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이용현황보기

패관잡기. 上, 中, 下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14725 811.9 -24-6 v.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14726 811.9 -24-6 v.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14727 811.9 -24-6 v.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14728 811.9 -24-6 v.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14729 811.9 -24-6 v.3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14730 811.9 -24-6 v.3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08588 811.9 -24-6 v.1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B000108589 811.9 -24-6 v.2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B000108590 811.9 -24-6 v.3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어숙권魚叔權(1510~?)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문인으로 본관은 함종咸從, 호는 야족당也足堂이다.
1525년에 이문학관吏文學官이 되어 오랫동안 한중외교사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역관 최세진崔世珍으로부터 이문을 배워 『이문제서집람吏文諸書輯覽』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중국 사행에 동행하거나 중국 사신을 접반하는 일을 자주 맡았다. 그의 대표작인 『패관잡기稗官雜記』에는 이때 몸소 겪은 사실들이 풍성하게 남아 전한다. 『패관잡기』는 조신曺伸의 『소문쇄록謏
聞瑣
錄』 및 권응인權應仁의 『송계만록松溪漫錄』과 더불어 조선 중기 서얼 문사의 시각이 잘 반영된 필기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동시기 심수경沈守慶의 『견한잡록遣閑雜錄』을 비롯하여 19세기 이유원李裕元의 『임하필기林下筆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필기에 영향을 끼쳤다. 뿐만 아니라 이수광李睟
光ㆍ장유張維ㆍ송시열宋時烈ㆍ안정복安鼎福ㆍ이덕무李德懋ㆍ이규경李圭景ㆍ박규수朴珪壽 등 각 시대를 대표하는 다수의 문인지식인에게 널리 읽혔다. 『패관잡기』는 조선 후기의 대표 야사총서野史叢書인 김려金鑢
(1766~1822)의 『한고관외사寒皐觀外史』에 수록되어 야사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작품이다. 『한고관외사』에는 서거정徐居正의 『필원잡기筆苑雜記』ㆍ이륙李陸의 『청파극담靑坡劇談』ㆍ남효온南孝溫의 『추강냉화秋江冷話』 등 15세기 작가의 작품에서부터 이이명李頤
命의 『소재만록疏齋漫錄』ㆍ이재李縡의 『한천삼관기寒泉三官記』ㆍ박양한朴亮漢의 『매옹한록梅翁閒錄』 등 17~18세기 작가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80여 편이 실려 있는데, 『패관잡기』가 그 첫머리에 실려 있다.
-역자 서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