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요약문

연구 분야

목차

1. 연구개발 목표 및 평가항목별 성과 6

1-1. 연구개발 목표 6

1-2. 평가항목별 성과 6

1-3. 목표 미달 시 원인 분석(해당시 작성) 8

1) 목표 미달 원인(사유) 자체분석 내용 8

2) 자체 보완활동 8

3) 연구개발 과정의 성실성 9

2. 추진내용 및 연구개발결과 11

2-1. 추진내용 및 연구개발결과 11

가. 스트레스와 성체 해마신경발생 감소 및 신경세포 사멸 신규 기전 11

나. 스트레스와 치매 유전자 연관성 13

다. 스트레스 유발 치매 발병에 대한 새로운 타겟 SGK3 분석 19

라. 뇌 대사체 및 혈액 기반 대사체 분석 기술 확보 20

마. 인간유도만증줄기세포를 이용한 신경줄기세포와 오가노이드 제작을 통한 치매 모델링 35

2-2. 추진 일정 실적 43

2-3.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정도 48

2-3-1. 연구개발 성과 요약 48

2-3-2. 연구개발성과의 우수성 48

2-4.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50

1. 디다노신 및 클로르프로마진의 action of mode 심화 규명, 노화 동물에서 독성 및 부작용 검증 후 전임상 준비 50

2. PS2N141I 돌연변이에 의한 기억 관련 성체신경줄기세포의 노화 촉진 기전탐색 50

3. 당대사기능 회복에 의한 APOE4 의존적 알츠하이머성 치매연관 병리현상 완화 기전탐색 50

2-5. 계획하지 않은 성과 및 관련 분야 기여 사항 51

1. PSEN2 N141I 돌연변이 치매 쥐의 성체 해마에서 분리 배양한 신경줄기세포의 줄기능(stemness) 변화 및 노화 마커 확인 51

2. PSEN2 N141I 돌연변이 치매 쥐에서 과도한 염증반응과 기억 및 인지 기능 악화 기전 규명 및 신규 치매 치료 후보 약물 확보(Nat.com 논문게재, 2022년) 51

3. 대사체 분석법 응용 개발(JBC 논문게재, 2022년) 53

4. 트라우마 스트레스 동물모델 뇌 조직 내 대사프로파일링 및 대사경로 분석(Molecular Brain 논문게재, 2021년) 53

5.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스트레스성 성장지연과 시상하부 뇌실곁핵에서 생성된 인슐린의 연관 관계 제시(JCI insight 논문게재, 2020년) 54

3. 연구 개발 결과의 활용 방안 55

[뒷표지]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