉을 통해 본 조선시대 노-주의 연결망과 공동체성, ‘아카이브 신체’ | 최기숙
‘가족-조상’으로의 소통과 연결 | 이은우
실학자의 장애의식 | 정창권
‘아픈 몸’과 계급 | 최은혜
거부와 기피 사이, 비(非)군인의 장소 | 허윤

참고문헌
찾아보기
수록 논문 출처

이용현황보기

호모 아토포스의 탐색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14781 811.09 -24-60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14782 811.09 -24-60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호모 아토포스 라이브러리 01
호모 아토포스의 탐색


‘아토포스(Atopos)’란 장소를 뜻하는 희랍어 ‘토포스(Topos)’에 결여 또는 부정을 나타내는 접두사 ‘아(a)’가 결합한 말로서, 어떤 장소에도 고정될 수 없거나 정체를 헤아릴 수 없는 상태 및 존재를 의미한다. ‘호모 아토포스의 인문학’은 어디에도 고정될 수 없는 비장소성의 존재를 ‘호모 아토포스’라 명명하고, 한국 문학/문화 속 소수자/타자의 존재 양상을 새롭게 논의해 보고자 한다.

1부에서는 한국 문학/문화에서 유이민, 디아스포라, 서발턴 등이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지 검토하면서 연구 방법론으로서 ‘호모 아토포스’의 쟁점과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제2부에 실린 글들은 신분 간/국가 간/인종 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존재의 변신과 변위의 양상 및 그로부터 생성되는 다층적 관계성에 대해 고찰한다.
제3부에 실린 글들은 호모 아토포스로 명명할 수 있는 존재들의 신체와 그를 둘러싼 다양한 연결망 및 공동체성에 대한 사유를 보여 준다.

이렇듯 한국 문학/문화 속에 잠재되어 있는 ‘호모 아토포스’의 존재 양상을 포착하여 이들을 우리 사회의 다양한 경계를 드러내고 사유하게 하는 존재로 가시화하는 작업은 한국문학/문화 연구의 외연을 넓히고 소수자/타자의 존재를 사회의 구성 원리로 이론화ㆍ논리화하는 데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이 책이 한국 문학/문화의 경계 및 소수자/타자 연구의 방법론에 대해 고민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