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4

제1장 서론 14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5

2. 연구목적 및 방법 17

3. 선행연구 검토 18

제2장 관계인구 개념 및 전북 현황 26

1. 관계인구 개념 27

2. 전라북도 관계인구 관련 현황 31

가. 전라북도 유입인구 31

나. 전북 관계인구 현황 35

제3장 관계인구 관련 정책 동향 42

1. 국외 관계인구 관련 정책 43

가. 일본 43

나. 프랑스 47

다. 독일 복수 주소제 52

라. 독일 농촌관광 54

2. 국내 관계인구 관련 정책 55

가.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유학지원사업 55

나. 농림축산식품부 귀농귀촌 유치지원사업 57

다. 행정안전부 고향사랑기부제 60

라.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유휴시설활용 창업지원사업 62

마. 행정안전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64

바. 행정안전부 청년마을 만들기 지원사업 68

3. 전라북도 관계인구 관련 사업 71

가. 관계인구 관련 사업 71

나. 농촌 관계인구 관련 사업 74

4. 전북 농촌 관계인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과제 82

제4장 사례연구 84

1. 국외 사례 85

가. 일본 85

나. 유럽 104

다. 미국 106

2. 국내 사례 109

가. 잠재적 관계인구 109

나. 지역 저변 관계인구 112

다. 지역 핵심 관계인구 123

3. 시사점 130

제5장 관계인구 대응전략 132

1. 관계인구 유형 검토 133

2. 관계인구 유형별 대응사업 방향 135

3. 관계인구 유형별 대응전략 138

가. "잠재적 관계인구" 대응사업 138

나. "지역 저변 관계인구" 대응사업 146

다. "지역 핵심 관계인구" 대응사업 153

라. '커뮤니티 앵커 조직(Community Anchor Organizations)' 육성 163

마. '관계인구 플랫폼' 구축 및 운영 165

참고문헌 171

SUMMARY 173

판권기 176

표목차

[표 2-1] 전북혁신도시 현황 39

[표 2-2] 농촌에서 살아보기 참여인원 현황 41

[표 2-3] 농어촌 워킹홀리데이 참여인원 현황 41

[표 5-1] 관계인구의 유형 134

[표 5-2] 관계인구 유형별 대응사업 방향 137

[표 5-3] 관계인구 유형별 대응전략 167

[표 5-4] 운영 주체 육성 및 플랫폼 구축ㆍ운영 170

그림목차

[그림 1-1] 듀얼라이프 모델 : 23개 시군 46개 듀얼라이프 사업(안) 22

[그림 1-2] 농산어촌 관계인구정책의 지향점 23

[그림 1-3] 농산어촌 관계인구 확대 및 활용 전략 추진 방향 24

[그림 1-4] 농촌 스마트워크 복합공간의 사업 유형화 25

[그림 2-1] 일본 총무성의 관계인구 개념 27

[그림 2-2] 오다기리(2017)의 관계인구의 도식과 단계 29

[그림 2-3] 농산어촌 관계인구 유형 30

[그림 2-4] 전라북도 방문자 수(2019~2022.10) 31

[그림 2-5] 전라북도 방문자 수 추이 32

[그림 2-6] 방문자 거주지 분포 32

[그림 2-7] 유입 출발지 분포 33

[그림 2-8] 내비게이션 검색 유형 분포 33

[그림 2-9] 전라북도 방문자 체류특성 34

[그림 2-10] 전라북도 방문객 평균 체류시간 추이 34

[그림 2-11] SNS 언급량(2021.12.~2022.11.) 35

[그림 2-12] 전라북도 통근ㆍ통학 유입인구 37

[그림 2-13] 거주지별 통근ㆍ통학 통행량(2020) 38

[그림 2-14] 도내 대학생 출신지역별 현황 38

[그림 2-15] 전북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종사자 이주유형별 현황 39

[그림 2-16] 전라북도 체험휴양마을 방문객 현황 40

[그림 3-1] 마을ㆍ사람ㆍ일자리 창생정책 추진경위 43

[그림 3-2] 제2기 일본 지방창생전략 중 관계인구 관련 추진 시책 44

[그림 3-3] 일본 총무성 관계인구 창출 및 확대사업(2019) 45

[그림 3-4] 2020년 관계인구 창출ㆍ확대사업 체계 45

[그림 3-5] 국토교통성의 관계인구 정책 유형 46

[그림 3-6] 지뜨 드 프랑스(https://www.gites-de-france.com/en) 48

[그림 3-7] 지뜨 숙박시설 등급 48

[그림 3-8] 지뜨 드 프랑스의 조직체계 및 역할 49

[그림 3-9] BAF(Bienvenie a la Ferme) 50

[그림 3-10] BAF 서비스 유형 50

[그림 3-11] 농업회의소 '농업과 관광팀'과 BAF 51

[그림 3-12] 주 거주지, 부 거주지 및 선거권 관련 법률적 정의 52

[그림 3-13]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주요도시의 제2거주지세 도입 후 인구변화 53

[그림 3-14] 농촌유학센터 지원 기준액 56

[그림 3-15] 추진체계 및 기관별 역할 59

[그림 3-16] 고향사랑기부제 60

[그림 3-17] 고향사랑기부제 추진배경 61

[그림 3-18] 고향사랑기부제 운영절차 61

[그림 3-19] 창업ㆍ정착을 위한 연차별 지원 흐름도 64

[그림 3-20] 창업 성장ㆍ고용 추가 창출을 위한 연차별 지원 흐름도 65

[그림 3-21]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유형별 참여자 수(2018~2021) 66

[그림 3-22] 시도별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참여자수(2018~2021) 67

[그림 3-23] 2022년 청년마을만들기 선정지역 69

[그림 3-24] 강화 강화유니버스 70

[그림 3-25] 전북사랑도민증 72

[그림 3-26] 전라북도 전북투어패스 73

[그림 3-27] 제1기 농촌 관계인구 활용방안 개념도(2021) 74

[그림 3-28] 제2기 농촌 관계인구 활용방안 개념도(2022) 75

[그림 3-29] 50+ 농어촌 워킹홀리데이 in 전북 77

[그림 3-30] 2022년 전북 농촌 유휴시설 리노베이션 스쿨 78

[그림 3-31] 2022년 리노베이션 스쿨 대상 지역 79

[그림 3-32] 리노베이션 스쿨 프로그램 80

[그림 3-33] 2022년 전북 농촌 유휴시설 리노베이션스쿨 사업 진행 81

[그림 4-1] 야마가타현쇼나이츠 지역부흥협력대원 다카기 카즈마 87

[그림 4-2] 후쿠시마현 야부키초 지역부흥협력대원 이즈카 토모타카 89

[그림 4-3] 지방창생 칼리지 홈페이지 90

[그림 4-4] 지방창생 칼리지 활용과정 90

[그림 4-5] 지방창생 컬리지 커리큘럼 정보 91

[그림 4-6] 유바리 Likers 명함 92

[그림 4-7] 모두로 연계되는 유바리의 기억 박물관 홈페이지 93

[그림 4-8] 유바리시의 마을만들기 94

[그림 4-9] 어른의 섬 유학 96

[그림 4-10] 총무성 Telework Net 97

[그림 4-11] 도쿠시마현 위성사무실 홈페이지 99

[그림 4-12] 주식회사 아이텐터 100

[그림 4-13] 주식회사 이토키 위성사무소 100

[그림 4-14] 가마야마 그린밸리 102

[그림 4-15]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의 구조 105

[그림 4-16] 잉글랜드 북서부 컴브리아 농촌관광 106

[그림 4-17] 미국 오리건주 후드산 농촌관광 108

[그림 4-18] 제주 iiin 매거진 109

[그림 4-19] 재주상회 110

[그림 4-20] 월간 옥이네 111

[그림 4-21] 2020년 시즌2 청춘작당 프로그램 113

[그림 4-22] 2021년 시즌3 청촌작당 전시회 113

[그림 4-23] 삶기술 프로젝트 114

[그림 4-24] 공동체교육 115

[그림 4-25] 한산 삶기술학교 프로그램 115

[그림 4-26] 강원도관광재단✕인터파크 강원도 워케이션 기획전 117

[그림 4-27] 강원도관광재단 강원 워케이션 118

[그림 4-28] 고한 18번가 마을호텔 120

[그림 4-29] 커뮤니티 호텔 H 및 연계시설 개요 121

[그림 4-30] 서천군 한산면 커뮤니티 호텔 H 서비스 121

[그림 4-31] 경북 전 국민 파워업 프로젝트 122

[그림 4-32] 다랑논 공유 프로젝트 124

[그림 4-33] 2018~2020년 별의별 이주○○ 125

[그림 4-34] 2022년 별의별 이주○○ 126

[그림 4-35] 충북 생산적 일손봉사 128

[그림 4-36] 제주 서귀포시 가시리 예술인 창작지원센터 129

[그림 5-1] 전라북도 ○○서점 책장 139

[그림 5-2] 전라북도 생생장터 142

[그림 5-3] 노마딕 앰비언스 유튜브채널 143

[그림 5-4] 마을객실 네트워크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