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옮긴이의 말
나오는 사람들
마하고니시의 번영과 몰락
부록 1. 오페라 〈마하고니시의 번영과 몰락〉에 대한 브레히트와 주어캄프의 주석
부록 2. 〈마하고니시의 번영과 몰락〉의 (1930년 판에서 삭제된) 텍스트
해설
지은이에 대해
브레히트 연보
옮긴이에 대해

이용현황보기

마하고니시의 번영과 몰락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17682 832 -24-10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중
0003117683 832 -24-10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브레히트와 작곡가 쿠르트 바일이 공동으로 작업한 오페라이다. 1930년에 초연되었는데, 서사극 기법과 바일의 음악이 결합된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자본주의와 도덕적 타락에 대한 비판을 주제로 삼았다.
이 작품에 대한 계획은 이미 1924년부터 있었지만 구체화된 것은 1927년 쿠르트 바일이 바덴바덴 음악제에 출품할 목적으로 20분짜리 노래극을 쓰자고 제안하면서다. 이 노래극이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공연된 직후부터 브레히트는 마하고니 오페라 작업에 착수했는데 공연은 1930년에야 이루어졌다.
배경은 마하고니라는 가상의 도시, 돈에 대한 욕망이 들끓는 곳이다. 여기선 돈만 있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도시가 번창할수록 욕망은 더 노골화되고, 주민들의 탐욕도 더 커진다. 알래스카에서 온 벌목꾼 파울이 마하고니에 정착해 끝없이 쾌락을 추구하다 점차 파멸한다. 마하고니는 경제 위기에 봉착하고 법과 질서가 무너진다. 술집에 밀린 외상값을 갚지 못한 파울이 기소되어 사형 선고를 받는다.
여러 면에서 미국 라스베이거스를 연상시키는 도시 마하고니는 자본주의 사회의 탐욕과 도덕적 부패를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돈이면 모든 게 해결되는 이곳에서 인간적 가치와 도덕은 처참히 짓밟힌다. 도시의 번영은 도덕적 타락으로 이어져 물질적 풍요가 반드시 행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브레히트는 정의를 실현할 법과 질서 대신 무자비한 경제 논리가 지배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부조리를 풍자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자본주의 비판이라는 주제를 강화하고 있다.
쿠르트 바일의 음악, 브레히트의 서사극 기법으로 작성된 텍스트가 어우러진 오페라 〈파하고니시의 번영과 몰락〉은 초연 당시 나치의 난동으로 물의를 일으켰다. 그러나 비평가들 사이에서는 도전적이며 새로운 오페라라는 점에서 환영받았다. 브레히트의 텍스트가 자본주의에 대한 도전으로서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물론이다. 바일은 서사적 오페라, 브레히트는 서사극 장르를 개척하면서 전통적 오페라의 미식가적 도취 상태에 의문을 제기하고 음악과 연극 혁신을 시도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브레히트는 이 작품에 붙이 주석에서 최초로 서사극 이론을 전개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51~53] 파울 : 돈 주고 살 수 있는
것이 있으면
돈을 취하라.
돈 있는 자 지나가면
머리통을 내리치고 그자의 돈을 취하라.
그래도 좋으니라.

집 안에서 살고 싶으면
아무 집이나 들어가
침대에 누워라.
그 집 마누라가 들어오면 같이 자라.
그러나 지붕이 내려앉으면 달아나라.
그래도 좋으니라.

네가 모르는
생각이 있으면
그것을 사고(思考)하라.
돈이 들고 집이 날아가도
사고하라, 사고하라.
그래도 좋으니라.

질서를 위해,
국가의 안녕을 위해,
인류의 미래를 위해,
너 자신의 안녕을 위해,
그래도 좋으니라.