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요약문
연구 분야
목차
1. 연구개발 목표 및 평가항목별 성과 6
1-1. 연구개발 목표 6
1-2. 평가항목별 성과 6
1-3. 목표 미달 시 원인 분석(해당시 작성) 8
1) 목표 미달 원인(사유) 자체분석 내용 8
2) 자체 보완활동 8
3) 연구개발 과정의 성실성 9
2. 추진내용 및 연구개발결과 11
2-1. 추진내용 및 연구개발결과 11
가. 스트레스와 성체 해마신경발생 감소 및 신경세포 사멸 신규 기전 11
나. 스트레스와 치매 유전자 연관성 13
다. 스트레스 유발 치매 발병에 대한 새로운 타겟 SGK3 분석 19
라. 뇌 대사체 및 혈액 기반 대사체 분석 기술 확보 20
마. 인간유도만증줄기세포를 이용한 신경줄기세포와 오가노이드 제작을 통한 치매 모델링 35
2-2. 추진 일정 실적 43
2-3.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정도 48
2-3-1. 연구개발 성과 요약 48
2-3-2. 연구개발성과의 우수성 48
2-4.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50
1. 디다노신 및 클로르프로마진의 action of mode 심화 규명, 노화 동물에서 독성 및 부작용 검증 후 전임상 준비 50
2. PS2N141I 돌연변이에 의한 기억 관련 성체신경줄기세포의 노화 촉진 기전탐색 50
3. 당대사기능 회복에 의한 APOE4 의존적 알츠하이머성 치매연관 병리현상 완화 기전탐색 50
2-5. 계획하지 않은 성과 및 관련 분야 기여 사항 51
1. PSEN2 N141I 돌연변이 치매 쥐의 성체 해마에서 분리 배양한 신경줄기세포의 줄기능(stemness) 변화 및 노화 마커 확인 51
2. PSEN2 N141I 돌연변이 치매 쥐에서 과도한 염증반응과 기억 및 인지 기능 악화 기전 규명 및 신규 치매 치료 후보 약물 확보(Nat.com 논문게재, 2022년) 51
3. 대사체 분석법 응용 개발(JBC 논문게재, 2022년) 53
4. 트라우마 스트레스 동물모델 뇌 조직 내 대사프로파일링 및 대사경로 분석(Molecular Brain 논문게재, 2021년) 53
5.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스트레스성 성장지연과 시상하부 뇌실곁핵에서 생성된 인슐린의 연관 관계 제시(JCI insight 논문게재, 2020년) 54
3. 연구 개발 결과의 활용 방안 55
[뒷표지] 5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